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도서관 독서교육방법으로서의 구성주의 학습이론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 Application of Constructivism to Reading Instruction in the School Library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3 no.3, 2012년, pp.265 - 289  

서진원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학교도서관 독서교육에 관한 연구이다. 독서교육은 학교도서관의 중요한 역할 중의 하나이다. 구성주의는 현대의 중요한 학습이론으로 각 교과의 학습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성주의의 학습원칙을 학교도서관의 독서교육에 적용하였다. 독서교육은 오늘날 독서전략에 관심을 가지고 발전하고 있으며, 주로 국어과 독서교육에서 연구되어 왔다. 여러 문헌들의 독서전략들을 조사하고, 이를 Westhoff가 제안한 방식으로 범주화하여 학교도서관의 독서교육과정에 적용하였다. 구성주의 학습원칙은 강인애가 정리한 것을 중심으로 적용하였으며, 독서교육과정은 한국도서관기준의 학교도서관 정보이용교육단계를 기준으로 하였다. 학교도서관의 정보이용교육(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은 독서교육을 포함하며, 그것을 더욱 확장 발전시킨 개념이기 때문이다. 구성주의 학습원칙을 적용한 학교도서관의 독서교육은 학교교육과 학교도서관의 발전에 기여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I studied on reading instruction in the school library. Reading instruction is a very important role of school library. And it is an essential element of school education. In this paper, I tried an application of constructivism for reading instruction.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독서의 광의적 개념은 무엇인가? 독서의 광의적 개념은 정보매체를 통한 정보의 습득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매체’와 ‘정보의 습득’은 독서의 개념과 목적을 설명하는 요인이 된다.
3Rs 교육의 3R이란 무엇을 뜻하는가? 20세기 중반의 시청각자료 출현이전까지는 인쇄책이 학교교육에서 거의 유일한 정보매체였으므로 독서를 통한 지식과 정보의 습득은 학교교육의 핵심이 될 수밖에 없었다. 3Rs 교육 즉 Read, wRite, aRithmetic은 모든 국가의 초등단계 학교교육에서 오래동안 가장 중요한 교육목표가 되었으며, 그 중 read와 write는 문식성(literacy)을 나타내는 것으로 독서교육에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독서의 개념과 목적을 설명하는 요인에 대해 설명하라. 여기서 ‘정보매체’와 ‘정보의 습득’은 독서의 개념과 목적을 설명하는 요인이 된다. 정보매체란 정보를 전달하는 수단 혹은 도구로서 그 개념을 확장하면, 우리에게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이 정보매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독서의 개념에서는 일반적으로 인쇄정보(인쇄책)와 전자정보(전자책)를 정보매체로 말한다. 정보습득의 개념은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하나는 정보매체에 있는 정보를 그대로 습득하는 것을 나타내며, 다른 하나는 정보매체에 있는 정보를 통해서 독자 나름의 정보가 습득된다고 하는 개념이다. 후자의 독서개념은 ‘독서란 복잡한 인지적 기술로서 독자는 텍스트의 정보를 독자의 기존 지식과 관련시켜 의미를 구성하는 것5)’을 말하며, 이것은 현대의 구성주의적 지식 구성 개념에 속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강인애. 우리시대의 구성주의. 서울 : 문음사, 2003. 

  2. 강인애 등. 구성주의 교육학. 서울 : 교육과학사, 2002. 

  3. 노명완. "읽기의 개념과 읽기 지도의 문제점." 교육한글 3 (1990). 

  4. 노명완. "독서: 그 개념과 교육의 중요 이슈들."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2011. 

  5. 도서관법. 법률 제11310호, 일부개정 2012. 02. 17. 

  6. 문화체육관광부. 2011년 국민독서실태조사. 

  7. 박수자. "구성주의 이론의 국어교육학적 의의." 독서연구, 제18집(2007), pp.1-26. 

  8. 박수자. 읽기지도의 이해.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9. 박찬흥. "사회구성주의 작문이론의 비판적 재검토." 한국작문학회 연구발표자료집 19집(2010), pp.34-35. 

  10. 변우열. 독서교육의 이해. 고양시 : 조은글터, 2010. 

  11. 서진원. "교육방법으로서의 구성주의와 구조주의의 비교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0권, 제4호(2009. 12), pp.81-92. 

  12. 서진원. "구성주의 교육방법의 구현요소로서의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2권, 제2호(2011. 6), pp.215-236. 

  13. 이병기. "학교도서관 중심의 독서교육을 위한 독서전략 범주화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9권, 제3호(2008. 9), pp.139-159. 

  14. 이상구. "구성주의 문학협동학습 방안 탐색." 독서연구, 제10집(2003), pp.163-204 

  15. 이상구. "국어교육: 구성주의적 독서교육 방안탐색-급진적 구성주의를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제70집(2005), pp.101-145. 

  16. 이성영. "구성주의적 읽기교육의 방향." 한국초등국어교육, 제18집(2001), pp.57-80. 

  17. 이재기. "사회구성주의 관점에서의 독자." 독서연구, 제16집(2006), pp.77-109. 

  18. 임경순.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문학텍스트 읽기." 독서연구, 제18집(2007), pp.71-95 

  19. 임천택. "독서교육에서 구성주의 관점의 수용." 새국어교육, Vol.59, No.1(2000), pp.171-195. 

  20. 임형연. "독서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구성주의 관점에서의 해석." 한국일본어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5, No.7(2004), pp.703-706. 

  21. 전성연 편. 교수-학습의 이론적 탐색. 서울 : 원미사, 2001. 

  22. 정승원. 구성주의 문학교육의 이론과 실재: 조세희, 윤홍길 작품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3. 주해영. 성장소설의 구성주의적 교육방안 연구: 김소진의 [자전거 도둑]을 중심으로.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4. 최자은. 읽기와 연계한 동화감상문 쓰기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구성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25. 학교도서관진흥법. 법률 제11310호(도서관법) 일부개정 2012. 2. 17. 

  26. 한국도서관협회. 한국도서관기준. 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2003. 

  27. 한국어문교육연구소, 국어과교수학습연구소 편. 독서교육사전. 서울 : 교학사, 2006. 

  28. Alberto Manguel. 독서의 역사. 정명진 역. 서울 : 세종서적. 2000. 

  29. Bimmel, Peter. "Effects of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in Secondary Education - A Review of Intervention Studies." L1 - Educational Studies in Language and Literature 1. Kluwer Academic Publishers in the Netherlands, 2001, pp.273-298. 

  30. Bransford, J. D. & M. K. Johnson, "Contextual prerequisites for understanding."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17(1972). 

  31. Cook, Doris M. ed. A Guide to Curriculum Planning in Reading. Madison WI : Wisconsin Department of Public Instruction, 1986. 

  32. Durant, Will. 철학이야기. 황문수 역. 서울 : 고려대학교출판부. 1984. 

  33. Eisenberg, Michael B. & Robert E. Berkowitz. Curriculum Initiative: an Agenda and Strategy for Library Media Programs. New Jersey : Ablex Publishing Co., 1988. 

  34. Flippo, Rona F., "Points of agreement: a display of professional unity in our field", The Reading Teacher, Vol.52. No.1(september 1998), pp.30-40. 

  35. Hinson, Bess ed. New Directions in Reading Instruction revised ed.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2000. 

  36. Kneller, George F. Movements of Thought in Modern Education. New York : John Wiley & Sons Inc., 1984. 

  37. Leslie P. Steffe & Jerry Gale ed. 교육과 구성주의. 이명근 역. 서울 : 학지사, 2005. 

  38. Paris, Scott G. et al. "Becoming a Strategic Reader."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8 (1983), pp.293-316. 

  39. Ponce, Hector R. et al.. "Instructional effectiveness of a computer-supported program for teaching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ies." computers & education, 59(2012), pp.1170-1183. http://dx.doi.org/10.1016/j.compedu.2012.05.013 

  40. Smith, Richard J. & Thomas C. Barrett ed., Teaching reading in the middle grades. Massachusetts : Addison-Wesley Pub. Co., 1979. 

  41. Spivey, 구성주의와 읽기.쓰기. 신헌재 등 역. 서울 : 박이정, 2004. 

  42. Vygotsky, L. S. Mind in Society. Cambridge, Mass. : Harvard Univ. Press., 1978. 

  43. Westhoff, Gerard J.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Foreign Language Reading Instruction: part 1." ADFL-Bulletin, Vol.22, No.2(Winter 1991), pp.29-36. 

  44. Westhoff, Gerard J.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Foreign Language Reading Instruction: part 2." ADFL Bulletin, Vol.22, No.3(Spring 1991), pp.28-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