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군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병사의 스트레스대처방식, 문제해결능력, 우울과, 자살생각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군${\bigcirc}{\bigcirc}$ 부대에서 복무를 하고 있는 병사 중에서 사전 조사를 실시하여 자살징후 대상 병사와 부대로 부터 자살징후가 있다고 분류된 병사, 본인이 자살 충동을 느낀다고 본 프로그램에 참가의사를 밝힌 병사 등 총 64명을 대상으로 총 16회기의 자살예방 프로그램 교육을 실시하였다. 한국군 자살예방 프로그램의 실시 후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통계처리는 SPSS 12.0 for Window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분산분석, 상관분석,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스트레스대처 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되고 우울과 자살생각의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군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병사의 스트레스대처방식, 문제해결능력, 우울과, 자살생각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군${\bigcirc}{\bigcirc}$ 부대에서 복무를 하고 있는 병사 중에서 사전 조사를 실시하여 자살징후 대상 병사와 부대로 부터 자살징후가 있다고 분류된 병사, 본인이 자살 충동을 느낀다고 본 프로그램에 참가의사를 밝힌 병사 등 총 64명을 대상으로 총 16회기의 자살예방 프로그램 교육을 실시하였다. 한국군 자살예방 프로그램의 실시 후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통계처리는 SPSS 12.0 for Window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분산분석, 상관분석,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스트레스대처 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되고 우울과 자살생각의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how the suicide prevention affects private soldiers' stress-coping method, problem-solving ability, depression, and idea of suicide. In order to achieve such research hypothesis, Air Force ${\bigcirc}{\bigcirc}$ Unit has previously classified 6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how the suicide prevention affects private soldiers' stress-coping method, problem-solving ability, depression, and idea of suicide. In order to achieve such research hypothesis, Air Force ${\bigcirc}{\bigcirc}$ Unit has previously classified 64 soldiers, who have signs of suicide, and are assorted to have suicidal symptoms by the Unit, and think that they have such symptoms and need our program. Following that, overall 16 times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 was carried out for them. For a statistical process of collected materials after testing the effectiveness of Korean Soldiers suicide prevention program, we practiced Frequency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Paired t-test by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program of SPSS 12.0 for Windows. In result, suicide prevention program shows positive effects upon improving stress-coping method and problem-solving ability as well as reducing depression and suicide though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how the suicide prevention affects private soldiers' stress-coping method, problem-solving ability, depression, and idea of suicide. In order to achieve such research hypothesis, Air Force ${\bigcirc}{\bigcirc}$ Unit has previously classified 64 soldiers, who have signs of suicide, and are assorted to have suicidal symptoms by the Unit, and think that they have such symptoms and need our program. Following that, overall 16 times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 was carried out for them. For a statistical process of collected materials after testing the effectiveness of Korean Soldiers suicide prevention program, we practiced Frequency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Paired t-test by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program of SPSS 12.0 for Windows. In result, suicide prevention program shows positive effects upon improving stress-coping method and problem-solving ability as well as reducing depression and suicide thought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본 연구는 군이라는 특수 환경에서 생활하고 있는 병사들의 자살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하여 현재 군 복무를 하고 있는 병사들을 대상으로 한국군 자살예방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병사의 스트레스대처방식, 문제해결능력, 우울과, 자살생각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검증해 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병사들의 자살징후정도를 파악한 후 자살 징후를 보이는 병사들과 부대로부터 자살징후가 있다고 판단되는 병사와 본인이 스스로 자살 충동을 느낀다고 본 프로그램에 참여 의사를 밝힌 병사들을 대상으로 한국군 자살예방 프로그램 교육을 실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시한다.
한국군 자살예방프로그램의 목적은 군대에서 발생하는 자살 관련 행동을 사전에 예방하여 궁극적으로 자살을 감소시키는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한국군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스트레스대처방식, 문제해결능력, 우울과, 자살생각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살예방 프로그램 교육을 실시하였다.
현재 국방부 주관으로 실시하고 있는 한국군 자살예방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국방부에 제언을 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첫째, 자살 예방 프로그램이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미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둘째, 자살 예방 프로그램이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셋째, 자살 예방 프로그램이 우울감 감소에 미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넷째, 자살 예방 프로그램이 자살 생각 감소에 미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제안 방법
본 연구는 한국군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스트레스대처방식, 문제해결능력, 우울과, 자살생각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살예방 프로그램 교육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의 설계는 자살징후 대상자에게 먼저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병사들에게 자살예방 프로그램 교육을 실시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자살예방 프로그램의 전·후 효과를 검증하는 방식으로 하였다.
이를 토대로 군 자살사고 예방을 위한 특성화방안으로 개인적, 부대적, 정책적 차원의 방안을 제시 하였다. 자살예방프로그램과 관련한 연구로 임금선(2008)은 병사의 자살예방 프로그램 요구도와 관련된 요인 분석을 통해 간부의 군 자살에 대한 인식정도와 자살예방 프로그램의 요구도와 관련된 요인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선정된 병사를 대상으로 자살예방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실시 전 자살징후 대상 병사들에게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6회기의 자살예방 프로그램 교육 실시한 후 사전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는 포크만과 라즈루스(Folkman & Lazrus)가 개발한 것을 김 아다미가 문항-총점간 상관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해 25문항을 수정하여 사용한 척도를 이용하였다.
적극적 대처의 점수는 문제 중심 대처 점수와 사회적 지지 추구 점수를 합산하여 산출하고, 소극적 대처의 점수는 감정 완화대처 점수와 소망적 사고의 점수를 합산하여 산출한다. 점수가 높을수록 대처수준이 좋다는 것을 의미하며, 리커트 (Likert)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문제해결능력 문항은 Likert의 5점 척도로 측정하였으며 따라서 이 점수는 보통수준이 3점이다. 그러므로 문제해결자신감은 3점 이상이면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고, 접근-회피 성향과 자기통제 어려움은 문제해결자신감과는 반대로 3점 미만일 때 양호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므로 문제해결자신감은 3점 이상이면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고, 접근-회피 성향과 자기통제 어려움은 문제해결자신감과는 반대로 3점 미만일 때 양호한 것으로 판단한다. 부정 진술 문항은 역으로 환산 처리하였다.
본 조사에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클리닝(data cleaning) 과정을 거쳤다. 통계분석은 SPSS 12.
첫째, 자살예방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자살징후 대상 병사들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평균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위하여 대응표본 t 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의 실시 전과 실시 후 연구대상의 점수 차이가 의미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자살예방프로그램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앞서 각 변수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와 같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의 대상은 공군OO 기지에서 군 복무를 하고 있는 병사 중에서 무작위로 530명을 대상으로 표본추출을 하기위한 사전 조사를 실시하여 자살징후 대상 병사와 부대로부터 (주임원사, 병영생활 상담관) 자살징후가 있다고 생각되는 병사, 본인이 자살 충동을 느낀다고 본 프로그램에 참가의사를 밝힌 병사 등 총 6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데이터처리
첫째, 자살예방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자살징후 대상 병사들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평균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위하여 대응표본 t 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의 실시 전과 실시 후 연구대상의 점수 차이가 의미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둘째, 분산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론/모형
벡의 자살생각척도는 자살과 관련된 생각과 행동을 측정하는 척도로 벡, 코바스, 웨이슨(Beck, Kovacs & Weissman, 1979)의 자살생각 척도로 본 연구에서는 신민섭과 박광배(1990)가 번안하여 자기 보고형 질문지로 변형한 것으로 총 19문항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문제해결 능력 척도는 문제해결에 대한 개인의 태도, 기대와 자신들의 문제해결 양식에 대한 자기평가를 측정하기 위해데주릴라와 네즈(D'Zurilla & Nezu)가 개발하고 김영미와 김중술이 번안한 SPSI(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를 사용하였다.
자살징후 관련자들이 나타내는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결함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를 처리하는 방식을 세분화하고 각각의 사용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스트레스 대처방식척도(Stress Coping Style Scale)를 사용하였다.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는 포크만과 라즈루스(Folkman & Lazrus)가 개발한 것을 김 아다미가 문항-총점간 상관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해 25문항을 수정하여 사용한 척도를 이용하였다.
자살관련자들이 나타내는 문제 상황에서의 문제해결능력에서의 결함을 알아보기 위하여 문제해결능력 척도(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문제해결 능력 척도는 문제해결에 대한 개인의 태도, 기대와 자신들의 문제해결 양식에 대한 자기평가를 측정하기 위해데주릴라와 네즈(D'Zurilla & Nezu)가 개발하고 김영미와 김중술이 번안한 SPSI(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를 사용하였다.
공군병사들의 우울을 측정하기 위해 우울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를 사용하고자 한다. 벡(Beck)의 우울 척도인 BDI는 1961년 제안된 이래 지금까지 구미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우울증 척도 중의 하나이다.
3.4 자살생각
자살관련자들의 자살생각이나 자살에 대한 의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벡의 자살생각척도를 사용하였다
. 벡의 자살생각척도는 자살과 관련된 생각과 행동을 측정하는 척도로 벡, 코바스, 웨이슨(Beck, Kovacs & Weissman, 1979)의 자살생각 척도로 본 연구에서는 신민섭과 박광배(1990)가 번안하여 자기 보고형 질문지로 변형한 것으로 총 19문항이다.
성능/효과
아울러 자살징후 대상자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고, 연구 결과, 한국군 자살예방 기본과정과 간부과정은 자살과 관련된 건강한 태도와 지식을 향상시키고 자살예방 관련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 예방 프로그램이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는 에서와 같이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적극적 대처는 프로그램 처치 전 1.98점인데 반하여 자살 예방 프로그램 후에는 2.44점으로 향상되었다.
우울에 대한 분산분석의 결과는 에서와 같이 우울에 대한 주 효과는 F=4.700로 p<.05수준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또한 접근-회피 성향은 프로그램 처치 전 3.67점으로 높은 편이었으나, 프로그램 처치 후에는 2.36점으로 상당히 낮아졌으며, 이 역시 유의수준 0.1% 내에서 의미 있는 차이였다(t=7.873, p<.001).
자살 예방 프로그램이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는 에서와 같이 문제해결 자신감은 자살 예방 프로그램 전 2.18점으로 매우 낮은 수준이었으나 프로그램 처치 후에는 3.65점으로 향상되었으며, 이는 유의수준 0.1% 내에서 의미 있는 차이였다(t=-8.739, p<.001).
첫째,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스트레스 대처방식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인가에 대해 살펴보면,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 방식은 사전에는 1.98이며 사후에는 2.44이었으며 이 차이는 0.1%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3.705, p<.001).
우울은 문제해결능력과 스트레스대처능력과 부적 상관이 있는데, 이는 자살생각과 마찬가지로 우울이 높으면 문제해결능력과 스트레스대처능력은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문제해결능력은 스트레스대처능력과정적상관이 있는데, 이는 문제해결능력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대처능력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자살징후 대상 병사들에 대한 자살예방 프로그램의 효과 중 문제해결방식을 검증한 결과, 문제해결의 자신감은 사전에 2.18이며 사후에 3.65이었으며 이 차이 역시 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8.
이를 통해, 자살 예방 프로그램은 문제해결의 자신감을 높이고 접근-회피 성향과 자기 통제의 어려움은 낮추는데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 그러므로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자살 예방 프로그램은 문제해결의 자신감을 높이고 접근-회피 성향과 자기 통제의 어려움은 낮추는데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 그러므로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우울의 감소에 효과가 있을 것인가에 대해 살펴보면, 우울은 자살징후 대상 병사들은 사전 점수가 29.50이고 사후점수는 24.00점으로 낮아졌다 그리고 이러한 차이는 유의수준 0.1% 내에서 의미가 있었다.(t=9.
넷째,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자살생각의 감소에 효과가 있을 것인가에 대해 살펴보면, 자살예방프로그램이 병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결과, 유의한 영향력이 있음을 검증하였다. 먼저, 자살생각은 프로그램 처치 전에는 27.
넷째,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자살생각의 감소에 효과가 있을 것인가에 대해 살펴보면, 자살예방프로그램이 병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결과, 유의한 영향력이 있음을 검증하였다. 먼저, 자살생각은 프로그램 처치 전에는 27.34점이었지만 자살 예방 프로그램 처치 후에는 20.66점으로 낮아졌다. 그리고 이러한 차이는 유의수준 0.
자살생각은 총점이 38점으로서, 점수가 높을수록 그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의 분석 결과를 보면 프로그램 처치 이후 자살징후 대상 병사들의 자살생각은 감소하였다. 그러므로 자살 징후자들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는 데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위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스트레스대처 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되고 우울과 자살 생각의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
둘째, 군 자살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자살징후자를 사전에 파악 하고, 지도할 수 있는 교육 훈련 프로그램과 체계적인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자살 징후자 발생 시 즉시 도울 수 있는 자살방지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방부에서 2008년부터 개발 보급해 전군에서 활용하고 있는 프로그램은?
국방부에서 2008년부터 한국군자살예방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여 전군에서 활용하고 있는 한국군 자살예방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 검증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군 입대의 시기는?
우리나라의 군 조직 구성원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병사들은 강제적인 징병제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일정기간 의무적으로 군복무를 하여야 한다. 군 입대의 시기가 청소년기에서 초기 성인기에 해당되기 때문에 병사들은 아직까지 정체감이 완전히 형성되지 않고 역할 갈등 등을 경험할 수 있다. 군 입대자들은 대부분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심리 상태에서 군 생활을 하고 있는 것이다.
군인의 자살이 군에 불신감을 초래하는 이유는?
특히 군인의 자살은 군의 입장에서 볼 때 비전투적인 손실로 인한 전투력 저하와 병사들의 사기를 떨어뜨리는 등 부대의 단결과 전투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그리고 명확한 자살원인이 밝혀지지 않으면 의문사 의혹이 제기되는 등 군에 대한 불신감을 초래하므로 군 병사의 자살 문제는 국가적 해결 과제로 볼 수 있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