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근로자의 직장 내 유해인자 노출과 장기적인 건강문제의 관련성: 제5차 근로환경조사를 이용하여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Hazard Exposures and Chronic Health Problems in Korea: The Fif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9 no.1, 2020년, pp.58 - 68  

김윤희 (대한산업보건협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orkers with chronic health problems find it difficult to maintain their work because of socioeconomic difficul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ergonomic, and mental health hazards in the workplace and chronic health problems of Korean work...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한국 근로자의 근무여건을 대표할 수 있는 제5차 근로환경조사(The Fif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2017)를 활용하여 장기적인 건강문제와 관련 있는 물리적, 인간공학적, 정신건강 유해인자를 파악하고, 이 중 어떠한 유해인자들이 장기적인 건강문제와 상관관계가 더 높은지를 파악하여 이를 통해 임금 근로자들에 위험할 가능성이 높은 유해인자를 찾아내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일부 특정집단이나 업종이 아닌 전국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설계에 의한 전국단위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직장 내 물리적, 인간공학적, 정신건강 유해인자와 장기적인 건강문제의 관련성을 분석한 연관성 연구이다. 이를 통해 각각의 물리적, 인간공학적, 정신건강의 유해인자들이 장기적인 건강문제에 얼마나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지 상대적으로 더 연관성이 더 큰 것은 무엇인지 비교할 수 있게 되었다.
  • 이 연구를 통해서 우리는 한국의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전 연령층의 장기적인 건강문제를 가진 군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고, 직장 내 유해인자의 노출과 장기적인 건강문제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작업 관련 위험유해인자에 의한 장기적인 건강문제를 일으켰을 수도 있지만, 담배연기처럼 물리적, 화학적 유해인자에 노출된다는 사실을 인식함으로서(Oh, Lee & Lee, 2002), 또는 소음, 분진, 진동, 고온, 환경처럼 근로자의 인식 여부와는 무관하게 물리적, 화학적, 유해인자들을 취급하는 작업환경자체가 열악하여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여러 기전을 통해 신체적인 만성질환을 먼저 발생시키는 것을 가정할 수 있다(Park et al., 2011). 또한 사람을 들어 올리거나 이동시킴, 서있는 자세, 앉아있는 자세보다는 피로하거나 통증을 주는 자세, 무거운 물건을 끌거나 밀거나 이동시킴, 반복적인 손동작에 노출된다는 사실을 인식함으로써, 또는 반복적이며 누적적이며 복합적인 요인으로 근골격계질환을 발생시켰을 수도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로자의 장기적인 건강문제는 개인과 기업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가? 근로자의 장기적인 건강문제는 개인의 업무 수행능력을 떨어뜨려 기업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며, 근로자 스스로 치료비용을 부담하는 문제가 있다. 그로 인해 가구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더 나아가 근로불능으로 인한 노동력 상실로 직장을 그만두게 하는 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Bound, Schoenbaum, Stinebrickner, & Waidmann, 1999).
근골격계질환의 통증 부위의 범위는? 11%) 증가하였다(Mi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OEL], 2018). 근골격계질환은 발생 부위 외 신체 전체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쳐 근육은 서로 상호작용하는 인대, 신경 및 살아있는 조직에 의해 연결되므로 손상과 관련이 없는 다른 부위에 통증이 생길 수 있다(Hong & Gu, 2010). 이는 통증과 부상으로 종종 운동과 일상생활 기능이 심각하게 제한되면서 장기적인 건강문제나 장애를 갖기도 한다.
정신질환자로 취급받을 수 있는 정신질환에는 무엇이 있는가? 노동력 손실의 측면에서 기업 및 국가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직장인의 정신건강 증진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Lee, 2015). 우울증, 공항장애, 불안장애, 외상 후 트라우마, 조현병 등의 주요 정신질환은 치료의 효과가 즉각적으로 나타나지 않아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환자들은 정신질환자라는 낙인을 받는 것을 두려워하며, 지속적 치료에 부적절한 사업장 내 환경으로 인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이는 예후의 악화로 이어지게 된다(Yoon,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ound, J., Schoenbaum, M., Stinebrickner, T. R., & Waidmann, T. (1999). The dynamic effects of health on the labor force transitions of older workers. Labor Economics, 6(2), 119-334. 

  2. Bovenzi, M. (2005). Health effects of mechanical vibration. Giornale Italiano di Medicina del Lavoro ed Ergonomia, 27(1), 58-64. 

  3. Caisse nationale de l'assurance maladie des travailleurs salarie's (CNAMTS). (2005). Statistiques nationales des accidents du travail, des accidents de trajet et des maladies professionnelle-2003. Paris: CNAMTS. 

  4. Cheung, S. S. (2007). Neuropsychological determinants of exercise tolerance in the heat. Progress in Brain Research, 162, 45-60. 

  5. Dembe, A. E. (2001). The social consequences of occupational injuries and illnesses.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40(4), 403-417. 

  6. Hong, J. Y., & Gu, J. W. (2010). Medical approach of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s.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9(4), 473-478. 

  7. Jeong, B. J. (2010). Ergonomics' role for prevent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9(4), 393-404. 

  8. Kim, C. H., Hwang, I. K., & Yoo, W. S. (2014). The common patterns of multimorbidity and its impact on healthcare cost in Korea.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4(3), 219-227. 

  9. Kim, J. Y., Lee, E. J., & Suh, S. R. (2017). Prevalence of long-term illness or health problems according to health behavior of manufacturing worker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11(1), 107-115. 

  10. Kim, J. Y., Seo, D. W., Kim, N. S., Ko, S. B., Kang, D. M., Kim, D. J., et al. (2002). Assessment of the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injuries to estimate the burden of disease in Korea (2002-60).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1. Kim, Y. H., Park, J. T., Yoo, C. I., Kim, S. G., Kim, D. S., Son, J. S., et al. (2014). Securing Labor in an Aging Society Health care plan for incumbent workers. Ulsan: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12.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of Prevention [KCDC]. (2018, December). Chronic disease status and issues in 2018, Retrieved December 17, 2018, from http://www.cdc.go.kr/gallery.es?mida20503020000&bid0003& actview&list_no142114 

  13. Korea Occupation Safety Health Research Institute [KOSHRI]. (2017). 5th Korea Working Environment Survey Questionnaire Development and Complementary Report (2017-KOSHRI-986). Uls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14. Korea Occupation Safety Health Research Institute [KOSHRI]. (2017). Second report of the 5th Korea working environment survey (2017-KOSHRI-1019). Uls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15. Kwon, S. M. (1997). Assessment of psychopathology in anxiety disorder. Korean Journal Psychopathol, 6, 37-51. 

  16. Lee, J. H. (2010). Occupational diseases of noise exposed workers. Hanyang Medical Reviews, 30(4), 326-332. 

  17. Lee, K. H., & Kim, K. S. (2015). Impact of smart devices on workers' work and life (2015-02). Sejong: Korea Labor Research Report. 

  18. Lee, Y. S. (2001). Study on risk factor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19. Lee, Y. W. (2017). Effects of the working environment on subjective health statu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7(3), 210-220. 

  20. Linardakis, M., Papadaki, A., Smpokos, E., Micheli, K., & Vozikaki, M. (2015). Association of behavioral risk factors for long-term illness or health problems wi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 European adults aged 50 years or older, 2004-2005. Preventing Long-Term Illness or Health Problems, 12(149), 1-9. 

  21. Mi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OEL]. (2018, December). 2017 Industrial Accident Status Analysis. Retrieved January 02, 2019, from http://www.moel.go.kr/info/publicdata/majorpublish/majorPublishView.do?bbs_seq20190100042 

  22. Oh, Y. A., Lee, M. S., & Lee, G. Y. (2002). Relationship between manufacturing workers' job conditions and stres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14(3), 301-314. 

  23. Park, J. S., Joh, K. O., Park, T. J., Oh, J. I., Paek, D. M., & Cho, S. I. (2011).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physical and chemical hazard exposure and mental health problems in Korea.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23(3), 287-297. 

  24. Park, Y. H. (2014). Strategy for noncommunicable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Journal Korean Medical Association, 57(10), 808-814. 

  25. Phee, Y. G. (2011).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carcinogens exceeding occupational exposure limit in Korea, 1999 to 2009.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1(4), 227-235. 

  26. Rhee, K. Y. (2014). Analysis of health inequality by the type of employment on health among employees- pathway of the effect via the exposure of hazardous factors. Journal of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16(2), 81-90. 

  27. Rodahl, K. (2003). Occupational health conditions in extreme environments. Annals of Occupational Hygiene, 47(3), 241-252. 

  28. Seo, H. G. (2007). The harmfulness of secondhand smok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8(7), 493-499. 

  29. Wang, S. J. (2019). Disease research caused by chemical accident.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Society Conference (pp. 291-292). 

  30. Yoon, J. H. (2016). Research for promoting mental health of workers (2016-KOSHRI-763). Uls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