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독서 멘토링 활동의 경험과 교훈
Experiences and Lessons from the Reading Mentoring Programs in School Libraries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3 no.3, 2012년, pp.239 - 263  

노지현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윤유라 (동의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학교도서관이 상황이 열악하다보니 학교도서관의 운영이나 독서교육과 관련하여 지역의 공공도서관에 도움을 청하는 학교가 적지 않다. 그러나 공공도서관이 처한 여러 가지 현안을 해결해 나가는 데에도 벅찬 실정에서 학교도서관 지원에 관한 업무까지 해나가야 한다는 사실에 공공도서관에서는 적지 않은 부담을 느끼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부산시에서는 지역대표도서관인 부산시립시민도서관과 대학의 문헌정보학과, 그리고 지역교육청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독서 멘토링 활동'을 시범적으로 전개해 보았다. 이 연구는 지난 7개월 간의 경험을 토대로 학교도서관의 독서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독서 멘토링 활동의 효과에 대해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operation with public libraries for strengthening the solid foundation and the reading education of school library have been recommended in Korea. However with the immensity of the task, public libraries are under considerable pressure for the unilateral support.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독서 멘토링의 주된 목적은? 우리 연구팀에서 계획한 독서 멘토링 활동의 주된 목적은 멘토와의 상호작용과 친밀감 형성을 통해 독서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독서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데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우리는 두 초등학교의 학생들에게 멘토링 프로그램을 소개한 후 원하는 시간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도록 하였다.
독서 멘토링 활동에 있어 중요한 것은? 독서 멘토링 활동에 있어 운영자의 전문 지식과 풍부한 경험이 특히 중요하다고 볼 때 내실 있는 교육과 훈련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침이 없다고 할 수 있다. 이번 활동에 운영자로 참여한 학생들 또한 가장 필요로 하는 부분이 바로 교육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독서 멘토링 운영 상 문제점은? 그러나 긍정적인 측면 못지않게 앞으로 개선하여야 할 사항이나 운영상의 미숙함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가장 큰 문제는 ‘독서자료의 선정’에 있었다. 다양한 자료를 참조하고, 도서관 실무자들의 조언을 참조해 가면서 독서자료를 세심하게 선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적용 과정에서 학생들의 수준에 맞지 않거나 학생들의 흥미를 전혀 유발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가령, 많은 학생들이 이미 읽은 자료이거나 교과서에 수록된 자료, 짧은 시간 내에 내용을 파악하기에 힘든 자료 등의 경우에는 학생들의 흥미와 참여가 현저히 떨어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권은경. "학교도서관의 독서교육 제고를 위한 공공도서관의 지원방안." 사회과학연구(대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제10집, 제2호(2002), pp.35-52. 

  2. 김미옥. "사회복지학에서의 실행연구 적용과 유용성." 한국사회복지학, 제61권, 제3호(2009), pp.179-204. 

  3. 양민화, 서유진. "대학생의 멘토링을 통한 읽기 중재 프로그램이 학습부진 학생의 읽기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 제8권, 제1호(2009), pp.87-110. 

  4. 윤유라, 이제환. "일본의 독서교육에서 학교도서관의 의미: 학생들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1권, 제1호(2010), pp.187-209. 

  5. 이경민. "초등학생 독서교육을 위한 도서관 협력방안에 관한 연구: 공공도서관의 학교도서관 지원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5권, 제3호(2004), pp.95-117. 

  6. 이기명. 학교도서관의 자생력 제고를 위한 공공도서관의 역할 모색 : 울산지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3. 

  7. 이용남.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연계.협력 체제에 대한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8권, 제2호(2007), pp.353-372. 

  8. 이용숙 등. 실행연구방법. 서울 : 학지사, 2005. 

  9. 정동열, 김성진.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의 협력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13권, 제2호(2002), pp.5-28. 

  10. 조인숙, 김희숙. "초등학교 도서관의 학부모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0권, 제2호(2009), pp.155-166. 

  11. 한복희 등. "지역대표도서관 중심의 도서관 협력체계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4권, 제1호(2010), pp.267-295. 

  12. 한윤옥, 곽철완.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 협력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5권, 제1호(2004), pp.337-357. 

  13. Fitzgibbons, Shirley A. School and public library relationships: essential ingredients in implementing educational reforms and improving student learning. [cited 2012. 7. 23]. 

  14. O'Brien, Rory. An Overview of the Methodological Approach of Action Research. [cited 2012. 5. 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