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남 통영의 소규모 잘피밭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Species Composition of Fish Assemblage in a Small Scale Eelgrass Bed of Tongyeong,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24 no.3, 2012년, pp.191 - 200  

김준섭 (국립경상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산업연구소) ,  곽우석 (국립경상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산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남 통영 풍화 잘피밭에서 2010년 11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예인망(surf net)으로 채집하여 어류의 종조성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30종, 5,511개체, 6,933.4 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베도라치(Pholis nebulosa), 실고기(Syngnathus schlegeli), 그물코쥐치(Rudarius ercodes), 가시망둑(Pseudoblennius cottoides), 볼락(Sebastes inermis), 실비늘치(Aulichthys japonicus)로 총 출현 개체수의 93.4%를 차지하였다. 출현한 대부분의 어류는 크기가 작거나 대형 어종의 유어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잘피의 밀도는 2011년 4월이 가장 높았으며 2011년 1월이 가장 낮았다. 수온과 잘피의 밀도 및 중량, 주 먹이생물의 양적 변동이 어류 군집의 계절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풍화 잘피밭이 많은 어종들에게 좋은 성육장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ish species composition in eelgrass bed of Punghwa-ri in Tongyeong, Korea was determined using monthly samples collected by a surf net from November 2010 to October 2011.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of 30 species, 5,511 individuals and 6,933.4 g of fishes were collected. The dominant fish spec...

주제어

참고문헌 (49)

  1. 강용주.김영혜.김원태. 1996. 베도라치 (Pholis nebulosa)의 연령, 성장 및 산란. 한국수산과학회지, 29: 191-196. 

  2. 고유봉.조성환. 1997. 제주도 연안 해초지대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I. 종조성과 계절변화. 한국어류학회지, 9: 48-60. 

  3. 고유봉.조성환.고경민. 1997. 제주도 연안 해초지대의 어류군집에 관한연구 II. 실비늘치 (Aulichthys japonicus Brevoort) 의 성장, 산란 및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9: 61-70. 

  4. 곽석남.백근욱.허성회. 2003. 잘피밭에 서식하는 쥐치의 먹이습성. 한국어류학회지, 15: 219-223. 

  5. 김광수.손민호.곽석남.박주면.허성회. 2009. 진해만 잠도 주변해역에서 서식하는 방류산 볼락(Sebastes inermis)의 식성. 한국수산과학지, 42: 73-77. 

  6. 김병기.곽우석. 2006. 거제도 지세포만 잘피밭과 구조라 사질 연안의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해양산업연구소논문집, 19: 79-91. 

  7. 김용억.한경호.안 건. 1994. 실고기, Syngnathus schlegeli 난의 형태 및 산출 자치어의 형태 발달. 한국어류학회지, 6: 93-98. 

  8. 김익수.최 윤.이충열.이용주.김병직.김지현. 2005. 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615pp. 

  9. 김종관.강용주. 1999. 볼락, Sebastes inermis의 섭식생태. 한국수산과학회지, 32: 637-641. 

  10. 김준섭.이대희.박준수.한동훈.곽우석. 2011. 경남 거제 명사 잘피밭의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한국어류학회지, 23: 119-127. 

  11. 김준섭.이대희.박준수.한동훈.곽우석. 2012. 경남 거제 명사사질연안의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한국어류학회지, 24: 11-19. 

  12. 박정임.김영균.박상률.김종협.김영상.김정배.이필용.강창근.이근섭. 2005. 잘피 서식지 복원을 위한 최적 이식방법 및 시기선정에 관한 연구. Algae, 20: 379-388. 

  13. 박정임.이근섭.손민호. 2011. 낙동강 하구에 이식된 잘피(Zostera marina)의 환경변화에 따른 성장 특성. 한국수산과학회지, 44: 533-542. 

  14. 백근욱.곽석남.허성회. 2005. 진동만 명주리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7: 8-18. 

  15. 유동재.한경호.백승록.김광수.하성찬.장후천.이기석. 2003. 가시망둑 (Pseudoblennius cottoides)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한국수산과학회지, 36: 263-269. 

  16. 이근섭.이상용. 2001. 남해안 잘피 서식지 현황 및 복원 방안. 자연보호, 116: 15-20. 

  17. 이대희.김준섭.박준수.한동훈.곽우석. 2011. 경남 저구 잘피밭의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한국어류학회지, 23: 225-233. 

  18. 이대희.김태진.최병언.이소정.곽우석. 2010. 거제도 거제만 잘피밭의 어류 종조성. 한국어류학회지, 22: 179-185. 

  19. 이태원.문형태.황학빈.허성회.김대지. 2000. 남해 안골만 잘피밭 어류 종조성의 계절 변동. 한국수산과학회지, 33: 439-447. 

  20. 이택열.羽生 功. 1984. 그물코쥐치, Rudarius ercodes의 생식주기. 한국어류학회지, 17: 423-435. 

  21. 이택열.김성연. 1992. 난태생 경골어류 볼락, Sebastes inermis의 생식과 체내자어발달. 한국수산과학회지, 25: 413-431. 

  22. 정승호.유옥환.서해립. 2004.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단각류의 계절변동과 식성. 한국수산과학회지, 37: 122-128. 

  23. 허성회. 1986.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 및 출현량의 계절적 변동에 관한 연구. 한국수산학회지, 19: 509-517. 

  24. 허성회.곽석남. 1997a.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 한국어류학회지, 9: 202-220. 

  25. 허성회.곽석남. 1997b.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실고기(Syngnathus schlegeli)의 식성. 한국수산과학회지, 30: 896-902. 

  26. 허성회.곽석남. 1997c. 베도라치 (Pholis nebulosa)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9: 22-29. 

  27. 허성회.곽석남. 1998a.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볼락(Sebastes inermis)의 식성. 한국수산과학회지, 31: 168-175. 

  28. 허성회.곽석남. 1998b. 가시망둑(Pseudoblennius cottoides)의 식성. 한국수산과학회지, 31: 37-44. 

  29. 허성회.곽석남.김하원. 2008. 동대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돌팍망둑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20: 45-53. 

  30. Connolly, R.M. 1994. A comparison of fish assemblages from seagrass and unvegetated area of a southern Australian estuary. Aus. J. Mar. Fre. Res., 45: 1033-1044. 

  31. Edgar, G.J. and C. Shaw. 1995. The production and trophic ecology of shallow-water fish assemblages in southern Australia. I. Species richness, size-structure and production of fishes in Western Port Victoria. J. Exp. Mar. Biol. Ecol., 206: 45-81. 

  32. Fernandez-Torquemada, Y. and J.L. Sanchez-Lizaso. 2005. Effects of salinity on leaf growth and survival of the Mediterranean seagrass Posidonia oceanica (L.) Delile. J. Exp. Mar. Biol. Ecol., 320: 57-63. 

  33. Horinouchi, M. 2005. A comparison of fish assemblages from seagrass beds and the adjacent bare substrata in Lake Hamana, central Japan. Laguna, 12: 69-72. 

  34. Horinouchi, M. 2007. Distribution patterns of benthic juvenile gobies in and around seagrass habitats: Effectiveness of seagrass shelter against predators. Estuar. Coast. Shelf. Sci., 72: 657-664. 

  35. Horinouchi, M. and M. Sano. 2001. Effects of changes in seagrass shoot density and leaf height on the abundance of juveniles of Acentrogobius pflaumii in a Zostera marina bed. Ichthyol. Res., 48: 179-185. 

  36. Horinouchi, M., N. Mizuno, Y. Jo, M. Fujita, M. Sano and Y. Suzuki. 2009. Seagrass habitat complexity does not always decrease foraging efficiencies of piscivorous fishes. Mar. Ecol. Prog. Ser., 377: 43-49. 

  37. Kikuchi, T. 1974. Japanese contribution on consumer ecology in eelgrass bed, with special reference to trophic relationships and resources in fisheries. Aquat. Bot., 4: 145-160. 

  38. Kimura, S., K. Tsumoto and K. Mori. 1987. Development of Eggs, Larvae and juveniles of the cottid Fish, Pseudoblennius cottoides, reared in the laboratory. Japan. J. Ichthyol., 34: 346-350. 

  39. Lazzari, M.A. and K.W. Able. 1990. Northern pipefish, Syngnathus fuscus, occurrence over the mid-Atlantic Bight continental shelf: evidence of seasonal migration. Environ. Biol. Fish, 27: 177-185. 

  40. Lee, K.S. and S.Y. Lee. 2003. The seagrasses of the Republic of Korea. In: Green, E.P., F.T. Short and M.D. Spalding (eds.), World Atlas of Seagrasses: Present Status and Future Conserv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pp. 193-198. 

  41. Lee, K.S., J.I. Park, Y.K. Kim, S.R. Park and J.H. Kim. 2007. Recolonization of Zostera marina following destruction caused by a red tide algal bloom: The role of new shoot recruitment from seed banks. Mar. Biol., 147: 1091-1108. 

  42. McNeill, S.E. and P.G. Fairweather. 1993. Single large or several small marine reserves? An experimental approach with seagrass fauna. J. Biog., 20: 429-440. 

  43. Nakabo, T. 2002. Fishes of Japan with pictorial keys to the species. Tokai Univ. Press, Kanagawa, 1749pp. 

  44. Park, J.I. and K.S. Lee. 2009. Peculiar growth dynamics of the surfgrass Phyllospadix japonicus on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Mar. Biol., 156: 2221-2233. 

  45. Shannon, 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Illinois Univ. Press, 117pp. 

  46. Short, F.T. and S. Wyllie-Echeverria. 1996. Natural and human induced disturbance seagrass. Environ. Conserv., 23: 17-27. 

  47. Sogard, S.M. 1989. Colonization of artificial seagrass by fishes and decapod crustaceans: importance of proximity to natural eelgrass. J. Exp. Mar. Biol. Ecol., 85: 35-53. 

  48. Stoner, A.W. 1980. The role of seagrass biomass in the organization of benthic macrofaunal assemblages. Bull. Mar. Sci., 30: 537-551. 

  49. Watanabe, S. and Y. Watanabe. 2001. Brooding season, sex ratio, and brood pouch development in the seaweed pipefish, Syngnathus schlegeli, in Otsuchi Bay. Japan. Ichthyol. Res., 48: 155-16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