$\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란 없는 원리와 전건 긍정식
The Uncontested Principle and Modus Ponens 원문보기

논리연구= Korean journal of logic, v.15 no.3, 2012년, pp.375 - 392  

최원배 (한양대학교)

초록

나는 최원배 (2011)에서 논란 없는 원리를 부정하게 되면 전건 긍정식의 타당성도 부정할 수밖에 없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대해 이병덕은 이병덕 (2012)에서 논란 없는 원리를 부정하면서도 자신이 "전건 긍정식의 타당성을 결코 부정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과연 그는 자신이 원하는 대로 논란 없는 원리를 부정하면서도 전건 긍정식의 타당성을 주장할 수 있게 된 것일까? 내 생각에는 그럴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a previous paper I argued that the denial of the uncontested principle results in the denial of modus ponens. In his reply Byeong Deok Lee explicitly says that he does not deny the validity of modus ponens though he still does not accept the uncontested principle. In this paper I show that his 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 논란 없는 원리를 부정하면 왜 전건 긍정식의 타당성도 부정할 수밖에 없는지를 잠깐 되새겨 보는 데서 논의를 시작하기로 하자. 논란 없는 원리(UP, the uncontested principle)란 직설법적 조건문이 질료적 조건문을 함축한다는 원리를 말한다.
  • 6. 다음으로 전건으로부터 후건으로의 추론이 귀납적으로 정당화되어 직설법적 조건문이 성립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훨씬 흥미로운 것은 이를 둘러싼 이병덕의 견해이다.
  • ’로 나타내기로 하자. 그리고 이런 구분에 맞추어, 이들 직설법적 조건문에 적용되는 전건 긍정식의 형태도 세분해 보기로 하자.
  • 5. 이처럼 UP와 MP가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는데, 어떻게 UP를 부정하면서도 MP를 부정하지 않을 수 있다는 말일까? 과연 이병덕은 그런 길을 찾아낸 것일까? 그의 입장을 면밀히 검토해보자.
  • 논의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지금까지 드러난 그의 입장을 명확히 정리하고 넘어가기로 하자. 전건으로부터 후건으로의 추리가 연역적으로 타당해서 직설법적 조건문 ‘A → Cd’가 정당화되는 경우, 그는 논란 없는 원리를 부정하지도 않으며 전건 긍정식의 타당성을 부정하지도 않는다.
  • 먼저 ‘A’로부터 ‘C’로의 추론이 연역적으로 타당하기 때문에 직설법적 조건문 ‘A → C’가 정당화되는 경우를 살펴보자.
  • 이 균형이 깨지는 것이 바로 조화의 원리를 위반하는 것이다. 여기 나오는 착상을 전건 긍정식의 경우에 적용해보자. 그러면 그것은 다음을 말해주는 것이 된다.
  • (다)를 타당한 추론이라고 인정하게 되면, 그는 다시 자신의 애초 입장과 배치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이를 찬찬히 따라가보자. (다)가 타당한 추론임을 인정한다고 하자.

가설 설정

  • 4. UP와 MP 사이에 이런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는 사실은 여러 사람이 강조해 온 것이다. 최근 리거는 이를 우리가 앞에서 제시한 증명과는 약간 다른 방식으로 다음과 같이 증명해 보인다.
  • 5. 이처럼 UP와 MP가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는데, 어떻게 UP를 부정하면서도 MP를 부정하지 않을 수 있다는 말일까? 과연 이병덕은 그런 길을 찾아낸 것일까? 그의 입장을 면밀히 검토해보자.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논란 없는 원리란? 논란 없는 원리를 부정하면 왜 전건 긍정식의 타당성도 부정할 수밖에 없는지를 잠깐 되새겨 보는 데서 논의를 시작하기로 하자. 논란 없는 원리(UP, the uncontested principle)란 직설법적 조건문이 질료적 조건문을 함축한다는 원리를 말한다.
최원배는 전건 긍정식을 받아들이면 어떤 원리도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하는가? . 전건 긍정식을 받아들이면 논란 없는 원리도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병덕이 내세우는 추론주의 의미론의 입장에서는 무슨 원리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는가? 논란 없는 원리를 부정하면 왜 전건 긍정식의 타당성도 부정할 수밖에 없는지를 잠깐 되새겨 보는 데서 논의를 시작하기로 하자. 논란 없는 원리(UP, the uncontested principle)란 직설법적 조건문이 질료적 조건문을 함축한다는 원리를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