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명상 캠프 프로그램이 아동 및 청소년의 우울, 불안,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 of Maum Meditation Program on the Depression, Anxiety and Self-esteem of the Children and the Juvenil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2 no.4, 2012년, pp.338 - 348  

김미한 (경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마음수련 명상을 활용한 25일간의 명상 캠프 프로그램이 아동 및 청소년의 우울, 불안,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초, 중, 고등학생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실시되었다. 대상자는 명상 캠프에 참여한 초, 중, 고등학생 466명이며 캠프 전과 후에 우울, 불안, 자아 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초, 중, 고등학생의 캠프 참여 전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 초등학생은 우울, 불안의 감소와 자아 존중감 증가가 나타났으나 중학생의 경우 우울은 감소하고 자아존중감은 증가하였으나 불안 점수는 감소하지 않았다. 고등학생의 경우 우울과 불안의 변화는 없었으며 자아존중감만 증가하였다. 마음수련의 원리를 적용한 명상 캠프 프로그램은 아동 및 청소년에게 적용하였을 때 긍정적 정서를 증가시키고 부정적 정서를 감소시킬 수 있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으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 of maum meditation program on depression, anxiety and self-esteem of the children and the juveniles. The research is based on the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questionnaires for the 467 children and juvenile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방학을 이용한 캠프 형태의 마음수련 명상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마음수련 명상이 아동 및 청소년의 우울, 불안,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건강증진 프로그램으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아울러 초, 중, 고등학생 집단에 따른 효과를 비교함으로써 각 집단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기억을 떠올려 그 영상을 버림으로써 마음을 버려 진정한 자아를 발견한다는 마음수련의 원리를 이용한 명상 캠프 활동이 아동 및 청소년의 불안, 우울,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것으로 연구 결과에 따른 논의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살아온 기억을 떠올려 그 영상을 지워 진정한 자아를 발견한다는 마음수련 명상의 원리를 이용한 청소년 마음수련 캠프가 참여한 아동 및 청소년의 불안, 우울,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건강유지 및 증진 전략으로써 활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의 우울, 불안, 자아 존중감의 수준을 파악하고 마음수련 명상 캠프 활동이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의 우울, 불안,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과 청소년은 어떤 시기인가? 아동과 청소년은 성장발달과정을 거치며 사회에 적응하는 중요한 시기이나 건강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 2009년 학생 정신건강 선별검사 결과에 따르면 12.
아동이나 청소년에게 적용된 지금까지의 명상은? 아동이나 청소년에게 적용된 지금까지의 명상은 신체움직임, 호흡, 사물에 집중하기, 읊조리기, 명상음악 듣기 등 일정한 대상에 집중하거나 일정한 신체적 동작들을 반복하여 간접적으로 마음을 다루는 방법이었다. 그러나 마음수련 명상법은 기존의 마음을 가라앉히는 명상과 달리 스스로가 자기 마음 탐색하여 제거하는 적극적인 기전을 갖고 있다[1].
마음수련 명상을 활용한 명상 캠프 프로그램이 아동 및 청소년의 우울, 불안,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초, 중, 고등학생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실시한 본 연구의 결과는? 대상자는 명상 캠프에 참여한 초, 중, 고등학생 466명이며 캠프 전과 후에 우울, 불안, 자아 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초, 중, 고등학생의 캠프 참여 전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 초등학생은 우울, 불안의 감소와 자아 존중감 증가가 나타났으나 중학생의 경우 우울은 감소하고 자아존중감은 증가하였으나 불안 점수는 감소하지 않았다. 고등학생의 경우 우울과 불안의 변화는 없었으며 자아존중감만 증가하였다. 마음수련의 원리를 적용한 명상 캠프 프로그램은 아동 및 청소년에게 적용하였을 때 긍정적 정서를 증가시키고 부정적 정서를 감소시킬 수 있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으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권기헌, 가야산으로의 7일간의 초대-하버드 박사의 인생을 바꾼 마음공부 이야기, 한언, 2002. 

  2. 김영숙, 단학 명상훈련이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3. 김재춘, 초등학생 13% 정신건강 적신호, 국정감사보도자료, 2009. 

  4. 김홍석, "명상, 요가 및 국선도 수련 참가 청소년의 자아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제15권, 제4호, pp.213-226, 2006. 

  5. 문혜진, 오경자, "한국판 아동-청소년 사회불안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21권, 제2호, pp.429-443, 2002. 

  6. 박은수, 19세 이하 소아 청소년 중 4 5000여명 우울증과 스트레스로 정신과 진료 받아, 국정감사보도자료, 2008. 

  7. 박정원, 김유미, "명상 기반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아동의 우울성향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제40권, 제1호, pp.67-87, 2009. 

  8. 보건복지가족부,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통계,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만성병조사팀, 2007. 

  9. 심후섭, 자기주장훈련이 아동의 우울성향, 주장행동, 귀인양식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9. 

  10. 우명, 하늘이 낸 세상 구원의 공식, 참출판사, 2005. 

  11. 이봉건, "한국판 마음챙김 명상이 대학생의 우울 증상, 마음챙김 수준 및 몰입수준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27권, 제1호, pp.333-345, 2008. 

  12. 이석기, 마음수련 명상 프로그램이 중,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3. 이은영, 아동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및 불안과 신체화 증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4. 이정호, 김영미, 최영민, 이기철, "명상이 문제해결능력과 자기인식에 미치는 효과", 신경정신의학, 제36권 제4호, pp.723-731, 1997. 

  15. 이종원, 2009 세대간 사회의식 비교조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16. 이주연, 정현희, "인지삼제와 아동의 우울, 불안간의 관계", 인지행동치료, 제9권, 제2호, pp.49-63, 2010. 

  17. 임기숙, 심리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타인수용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8. 장현갑, "스트레스 관련 질병 치료에 대한 명상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건강, 제9권, 제2호, pp.471-492, 2004. 

  19. 전규혁, 자아개념 증진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20. 정동명, 이상률, "마음수련의 원리와 심신의학 효과분석", 한국정신과학회지, 제5권, 제2호, pp.37-48, 2001. 

  21. 정문자, 여종일, "아동의 불안과 우울증상 및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사회적변인", 아동학회지, 제30권, 제3호, pp.71-83, 2009. 

  22. 정준용, 마음수련 명상이 홧병 증상과 정신건강 상태, 자존감,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3. 조성희, 박소영, "가출 경험 청소년의 우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7권, 제11호, pp.290-316, 2010. 

  24. 최경숙, 이영순, 천성문, "마음수련이 신경증적 중학생의 분노와 불안에 미치는 효과", 인문학논총, 제11권, 제1호, pp.75-101, 2006. 

  25. 최영희, 박영애, 박인전, 신민섭, "아동의 우울 및 불안경향과 자아존중감 및 정서지능과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0권 제2호, pp.203-214, 2002. 

  26. 최운, 천성문, "명상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습 태도와 수업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연구, 제11권, 제3호, pp.1203-1220, 2010. 

  27. 최현, 홍경자, "중학생에 있어서 참선과 국선도 명상 수련법의 효과", 한국대학상담학회지, 제4권, 제1호, pp.135-158, 1993. 

  28. 허동규, "명상프로그램이 노인의 스트레스반응 감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3호, pp.232-240, 2009. 

  29. D. Brage and W. Meredith, "A causal model of adolescents depression," Journal of Psychology, Vol.128, No.4, pp.455-468, 1994. 

  30. S. Coopersmith,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Palo Alto,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81. 

  31. J. Garber and C. Flynn, "Predictors of depressive cognitions in young adolescent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25, pp.353-376, 2001. 

  32. M. T. Greenberg, J. M. Siegel, and C. J. Leitch, "The nature and importance of attachment relationship to parents and peers during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12, pp.373-386, 1983. 

  33. M. Kovacs and A. T. Beck, An Empirical-Clinical Approach toward a Definition of Childhood Depression in Childhood : Diagnosis, Treatment and Conceptual Models, edited by Schulterbrandt J. G., Raskin A., New York: Raven Press, 1977. 

  34. J. Lee,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children; feasibility, acceptability and effectiveness of a controlled clinical tria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olumbia University, 2006. 

  35. J. M. McVey, Psychosomatic illness and anxiety In children: There perception of family and physical pai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exas, 2001. 

  36. S. H. Spence, C. Donovan, and M. Brechan-Toussaint, "Social skill, social outcome and cognitive feature of childhood social phobia,"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108, pp.211-221, 1999. 

  37. D. C. Spielberger, Theory and measurement of anxiety state. In R. B. Cattel & R. M. Dreger, Handbook of modern personality theory, New York: Willy & Sons, Inc., 1977. 

  38. R. A. Vasa, D. S. Pine, Anxiety disorders, In C. A. Essau(Ed.), Child and adolescent psychopathology, New York: Routledge,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