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언해의서 비교고찰을 통한 한의학용어의 번역표준안 - 『언해두창집요』, 『언해구급방』, 『언해태산집요』를 중심으로
Standard Translation of Terms of Korean Medicine through Consideration of Chinese-Korean Collated Medical Classics - With focus on 『Eonhaegugeupbang』, 『Eonhaetaesanjipyo』 and 『Eonhaetaesanjipyo』 - 원문보기

韓國韓醫學硏究院論文集 =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v.18 no.3 = no.36, 2012년, pp.49 - 61  

구현희 (한국한의학연구원 문헌연구그룹) ,  김현구 (한국한의학연구원 문헌연구그룹) ,  이정현 (한국한의학연구원 문헌연구그룹) ,  오준호 (한국한의학연구원 문헌연구그룹) ,  권오민 (한국한의학연구원 문헌연구그룹)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rticle set out to develop an old Chinese - modern Korean collated terminology by analyzing and paralleling Chinese-Korean translational terms relevant to Korean medicine at a minimum meaning unit from "Eonhaegugeupbang", "Eonhaetaesanjipyo" and "Eonhaetaesanjipyo". Those are composed of orig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의서를 번역하면서 중요한 증상은 아니지만 모두 답답하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는 듯하나 정확한 의미를 규정하기 애매한 용어가 煩渴, 煩悶, 煩躁 등이다. 『언두』나 『언구』, 『언태』에서는 煩을 어떻게 언해하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 그 중 번역이 애매하거나 여러 가지로 번역이 도출되는 경우들을 모아서 병증 · 신체부위 · 조법 · 치법으로 분류하여 한의학 번역 표준안에 대한 단초를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 도량형(분류사)과 약재명에 대해서는 이미 소정의 연구결과가 있으므로 제외하고 그 외 병증 · 신체부위 · 조법 · 치법으로 분류하여 규정하기 어려운 해석에 대해 고찰해보고, 한의학 번역 표준에 대한 단초를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 도량형(분류사)과 약재명에 대해서는 이미 소정의 연구결과가 있으므로 제외하고 그 외 병증 · 신체부위 · 조법 · 치법으로 분류하여 규정하기 어려운 해석에 대해 고찰해보고, 한의학 번역 표준에 대한 단초를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언해의서가 한자에 익숙하지 않은 의관이나 백성들이 쉽게 볼 수 있는 의서를 간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었다는 점에 초점을 두고 병증, 증상 등 설명에 대해서도 보다 자세하고, 혼동하기 쉬운 대상을 언해로 쉽게 풀어서 간행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언해의서들 중 위 세가지 의서들을 기준언해서로 선택한 것은 이 언해의서들이 국가차원에서 간행한 관찬의서였으며, 『東醫寶鑑』을 편찬한 허준의 저작물이라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다.
  • 본고에서는 언해의서 중 『諺解痘瘡集要』·『諺解救急方』·『諺解胎産集要』에 등장하는 용어들을 한의학 용어로 볼 수 있는 최소의미단위로 나누어 각각의 원문과 언해를 발췌하고, 중복되는 용어들이 어떻게 언해로 풀어서 적용되어 있는지를 비교해 보았다.
  • 신체용어는 대부분 어느정도의 번역표준이 완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나, 번역을 하다보면 정확한 부위를 알기 어려운 경우를 종종 볼 수 있으므로 본고에서 다뤄보고자 한다.
  • 한의학 용어의 번역표준화는 이러한 사회적 요구를 충족해 나아가기 위한 여러 단계 중 기초단계이며 지금부터라도 다각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는 시각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번역표준안의 초석을 다져보고자 조선시대 허준이 동참하여 간행했던 관찬언해의서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해보도록 하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번역을 언해라고 부르던 시기는? 세종때 盧重禮가 撰한 「胎産要錄」을 改編 · 補完한 胎産 · 胎兒保護에 대한 産書로 1권1책으로 되어있다. 현재 서울대 규장각, 국립중앙도서관, 한독의약박물관에 소장중이며 보물 제 1088호이다.2) 한글창제 이후부터 개화기 이전에는 번역을 보통 언해라고 불렀는데, 중앙에서만 간행되던 언해서가 16세기에 들어서는 지방에서도 간행되기 시작하였고, 17세기 이후부터는 교정청의 경서언해의 보급으로 언해서가 보편화되었다. 이러한 언해의 확대는 한글을 보급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문자생활을 가능하게 하고 나아가서는 번역을 통해 새로운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문화의 향상과 학문의 발달에 기여하였다고 볼 수 있다.
언해의서들이 편찬되던 당시의 역사적 상황은? 언해의서들이 편찬되던 당시 임진왜란으로 인해 백성들은 기근과 전염병이 난무하여 사망자가 속출하였다. 1602년에는 함경도, 전라도에 여역 및 대소역, 대두온 등이 크게 발생하여 1604년까지 계속되었다.
과거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이루어진 한의학계의 의학서적에 대한번역에 오류가 생기는 이유는? 현재 한의학계에 우수하고 다양한 의학서적에 대한번역이 요구되고, 과거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많은 서적들이 번역이 되었지만 일반적인 고전번역과는 달리 치료를 대상으로 하는 한의학 용어의 특수한 성격으로 인하여 같은 용어를 전혀 다르게 번역하거나, 비슷하게 번역이 되었더라도 의미가 달라지는 경향이 있어왔던 것이 사실이다. 이는 인문학 위주의 고전번역전문가가 한의학 지식을 갖추지 못한 채 번역을 진행하거나, 반대로 한의학 지식전문가가 익숙치 않은 한문번역을 하면서 생기는 불가피한 오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지금까지는 고전의학서적을 번역하는 것만으로도 어느 정도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었으나 세계의료시장에 한의학의 경쟁력 신장을 꾀하려는 지금의 요구를 해소해주기에는 역부족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안상우 외 역. 언해두창집요. 한국한의학연구원. 2011. 

  2. 안상우 외 역. 언해구급방. 한국한의학연구원. 2011. 

  3. 안상우 외 역. 언해태산집요. 한국한의학연구원. 2011. 

  4. 홍윤표 외 간. 17세기국어사전. 태학사. 1995. 

  5. 남광우. 교학고워사전. (주)교학사. 1997. 

  6. 한글학회 편. 우리말큰사전V.4(고어편). 어문각. 1992. 

  7. 신경철. 국어자석연구. 태학사. 1993. 

  8. 윤석희, 김형준 역. 동의보감. 동의보감출판사. 2006. 

  9. 노석선. 原色 皮膚科學, (주)아이비씨기획. 2006. 

  10. 강유리. 救急簡易方諺解와 東醫寶鑑湯液篇의 약재명에 대한 비교. 공주대 대학원. 2004. 

  11. 강진주. 15.16세기 의약서 언해의 표기와 음운 현상 연구. 전북대 대학원. 2012. 

  12. 김민수. 언해두창집요의 의사학적 고찰. 경희대 대학원. 2003. 

  13. 김중권. 許浚의 諺解救急方, 諺解痘瘡集要, 諺解胎産 集要에 관한 書誌學的 硏究. 중앙대 대학원. 1994. 

  14. 김현진. 救急方諺解의 표기법과 음운현상 연구. 공주대대학원. 2010. 

  15. 원순옥. 救急方諺解의 語彙 硏究. 대구효성가톨릭대 대학원. 1996. 

  16. 육신영. 언해태산집요에 대한 번역 연구. 동국대 대학원. 2008. 

  17. 윤혜정. 諺解救急方의 국어학적 연구. 서울 숙명여대. 1996. 

  18. 정순덕. 구급방의 의사학적 연구. 경희대대학원. 2009. 

  19. 정은아. 許浚의 諺解胎産集要에 對한 硏究. 경희대대학원. 2003. 

  20. 채인숙. 17세기 醫書諺解의 국어학적 고찰. 한양대 대학원. 1986. 

  21. 강순애. 새로 발견된 내의원자본 언해두창집요의 연구. 서지학회. 2000. 

  22. 김남경. 구급 간이방의 국어학적 연구. 한국어문연구. 2000;70. 

  23. 김남경. 諺解救急方下의 국어학적 고찰. 국어사연구. 2004;4. 

  24. 김남경. 구급방류 구문연구-증세구문을 중심으로. 민족문화논총. 2003;33. 

  25. 김남경. 구급방류 의서의 구문 연구-처방과 관련된 구문을 중심으로. 語文硏究. 2007;53. 

  26. 김남경. 구급방류 의서의 언해 비교-동일 원문을 대상으로. 언어과학연구. 2005;32. 

  27. 김영신. 救急方諺解 상하의 어휘 고찰-붙임(어휘 색인). 수련어문학회. 1976;4. 

  28. 김유범. 언해태산집요의 국어학적 특징에 대하여. 국어사연구. 2009;9. 

  29. 김중권. 諺解救急方의 서지학적 연구. 서지학연구. 1994;10. 

  30. 김중권. 諺解胎産集要의 서지적 연구. 서지학연구. 1993;9. 

  31. 김중권. 諺解痘瘡集要 서지학적 연구. 현대사회과학연구. 1994;5. 

  32. 김희경. 한자어의 번역 어휘 연구. 한국어문학회. 2011;112. 

  33. 박영섭. 救急方諺解 上.下에 나타난 한자 對譯語 및 어휘 연구(2). 강남대논문집. 2002;39. 

  34. 박영섭. 救急方諺解 上.下에 나타난 한자 對譯語 및 어휘 연구(1). 강남대논문집. 2001;37. 

  35. 박영섭. 胎産集要諺解에 나타난 한자 對譯어휘 硏究(1). 인문과학논집. 2004;13. 

  36. 박영섭. 胎産集要諺解에 나타난 한자 對譯어휘 硏究(2). 인문과학논집. 2005;14. 

  37. 석주연. 조선 시대 의학서 언해류에 나타난 분류사의 종류와 기능. 우리말 글. 2011;51. 

  38. 원순옥. 구급방(언해)의 희귀 어휘 연구. 한국말글학회. 2003;20. 

  39. 이경옥. 救急簡易方諺解의 表記法 硏究. 단국어학. 1991;1. 

  40. 이미향. 신자료 언해본 침구경험방의 국어학적 고찰. 국결학회. 2003. 

  41. 이태욱. 언해태산집요에 나타난 17세기 국어 부정법 고찰. 언어과학연구. 2003;24. 

  42. 이현숙. 언해 벽온신방과 언해 납약증치방의 역사적 의의-이화여대 소장본을 중심으로. 언해과학연구. 2003;24. 

  43. 장영길. 諺解臘藥症治方의 희귀어휘 연구. 반교어문 연구. 2006;21. 

  44. 장영길. 동국대 경주도서관본 諺解痘瘡集要에 대하여. 불교어문논집. 2004;9. 

  45. 정순덕. 許浚의 諺解救急方에 관한 硏究. 한국의사학회. 2003;16(2). 

  46. 최미현. 救急簡易方에 반영된 한자음의 변화 양상. 우리말연구. 2008;22. 

  47. 최미현. 諺解胎産集要와 東醫寶鑑의 원문 대조 연구(1). 우리말연구. 2009;25. 

  48. 최미현. 언해태산집요에 반영된 한자음의 변화 양상에 대하여. 새얼어문논집. 2007;19. 

  49. 최미현. 언해 의서류의 역주 방법 연구. 국어사연구. 2011;12. 

  50. 최중호. 언해태산집요의 약재명 한자음 연구. 한말연구. 2008;22. 

  51. 최충기. 구급방류 의서의 치료구문 연구. 민족문화논총. 2009;4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