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면 관측을 통한 경기만 염하수로의 대조기 평수시와 홍수시 유출입량 변화특성 조사
The Cross-sectional Mass Flux Observation at Yeomha Channel, Gyeonggi Bay at Spring Tide During Dry and Flood Season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24 no.1, 2012년, pp.16 - 25  

이동환 (인하대학교 자연과학계열 해양과학과) ,  윤병일 (인하대학교 자연과학계열 해양과학과) ,  김종욱 (인하대학교 자연과학계열 해양과학과) ,  구본호 (인하대학교 자연과학계열 해양과학과) ,  우승범 (인하대학교 자연과학계열 해양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기만 염하수로 입구인 영종대교 남단에서 평수기와 홍수기에 13시간동안 연속적으로 층별 유속관측을 수행하였다. 홍수기와 평수기에 한강과 임진강으로의 평균 담수유입량은 각각 약 $8000m^3/s$, $200m^3/s$로 40배의 큰 차이를 보이는데 이러한 변화가 잔차류의 공간 분포와 총 유출입량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조석주기 동안의 평균이 필요하며, 반복 관측된 자료의 연직위치와 수평격자위치를 일치시킬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공간적 sigma 격자 체계로 변환시켰다. 변형된 sigma 좌표체계는 z-level상의 원시자료와 비교하였을 때 5%이내의 오차로 자료분석에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분석결과 평수기 단면 잔차류는 수로의 수심에 따라 패턴이 다른 수평적 2층 흐름 구조를 보였으며, 홍수기의 경우 표층에서는 낙조하고, 저층에서는 창조하는 수직적 2층 흐름구조를 보였다. 이는 담수의 유입량에 따라 단면에서 공간적 잔차류 흐름구조가 크게 변동되는 특성이 나타났다. 총 수송량은 평수기와 홍수기에 각각 $359m^3/s$, $261m^3/s$ 로 약 $100m^3/s$의 차이를 보였다. 홍수기 많은 양의 담수 유입이 발생하였지만, 총 수송량과 적은 상관도를 보인 것은 염하수로 남단 해역에서 Stokes drift의 크기가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으로 보여지며, 총량은 강화도와 영종도 사이의 조간대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짐작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calculate the total mass flux that change in dry and flood season in the Yeomha Channel of Gyeonggi Bay, the 13 hour bottom tracking observation was performed from the southern extremity. The value of the total mass flux(Lagrange flux) was calculated as the sum of the Eulerian flux value and st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기존의 연구는 주로 정점관측과 수치모델 결과에 국한되어왔으며, 정점관측을 통한 mass flux 와 잔차류의 산정은 전 단면을 대표할 수 없는 한계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 해수흐름특성 파악과 전 단면에서의 mass flux 산출을 위하여 단면 관측을 수행하였다.
  • 따라서 시간적으로 같은 격자간 조화분해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시작점에서부터 관측 횡단면의 거리를 사용하여 수평적 sigma격자를 구성하였다. 수직/수평적 sigma격자구성을 하면 본 연구지역 같이 조석이 큰 지역에서 전 수층의 모든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적 관측자료 분석에 있어서 전 구간의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향후 염하수로에서 총 mass flux이동 기작에 대하여 면밀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염하수로 북단과 남단의 2개 구간을 나누어 관측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영종도와 강화도 사이의 조간대 지역으로 유 출입되는 총 수송량을 정량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특히 본 연구는 단면관측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수직적 해수면 높이 변화(시간에 따른 변화)와 공간적 관측위치에 따른 수심의 변화뿐만 아니라 거리에 해당하는 수평좌표까지 일괄적으로 같은 격자를 구성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는 단면관측의 특성상 모든 정선을 매 순간마다 동일한 횡단면으로 관측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같은 속도로 수행될 수도 없기 때문에 원시자료의 매 관측 간격 별 수평격자간 간격은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기만은 어떠한 문제를 초래하고 있는가? 경기만은 크게 염하수로와 석모수로, 장봉수로, 동수로와 서수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도 서울을 가로지르는 한강과 임진강, 예성강으로부터 다량의 담수와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지역이다. 담수의 유입은 연중 70% 이상이 6월부터 9월의 우기에 집중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계절적으로도 큰 변화를 보인다.
경기만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우리나라 서해안에 위치한 경기만은 반일주조가 우세한 반폐쇄성 해역으로서 평균수심은 40 m 정도이며, 넓은 조간대와 크고 작은 섬을 가지고 있다. 경기만은 크게 염하수로와 석모수로, 장봉수로, 동수로와 서수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도 서울을 가로지르는 한강과 임진강, 예성강으로부터 다량의 담수와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지역이다.
연중 70% 이상의 담수 유입은 언제 발생하는가? 또한 수도 서울을 가로지르는 한강과 임진강, 예성강으로부터 다량의 담수와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지역이다. 담수의 유입은 연중 70% 이상이 6월부터 9월의 우기에 집중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계절적으로도 큰 변화를 보인다. Par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정대, 정신택, 조홍연, 김태헌 (2010). 경기만 및 한강하구의 순유량 및 확산모형의 불확실성 분석.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2(5), 344-351. 

  2. 김창식, 임학수, 김진아, 김선정, 박광순, 정경태 (2010). 경기만 조석 잔차류 산정 및 변동성.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2(6), 353-360. 

  3. 봉종헌 (1978). 인천항부근 수로의 조류. The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pciety of Korea, 13(1), 29-34. 

  4. 송용식, 우승범 (2011). 염하수로 인근에서 조석 변형과 장주기 조류성분의 변동 특성.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3(5), 394-400. 

  5. 이석우 (1972). 인천항의 조석.조류 및 조량에 대하여 The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7(2), 86-97. 

  6. 황산철, 전동철, 강재훈, 김철수 (2004). 소형선박용 찰탈식 ADCP 고정장치 개발 Ocean and Polar Research, 26(3), 481-486. 

  7. Bret M. Webb, Jeffrey N. King, Bilge Tutak, Arnoldo Valle- Levinson. (2007). Flow structure at a trifurcation near a North Florida inlet Continental Shelf Research 27, 1528-1547. 

  8. Fugate, D.C., Friedrichs, C.T., Sanford, L.P. (2007). Lateral dynamics and associated transport of sediment in the upper reaches of a partially mixed estuary, Chesapeake Bay, USA. Continental Shelf Research 27, 679-698. 

  9. Joyce, T.M. (1989). On In Situ "Calibration" of Shipboard ADCPs. J. Atmos. Oceanic Technol., 6, 169-172. 

  10. Kjerfve, B. (1975). Velocity Averaging in Estuaries Characterized by a Large Tidal Range to Depth Ratio, Est. and Coast. Mar. Cci., 3, 311-323. 

  11. Kreeke, J. van de. (1992). Residual flow in Naples Bay and irs effect on constituent concentration, constituent flux and residence time. Dynamics and exchanges in estuaries and the coastal zone (D. Prandle, Ed.), AGU, 117-133. 

  12. Park, K., Oh, J.-H., Kim, H.-S. and Im, H.-H. (2002). Case Study: Mass Transport Mechanism in Kyunggi Bay around Han River Mouth, Korea.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257-267. 

  13. Lwiza, K. M. M., Bowers, D. G. and Simpson, J. H. (1991). Residual and tidal flow at a tidal mixing front in the North Sea, Continental Shelf Research., 11(11), 1379-1395. 

  14. Mario Caceres and Valle-Levinson, A. (2003). Observations of cross-channel structure of flow in an energetic tidal channel,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108, 11-1 11-10. 

  15. Mario Caceres (2002). Transverse variability of flow and density in a Chilean fjord, Continental Shelf Research 22, 1683-1698. 

  16. Preisendorfer, R. W. and Mobley, C. D. (1988).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n Meteorology and Oceanography. Elsevier, 425. 

  17. Sylaios, G. and Boxall, S. R. (1988). Residual currents and flux estimates in a partially mixed estuary, Continental Shelf Research., 46, 671-682. 

  18. Valle-Levinson, A. (1999). Spatial Gradients in the Flow Over an Estuarine Channel. Estuaries, 22, 179-193. 

  19. Yanagi, T., Manabu, M., Nomuram M. and Furukawa, K. (2003). Spring-neap tidal variation of residual flow in Tokyo Bay, Japan. Continental Shelf Research, 23, 1087-1097. 

  20. Zimmerman, J.T.F. (1979). On the Euler-Lagrange Transformation and the Stokes drift in the Presence of Oscillatory and Residual currents. Deep-sea Res., 26A, 505-5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