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활체육정책 유형에 관한 국가 간 비교연구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Sports for All Policy Pattern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2 no.4, 2012년, pp.457 - 467  

조욱연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생활체육이 비교적 잘 발달되어 있는 OECD 국가들을 대상으로 생활체육정책의 국가 간 상이한 유형을 밝혀내고 그 원인이 무엇인지 밝혀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생활체육이 비교적 잘 발달되어 있는 OECD 30개 국가 중 관련 자료의 취득이 가능한 26개국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그리고 군집분석을 통해 유형화된 국가들의 결정요인을 질적비교분석(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QC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질적비교분석을 위한 원인변수로는 1인당 GDP, 여가시간, 공공사회복지지출(SOCX), 지니계수, 빈곤율, 조세부담률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대상 26개 국가들을 생활체육참여율과 스포츠클럽참여율을 기준으로 군집화하여 국가별로 유형한 결과 세 가지의 유형을 발견하였으며, 한국은 생활체육참여율과 스포츠클럽참여율이 낮은 유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가별 생활체육정책의 유형이 발생하는 결정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질적비교분석을 실시해 본 결과 한국이 속한 유형은 GDP, 여가시간, 공공사회복지지출(SOCX), 조세부담률과 부의 관계를 나타내며, 지니계수와 빈곤율과는 정의 관계를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ports for all through the patterns of sports for all policy and analysis of causal relation of the determinants. To achieve this goal, 26 countries among OECD 30 members which provide useful data sources were selected. The dat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질적비교분석(Qualitative Compara tive Analysis: QCA)을 위하여 f/s QCA 2.O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 따라서 각국의 다양한 생활체육정책의 특성 및 요인을 고찰하고, 구체적인 정치적 장 속에서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생활체육정책발전을 위한 큰 틀을 구상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진국의 생활체육 대응전략을 파악하기 위하여 생활체육참여율과 스포츠클럽참여율을 기준으로 군집분석을 사용하여 유형화를 시도하며, 더불어 각 유형을 결정하는 원인변수의 결합관계를 Ragin[43]이 개발한 질적비교분석(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QCA)을 통해 파악해봄으로써 생활체육정책의 유형을 보다 체계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활체육은 무엇을 도모하고 증진하나요? 그러나 경제발전을 통한국민 소득증대와 여가시간의 확대로 국민들의 삶이 전반적으로 향상됨에 따라[3][22], 스포츠 활동의 참여가 증가하고 있어 정부의 정책적인 방향도 엘리트체육보다는 국민의 건강증진과 생활체육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5]. 생활체육은 능동적이고 지속적인 체육활동에 참여함으로써 개인의 조화로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발달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의 복지를 증진시켜 나가는 중요한 사회정책으로 자리잡고 있다[20][23].
생활체육참여율 정도는 무엇을 사용하였나요? 생활체육참여율 정도는 국가별 표준화가 이루어져 있지 않고 국가 간 보고양식이 상이하여 표준화를 위해 생활체육에 전혀 참여하지 않는 비율을 조사하여 ‘100-생활체육비참여율’을 사용하였다. 생활체육참여율 국제 자료는 현재 취득이 불가능하나 생활체육비참여율 자료는 국가별 표준화가 이루어져 있고 국가 간 보고양식이 일치하기 때문에 공식적인 자료로 사용가능하다.
한국의 스포츠 전개는 생활체육의 정책적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의도적인 국가정책에 따라 엘리트체육이 더 강조되어 왔는데 현재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나요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그동안 한국의 스포츠 전개는 생활체육의 정책적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의도적인 국가정책에 따라 엘리트체육이 더 강조되어 왔다. 그러나 경제발전을 통한국민 소득증대와 여가시간의 확대로 국민들의 삶이 전반적으로 향상됨에 따라[3][22], 스포츠 활동의 참여가 증가하고 있어 정부의 정책적인 방향도 엘리트체육보다는 국민의 건강증진과 생활체육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5]. 생활체육은 능동적이고 지속적인 체육활동에 참여함으로써 개인의 조화로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발달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의 복지를 증진시켜 나가는 중요한 사회정책으로 자리잡고 있다[20][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국민생활체육협의회, 스포츠 7330 이것이 생활체육이다, 2007. 

  2. 권순용, "사회의 질 향상을 위한 생활체육 재개념화",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제23권, 제4호, pp.13-28, 2010. 

  3. 김경식, 김평수, 김찬선, "민간경비원의 여가제약과 생활체육 참가 및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 제12호, pp.167-178, 2007. 

  4. 김권일, 김미량, 이제홍, "소외계층을 위한 스포츠 복지의 개념과 스포츠복지모델 개발",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40권, pp.197-205, 2010. 

  5. 김사엽, 스포츠사회복지론, 서울: 21세기교육사, 2006. 

  6. 김용하, 임성은, 윤강재, 우선희, OECD 국가의 복지지표 비교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7. 김정명, "청소년의 '삶과 질'과 사회체육의 역할", 제10회 한국사회체육학회 학술세미나집, 1996. 

  8. 김철주, "복지체제의 유형화와 결정요인에 관한 일연구: 탈가족화와 탈상품화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20권, pp.63-85, 2004. 

  9. 라석권, "조세부담률", 고시계, 제37권, 제10호, pp.325-327, 1992. 

  10. 문화체육관광부, 2008 국민생활체육활동 참여실태조사, 2009. 

  11. 문화체육관광부, 2010 체육백서, 2011. 

  12. 백윤철, 김한양, "한국에서 장애인의 스포츠실태와 스포츠권에 관한 연구", 스포츠와 법, 제12권, 제4호, pp.299-327, 2009. 

  13. 석재은, "장기요양보험 공급주체적 역할분담 유형의 질적비교분석", 사회보장연구, 제15, 제2호, pp.1-42, 1999. 

  14. 신재휴, "스포츠 시설을 통한 도시의 스포츠 복지 인프라 구축 방안", 한국스포츠리서치, 제14권, 제5호, pp.237-248, 2003. 

  15. 안상훈, "비교사회정책 연구방법론의 서설적 이해", 상황과 복지, 제13권, pp.47-71, 2002. 

  16. 안상훈, 백승호, "한국 복지국가 지출변화 결정 요인 분석", 사회복지연구, 제37권, pp.117-144, 2008. 

  17. 안상훈, 정해식, "복지지위와 사회의 질", 한국사회정책, 제17권, 제3호, pp.93-121, 2010. 

  18. 안횡균, "삶의 질, 운동 그리고 체육복지", 15회 국민체육진흥 세미나집, 1996. 

  19. 양승일, 정책변동론, 서울: 양서원, 2006. 

  20. 위성식, 권연택, 사회체육학총론, 서울: 대경북스, 2010. 

  21. 이정학, 스포츠와 사회복지, 서울: 대한미디어, 2006. 

  22. 이정학, "사회복지적 관점에서의 여가스포츠", 한국체육철학회지, 제15권, 제1호, pp.150-164, 2007. 

  23. 임번장, "생활체육의 활성화와 생산성 향상", 제12회 국민체육진흥세미나집, 1993. 

  24. 체육과학연구원, 선진국 체육정책의 동향과 추진체계, 2004. 

  25. 최희경, "OECD 국가들의 사회복지지출 유형과 한국의 복지체제", 한국행정논집, 제15권, 제4호, pp.835-858, 2004. 

  26. P. S. Adler and S. W. Kwon, "Social capital: Prospects for an new concep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7, No.1, pp.17-40, 2002. 

  27.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009-10 Participate in Sport and Physical Recreation Australia, 2010. 

  28. Australian Sports Commission, Participation in Exercise, Recreation and Sport Survey 2009, 2010. 

  29. R. Berger-Schmitt, "Considering social cohesion in quality of life assessments; Concept and measurement,"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58, pp.403-428, 2002. 

  30. C. Burnett, "Social impact assessment and sport development," International Review for the Sociology of Sport, Vol.36, No.1, pp.41-57, 2001. 

  31. Canadian Fitness and Lifestyle Research Institute, 2008 Physical Activity Monitor, 2009. 

  32. F. Coalter, A wider social role for sport: Who's keeping the score?, London: Routledge, 2008. 

  33. M. Collins and T. Kay, Sport and social exclusion, London: Routledge, 2003. 

  34.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 2010. 

  35. T. A. Eikemo, M. Huisman, C. Bambra, and A. Kunst, "Health inequalities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in different welfare regimes: a comparison of 23 European countries," Sociology of Health & Illness, Vol.30, No.4, pp.565-582, 2008. 

  36. A. Goslin, "Human Resource Management as a Fundamental Aspect of a Sport Development Strategy in South African Communities," Journal of Sport Management, Vol.10, No.2, pp.207-217, 1996. 

  37. K. Heinemann, "Sport and the welfare state in Europe," European Journal of Sport Science, Vol.5, No.4, pp.181-188, 2005. 

  38. F. Ifedi, Sport Participation in Canada 2005, 2008. 

  39. I. Lindsey, "Conceptualising sustainability in sports development," Leisure Studies, Vol.27, No.3, pp.279-294, 2008. 

  40. M. Lindstrom, M. Moghaddassi, and J. Merlo, "Social capital and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a population based multilevel analysis in Malmo," Sweden,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Vol.57, pp.23-28, 2003. 

  41. J. Palm, Sport for all: Approaches from utopia to reality, Schorndorf: Karl Hofmann Gmbh & Co, 1991. 

  42. U. Puhse and M. Gerber, International Comparison of Physical Education, 2005. 

  43. C. C. Ragin, The comparative method,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4. 

  44. E. Roy, "Aiming for inclusive sport," Enter tainment and Sport Law Journal, Vol.5, No.1, pp.1-12, 2007. 

  45. J. Scheerder, B. Vanreusel, M. Taks, and R. Renson, "Social sports stratification in Flanders 1969-1999. Intergenerational reproduction of social inequalities?," International Review for the Sociology of Sport, Vol.37, No.2, pp.219-245, 2002. 

  46. Sport and Recreation New Zealand, 2007/2008 Active New Zealand Survey, 2008. 

  47. Statistics Norway, Culture Statistics 2008, 2010. 

  48. C. V. Tuyckom and J. Scheerder, "Sport for all? Insight into stratification and compensation mechanism of sporting activity in the European Union member states," Sport, Education and Society, Vol.15, No.4, pp.495-512,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