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열수추출 및 효소처리에 따른 감귤 과피 추출물의 기능성성분 수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Yield of Functional Components of Citrus Peel Extracts using Optimized Hot Water Extraction and Enzymatic Hydrolysi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8 no.1, 2012년, pp.51 - 55  

노정은 ((재)대구테크노파크 바이오헬스융합센터) ,  윤성란 ((재)대구테크노파크 바이오헬스융합센터) ,  임애경 ((재)대구테크노파크 바이오헬스융합센터) ,  김혜정 (경운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허담 ((주)옴니허브) ,  김대익 ((재)대구테크노파크 바이오헬스융합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itrus peel extracts with different hot water extraction and enzymatic hydrolysis conditions. Enzymatic hydrolysis was also employed using Viscozyme L and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at of optimized hot water extract. Hot wa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귤 과피의 고부가가치 이용 방안을 마련할 목적으로 감귤 과피의 기능적 특성을 고려한 추출물을 얻고자 가용성 고형분 및 유효성분 분석 을 통해 유용성분의 최적 추출조건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 감귤 과피의 유용성분의 효과적인 추출을 위하여 시료에 대한 용매비의 영향을 검토해 보았다. 추출 용매량은 목적성분을 충분히 용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최소량으로 추출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용매비에 따른 감귤 과피 추출물의 유효성분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Table 1과 같다.

가설 설정

  • 1)Values are mean S.D. of triplicate measurements and within each column followed by the same letter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귤류의 기능성 성분은 무엇인가? 감귤류는 6대륙 100개국 이상에서 재배되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즐겨먹는 과일 중 하나이며 주요성분으로는 당, 유기산, 비타민 C, 카로티노이드, 펙틴 및 플라보노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어 기능성 식품으로의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다(Kim YD 2009). 감귤은 대부분 생과의 형태로 소비가 이루어지며, 일부는 착즙하여 주스가공으로 이용되어지고 있다.
감귤은 어떤 형태로 소비되는가? 감귤류는 6대륙 100개국 이상에서 재배되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즐겨먹는 과일 중 하나이며 주요성분으로는 당, 유기산, 비타민 C, 카로티노이드, 펙틴 및 플라보노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어 기능성 식품으로의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다(Kim YD 2009). 감귤은 대부분 생과의 형태로 소비가 이루어지며, 일부는 착즙하여 주스가공으로 이용되어지고 있다. 감귤 가공 시 부산물로 과피가 많이 발생하여 그 처리가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또한 감귤 과피의 활용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Kuhnan J 1976, Pierpoint WS 1986).
감귤 과피는 어떤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고 있는가?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폐과피의 일부가 사료 또는 한약재로 쓰이고 있기는 하나 대부분 폐기되고 있으므로 이를 활용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Chang HN 등 1977, Moon SJ 등 1982, Kim YK 등 1999). 감귤은 품종에 따라 다르나 과피가 대체로 과일 전체의 50% 정도 되는데 이중에는 essence oil, carotenoid 및 flavonoid, cellulose, pectin, limonoid 등 생리활성물질들이 높게 함유되어 있다(Rhyu MR 등 2002, Song EY 등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hn SC, Kim MS, Lee SY, Kang JH, Kim BH, Oh WK, Kim BY, Ahn JS. 2005. Increase of bioactive flavonoid aglycone extractable from Korean citrus peel by carbohydrate-hydrolysing enzymes. Kor J Microbiol Biotechnol 33:288-29 

  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4617:1198-1199 

  3. Cha JY, Cho YS. 2001. Biofunctional activities of citrus flavonoids. J Korean Soc Agri Chem Biotechnol 44:122-128 

  4. Chang HN, Nam KE, HurJW. 1977.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Korean citrus peel waste ;2. Contents of pectin, hesperidin and naringin. Korean J. Food Sci Technol 9:251-254 

  5. Chang MJ, Ha HJ, Yoon SR, Noh JE, Kwon JH. 2006. Prediction of optimal leaching conditions for green t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6):747-753 

  6. Cho SO, Hong SP, Choi HY, Choi HS, Lee JH. 2004. Determination methods of Citrus unshii percarpium by HPLC. Korean J Herbology 19(4):61-66 

  7. Francisco RT, Isabel PA, Augustin LM. 2001. Enzymatic extraction and transformation of glucovanillin to vanillin from vanilla green pods. J Agric Food Chem 49:5207-5209 

  8. Hong JJ, Ahn TH. 2005. Changes in total flavonoid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leafy vegetables (spinach, chard and whorled mallow) by blanching time. Korean J Food Cookery Sci 21:190-194 

  9. Kang BH, Lee JM, Kim YK. 2010. Optimization of hot water extraction conditions for Tricholoma matsutake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J Korean Soc Food Sci Nutr 39(8):1206-1212 

  10. Kim YD. 2009. Study on the composition of flavonoids and biological activities from Jeju citrus fruits. Jeju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pp 6-57 

  11. Kim YK, Hyun SW, Ko YH. 1999. Analysis of essential oils from the peel of mandarine (Citrus unshiu Marc.var.Okitsu). Korean J Food Sci Technol 31:1178-1183 

  12. Kuhnan J. 1976. In the flavonoids: A class of semi-essential food components: their role in human nutrition. World Rev Nutr Diet 24:117-191 

  13. Kwon JH, Belanger JMR, Pare JRJ, Yaylayan VA. 2003. Application of microwave-assisted process (MAP) to the fast extraction of ginseng saponins. Food Res Int 36:491-498 

  14. Kwon JH, Belanger JMR, Pare JRJ. 2003. Optimization of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MAP) for ginseng component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Agric Food Chem 51:1807-1810 

  15. Lee MH, Huh D, Jo DJ, Lee GD, Yoon SR. 2007. Flavonoids components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citrus peel hydrolysa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11):1358-1364 

  16. Min SH, Park HO, Oh HS. 2002.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hot water extracts of Korean dried tangerine peel and development of beverage by using it.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1):51-56 

  17. Moon SJ, Sohn KH, Lee MH, Lee MH. 1982. The content and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pectin in tangerine peel. Korean J Food Sci Technol 14:63-66 

  18. Pierpoint WS. 1986. Flavonoids in the human diet. In plant flavonoids in biology and medicine, biochemical, pharmacological and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Liss, Alan R, New York, USA. pp 125-140 

  19. Rhyu MR, Kim EY, BaeI Y, Park YK. 2002. Contents of naringin, hesperidin and neohesperidin in premature Korean citrus frui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132-135 

  20. SAS. 1994. User's guide version 6. 4th ed.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21. Song EY, Choi YH, Kang KH, Koh JS. 1998. Free sugar, organic acid, hesperidin, naringin and inorganic elements changes of Cheju citrus fruits according to harvest dat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306-3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