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대도시권역 공동주택 임차가구의 주거 만족도 영향 요인
Influences on Housing Satisfaction of Multifamily Housing Renter Households in the U.S. Metropolitan Statistical Areas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3 no.2, 2012년, pp.125 - 133  

이현정 (충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haracteristics and housing satisfaction of multifamily renter households in metropolitan areas using 2009 American Housing Survey public-use microdata. A total of 8,139 multifamily renter household residing in metropolitan statistical areas were selected 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들이 공동주택 임차를 선호하는 이유를 공동주택 임차에 대한 일반적인 미국 사회 인식에 비추어 추측하여 보면, 주택구매를 위한 경제력이 아직 갖추어지지 않았기 때문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 공동주택 임차가구 중 가구 연소득이 $50,000 이하인 가구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점도 이러한 추측을 뒷받침해 준다
  • 본 연구는 기존의 통계자료에 뚜렷이 나타나 있지 않은 사회진출초기자들의 주거실태를 그들과 유사한 인구사회학적 또는 주거 특성을 가질 것으로 기대되는 집단의 주거실태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살펴보는 연구의 일환으로, 사회진출초기자들을 포함한 젊은 가구층이 가장 많이 선택하는 것으로 알려진 주거 유형인 대도시권역 임대 공동주택에 그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도시권역 공동주택 임차가구의 특성을 파악하고 주거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사회진출초기자들을 포함한 젊은 가구층이 가장 많이 선택하는 것으로 알려진 주거 유형인 대도시권역 임대 공동주택 거주 가구의 특성을 파악하고 주거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대도시권역의 다른 가구 유형과 구별되는 공동주택 임차가구의 대표적인 특성을 다음과 같이 요약·해석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기존의 통계자료에 뚜렷이 나타나 있지 않은 사회진출초기자들의 주거실태를 그들과 유사한 인구사회학적 또는 주거 특성을 가질 것으로 기대되는 집단의 주거실태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살펴보는 연구의 일환으로, 사회진출초기자들을 포함한 젊은 가구층이 가장 많이 선택하는 것으로 알려진 주거 유형인 대도시권역 임대 공동주택에 그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도시권역 공동주택 임차가구의 특성을 파악하고 주거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 임대 주택의 유형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무엇인가? 이러한 사회 전반적인 인식으로 인하여 주택 자가와 비교하여 주택 임대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가구가 어쩔 수 없이 선택해야 하는 부정적인 주거 점유 유형처럼 여겨졌고(van Vliet, 1998) 미국 임대 주택의 유형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공동주택 역시 단독주택과 비교하여 선호도가 떨어지는 주거 유형 선택의 차선책처럼 인식되어 왔다.
미국에서는 초대 대통령인 Thomas Jefferson 집권 때부터 오랜 역사를 통하여 꾸준히 제도적으로 주택 구매를 유도한 결과는 어떠한가? 미국에서는 초대 대통령인 Thomas Jefferson 집권 때부터 오랜 역사를 통하여 꾸준히 제도적으로 주택 구매를 유도해 왔다. 그 결과, 많은 연구에서 역설한 바와 같이 단독주택을 소유하는 것이 사회적 주거규범이자 한 가구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상징처럼 인식되어 왔다(Glink, 1996; Krueckeberg, 1999; Varady & Lipman, 1994). 2010년 미국의 주택 자가율은 65.
상황에 의한 임차가구란 무엇인가? Joint Center for Housing Studies of Harvard University(JCHS, 2011)의 최근 보고서에 의하면 미국의 주택 자가율이 아무리 높아져도 미국의 임차가구 비율이 30% 이하로 떨어진 점이 없으며 미국인의 거의 대부분이 일생에 있어서 한 번쯤은 여러 가지 이유로 주택을 임대한다는 점을 들어서 미국 주택시장에서 임대주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들 임차가구 중에는 저소득층 가구와같이 경제력 부족 등의 상황으로 인하여 불가피하게 임대를 선택하는 ‘상황에 의한 임차가구(renters by circumstance)’도 있지만 경제적 이유보다는 생활이나 이동의 편리성과 같은 이유로 주택 구매보다는 임대를 선택하는, 이른 바 ‘선택에 의한 임차가구(renters by choice)’도 있다(Kelley,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arswell, A. T., & Philips, D. R. (2008). Assessing the need: The multifamily housing industry, the university, and the next generation of property managers. Housing and Society, 35(1), 21-40. 

  2. Fannie Mae. (2010, December 9). Fact sheet: Fannie Mae own-rent analysis key findings. Retrieved from http://www.fanniemae.com/resources/file/research/ownrent/pdf/Own-Rent-Analysis-Fact-Sheet.pdf 

  3. Gilderboom, J. I., & Markham, J. P. (1993). Hispanic rental housing needs in the United States: Problems and prospects. Housing and Society, 20(3), 9-24. 

  4. Glink, I. R. (1996). Ten steps to home ownership: A workbook for first-time buyers. New York: Three Rivers Press. 

  5. Goodman, J. (1999). The changing demography of multifamily rental housing. Housing Policy Debate, 10, 31-57. 

  6. Goss, R. C., & Campbell, H. L. (2008). The evolution on residential property management: From caretaker to income maximization managers. Housing and Society, 35(1), 5-20. 

  7. Goss, R. C., Beamish, J. O., & Bailey, B. B. (2011). Multifamily rental housing: An alternative for leading edge boomers. Proceedings of 2011 Annual Conference of the Housing Education and Research Association, 87-92. 

  8. Hall, L. M., & Hula, R. C. (1997). Resident initiatives in public housing. Housing and Society, 24(1), 75-92. 

  9. James III, R. N. (2007). Multifamily housing characteristics and tenant satisfaction. Journal of Performance of Constructed Facilities, 21(6), 472-480. 

  10. James III, R. N. (2008a). An economic model of asymmetric information, dissatisfaction, and resident turnover in rented multifamily housing. Housing and Society, 35(1), 59-76. 

  11. James III, R. N. (2008b). Residential satisfaction of elderly tenants in apartment housing. Social Indicators Research, 89(3), 421-437. 

  12. James III, R. N., & Carswell, A. T. (2008). Home sweet apartment: A text analysis of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with apartment homes. Housing and Society, 35(1), 91-111. 

  13. Joint Center for Housing Studies of Harvard University. (2011). America's rental housing: Meeting challenges, building on opportunities. Retrieved from http://www.jchs.harvard.edu/sites/jchs.harvard.edu/files/americasrentalhousing-2011.pdf 

  14. Kelley, E. N. (2003). Practical apartment management (5th ed.). Chicago, IL. Institute of Real Estate Management. 

  15. Kim, C., & Choi, M. (2007). Region-specific difference in preference for public housing: An empirical analysis of random intercept logit model.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2(2), 113-122. 

  16. Krueckeberg, D. A. (1999). The grape of rent: A history of renting in a country of owners. Housing Policy Debate, 10, 9-30. 

  17. Kwon, D., & Ko, J. (2010). Comparative analysis on the public rental housing policy for the lowest income tenants through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survey.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5(4), 43-55. 

  18. Lee, C. (2011). Residential satisfaction of married families by the type of housing tenure and housing.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3(1), 9-17. 

  19. Lee, H., & Emmel, J. (2008). Determinant of energy saving practices of limited income multifamily housing residents. Housing and Society, 35(1), 77-90. 

  20. Lee, H., Beamish, J. O., & Goss, R. C. (2008). Location preference of multifamily housing residents. Housing and Society, 35(1), 41-58. 

  21. Lee, H., Goss, R. C., & Beamish, J. O. (2007). Influences of lifestyle on housing preferences of multifamily housing residents. Housing and Society, 34(1), 11-30. 

  22. Paris, D. E., & Kangari, R. (2005). Multifamily affordable housing: Residential satisfaction. Journal of Performance of Constructed Facilities, 19(2), 138-145. 

  23. Rodriguez, E., Mead, J. P., Laquatra, J., & Chandra, P. (1998). Injury prevention in public housing: Do insurance incentives work? Housing and Society, 25(3), 23-42. 

  24. van Vliet, W. (Ed.) (1998). The encyclopedia of housing.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25. Varady, D. P., & Lipman, B. J. (1994). What are renters really like? Results from a national survey. Housing Policy Debate, 5, 491-531. 

  26. Yang, S., & Kim, M. (2011). A comparative study of residential mobility between home-owning households and renting household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9(3), 13-22.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