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국인근로자의 근로환경 및 안전보건실태 조사 연구
The survey study on working conditions and industrial safety & health of foreign workers 원문보기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14 no.1, 2012년, pp.53 - 63  

이관형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  조흠학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foreign worker's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state, which find out the improvement to secure the basic safety net for foreign workers. We have investigated 2,050 workers through direct interviews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12, 2010 to May 31, 2010. And the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조사연구는 기존의 지역적이고 부분적인 조사에서 전 지역으로 확대하여 광범위하게 외국인 근로자들이 안고 있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산업안전보건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이를 통해 외국인근로자들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을 찾아 기본적으로 개선해야 할 제도적 장치가 무엇인지 제언하고자 한다.
  • 이는 국내 제조업 및 건설업의 경우에 있어서는 산업재해율과 국내에 체류하고 있는 전체 외국인 근로자 중에서 외국인 근로자가 발생하는 산업재해율 비교 분석에서 외국인 근로자 산업재해율이 훨씬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12]. 따라서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산재예방과 건강보호를 위해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991년 정부가 외국인 근로자는 국내에 유입하려는 이유는 무엇인가? 80년대 후반 들어 나타난 국내 기업의 빠른 경제 성장, 임금 수준의 상승 및 이른바 3D 업종 작업장은 심각한 노동력 부족현상이 발생하기 시작하면서, 정부에서는 1991년 합법적으로 외국인 근로자를 국내에 유입하기위해 10월 법무부 훈령 제 255호 ‘외국인 산업기술연수사증 발급 등에 관한 업무지침’을 근거로 아시아 각국의 많은 젊은이들이 합법적인 절차를 걸쳐 산업기술연구생으로 한국에 입국을 시작하였으나, 제조업, 건설업을 포함한 전 산업에 불법적인 외국 인력 유입이 급격하게 가속화되었다. 현재 법무부 자료에 의하면 1988년 이전까지의 외국인 국내 총 체류자수는 불과 수 천 명에 불과하였으나 1998년을 기점으로 급격히 증가하여 2010년 현재 외국인 근로자는 1,261,415명이며, 등록체류자가 1,092,900명(86.
법무부 자료에 의하면 2010년 기준 우리나라 외국인 체류자의 수는 어떻게 집계되는가? 80년대 후반 들어 나타난 국내 기업의 빠른 경제 성장, 임금 수준의 상승 및 이른바 3D 업종 작업장은 심각한 노동력 부족현상이 발생하기 시작하면서, 정부에서는 1991년 합법적으로 외국인 근로자를 국내에 유입하기위해 10월 법무부 훈령 제 255호 ‘외국인 산업기술연수사증 발급 등에 관한 업무지침’을 근거로 아시아 각국의 많은 젊은이들이 합법적인 절차를 걸쳐 산업기술연구생으로 한국에 입국을 시작하였으나, 제조업, 건설업을 포함한 전 산업에 불법적인 외국 인력 유입이 급격하게 가속화되었다. 현재 법무부 자료에 의하면 1988년 이전까지의 외국인 국내 총 체류자수는 불과 수 천 명에 불과하였으나 1998년을 기점으로 급격히 증가하여 2010년 현재 외국인 근로자는 1,261,415명이며, 등록체류자가 1,092,900명(86.6%), 미등록체류자가 168,515명(13.4%)이다[8].
2005년부터 2010년까지 6년간 국내에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력의 변화 추이는? 그리고 2005년부터 2010년까지 6년간 국내에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2005년도를 기준년도로 하여 지수 100으로 할 때 매년 증가추세를 보였으며, 2010년도에는 2005년도 비해 국내 체류자가 1.5배 증가한 159였다[8][그림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고준기. "외국인 고용허가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과 정책연구." 5(1) (2005) :222-8. 

  2. 김규상. "이주 노동자의 건강실태 및 건강관리방안 연구."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08). 

  3. 김희걸, 현혜진, 김용구 등. "유해화학물질 취급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 노동부, (2005) : 232. 

  4. 노상헌. "동아시아 국가의 외국인 근로자 유입과 법적 보호." 노동법논총, (2010) :19. 

  5. 노재철. "미등록 외국인 근로자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노동법논총, (2010) :18 

  6. 박수만, 박종태. "외국인 근로자의 산업안전보건실 태조사." 한국노동조합총연맹, (2006). 

  7. 박수만, 정혜선, 김용규 등. "외국인 근로자의 사업장 보건관리 개선방안." 한국노동조합총연맹, (2007). 

  8. 법무부 출입국 : 외국인정책본부. http://www.immi gration.go.kr.(접속 2011/12/13/) 

  9. 설동훈. "국내 거주 외국인 노동자 인권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02). 

  10. 송연이, 김희걸, 이꽃메 등. "외국인 근로자의 산업 안전보건 지원체계." 산업간호학회지, 16(1) (2007) :67- 77. 

  11. 유길상, 이규용. "외국인 근로자의 고용실태와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01). 

  12. 이관형, 조흠학, 유기호. "우리나라 전체근로자와 외국인근로자의 산업재해율과 사망만인률 비교연구." 한국안전학회지, 27(1) (2012), 96-104. 

  13. 이꽃메, 정혜선, 이윤정 등. "외국인 근로자의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산업간호학회지, 18(2) (2009):165-73. 

  14. 이선웅, 김규상, 김태우. "이주노동자와 국내 한인 노동자의 산업재해현황 및 특성 비교." 대한산업의학회지, 20(4) (2008) :351-61. 

  15. 이승길. "외국인 근로자의 안전보건 실태 및 산재 보험 처리에 관한 조사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1). 

  16. 이혜경. "외국인 노동자 고용에 관한 연구국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학, 28 (1994) :89-113. 

  17. 정혜선, 김용규, 김현리 등. "성별에 따른 외국인 근로자의 건강실태 및 직업성 특성." 산업간호학회지, 17(2) (2008) :126-37. 

  18. 최재욱, 김정아, 김해준, 박종태. "한국 일부지역의 이주 근로자의 근로조건과 산업재해 실태 조사." 대한산업의학회지, 11(1) (1999) :66-79. 

  19. 하은희, 이승길, 최재욱, 홍윤철. "외국인 근로자들의 근로실태, 산업재해 및 건강실태." 산업보건, 166 (2002) :4-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