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양배 품종별 유과기와 수확기 과실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Young and Mature Fruit in Three Asian Pear Cultivars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0 no.2, 2012년, pp.208 - 213  

박연옥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시험장) ,  최장전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시험장) ,  최진호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시험장) ,  김명수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시험장) ,  임순희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시험장) ,  이한찬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시험장)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원황', '황금배', '추황배' 등 신육성 품종을 이용하여 유과기와 수확기의 과실 및 부위별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품종별 총 폴리페놀 화합물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유과기 과실이 수확기 과실에 비해 1.5-2.5배 많았는데 특히 '추황배'의 함량이 높게 조사되었다. 수확기 과실의 부위별 총 폴리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과피, 과심, 과육의 순으로 측정되었다. DPPH radical 소거능ABTS 양이온 소거활성은 유과기가 수확기보다 활성이 높았으며 두 시기 모두 '추황배'의 라디칼 소거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수확기 과실 부위별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양이온 소거활성은 과피가 가장 높았고 과심, 과육 순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antioxidant activities of 80% EtOH extracts from young and mature fruit of three pear cultivars ('Wonhwang', 'Whangkeumbae', and 'Chuwhangbae') classified by three parts (peel, core, and flesh) of mature fruit. The total phenolics compound and flavonoid contents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품종 배 생산자원의 충분한 이용과 부가가치 증대를 위한 이용 개발을 목적으로 기능성 연구자료가 미비한 ‘원황’, ‘황금배’, ‘추황배’ 등 3품종의 과실을 이용하여 생육 초기인 유과기와 후기인 수확기 과실의 기능성물질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고 수확기 과실의 부위에 따른 페놀성 물질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여 국내 육성 신품종 배의 소비 촉진에 기여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민간요법에서 배는 무엇에 사용했는가? 또한, 배는 맛과 색, 외형, 기능성 등을 향상시키고자 새로운 품종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예로부터 배 잎과 껍질, 과실은 민간요법으로 토사광란, 부스럼이나 피부질환, 가래, 기침, 숙취, 해열, 배변 등에 쓰여 왔으며(Jang et al., 2003), 최근 많은 연구논문에서 배에 함유되어 있는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epicatechin, arbutin, catechin, ρ-coumaroylquinic acid와 rutin 등 일부 배당체들이 밝혀지면서(Escarpa and Gonzalez, 1999; Oleszek et al.
배의 폴리페놀(polyphenol) 화합물과 관련된 연구들은? 배의 기능성에 관한 연구는 한국산 배의 ployphenol 화합물의 구조결정 연구에서 4종의 polyphenol 화합물을 분리정제하였으며(Zhang et al., 2003b), 한국산 배의 저장기간에 따른 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 및 성분변화와 항산화효과에서 과육보다는 과피에 많은 양이 존재하였고(Zhang et al., 2003a), 한국산 배의 polyphenol 분획물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혈장과 간에서 총지질과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다(Choi et al., 2004). 또한 열처리 조건에 따라 온도가 높고 시간이 길수록 과실의 polyphenol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과 같은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고(Hwang et al., 2006), 배의 품종 및 부위에 따라 전자공여능이나 아질산염 소거능 등 생리활성에 차이가 있었다(Choi et al., 2006). 그리고 배의 생장시기에 따른 페놀성 물질은 유과기에 성숙기보다 함량이 더 많았고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였다(Zhang et al., 2007). 이러한 대부분의 배 기능성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재배 품종인 신고를 토대로 이루어졌고 국내에서 육성된 신품종에 관한 연구는 주로 품종의 특성과 저장방법, 세포벽 성분 및 분해효소 등에 관한 내용(Hong et al.
배에 함유되어 있는 폴리페놀 성분의 기능은? , 2003), 최근 많은 연구논문에서 배에 함유되어 있는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epicatechin, arbutin, catechin, ρ-coumaroylquinic acid와 rutin 등 일부 배당체들이 밝혀지면서(Escarpa and Gonzalez, 1999; Oleszek et al., 1994) 이들 폴리페놀 성분들이 항암, 항염증, 항산화 및 항혈전 작용의 생리활성물질로서 크게 각광받고 있다(Hashimoto et al., 19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5:1199-1120. 

  2. Choi, H.J., J.H. Park, H.S. Han, J.H. Son, G.M. Son, J.H. Bae, and C. Choi. 2004. Effect of poly phenol compound from Korean pear (Pyrus pyrifolia Nakai) on lipid metabolism. J. Kor. Soc. Food Sci. Nutr. 33:299-304. 

  3. Choi, J.H., E.Y. Lee, J.S. Kim, G.B. Choi, S.G. Jung, Y.S. Ham, D.C. Seo, and J.S. Heo. 2006. Physiological activities according to cultivars and parts of Ulsan pear. J. Kor. Soc. Appl. Biol. Chem. 49:43-48. 

  4. Endo, M. 1973. Studies on the daily changes in fruit size of the Japanese pear. I. Diurnal fluctuation of fruit diameter as affected by climatic factors. J. Japan. Soc. Hort. Sci. 42:91-103. 

  5. Escarpa, A. and M.C. Gonzalez. 1999. Fast separation of (poly) phenolic compounds from apple and pear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diode-array detection. J. Chromatogr. A. 830:301-309. 

  6. Han, E.K., E.J. Jung, J.Y. Lee, Y.X. Jin, and C.K.Chung. 2011.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Taraxacum officinale. J. Kor. Soc. Food Sci. Nutr. 40:56-62. 

  7. Hashimoto, F., G.I. Nonaka, and I. Nishioka. 1989. Tannins and related compounds from Oolong tea. Chem. Pharm. Bull. 37:3255-3263. 

  8. Hong, S.S., Y.P. Hong, B.S. Im, D.S. Jeong, and I.S. Shin. 2004. Influence of picking stage and storage type on the fruit respiration change and panel test in 'Wonhwang', 'Hwasan', and 'Moonsoo' pear. J. Kor. Soc. Hort. Sci. 22:55-62. 

  9. Hwang, I.G., K.S. Woo, T.M. Kim, D.J. Kim, M.H. Yang, and H.S. Jeong. 2006. Change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ear (Pyrus pyrifolia Nakai) juice with heat treatment conditions. Kor. J. Food Sci. Technol. 38:342-347. 

  10. Gutifinger, T. 1958. Poly phenols in olives. J. Am. Oil. Chem. Soc. 58:966-968. 

  11. Jang, U.B., H.J. Choi, H.S. Han, J.H. Park, J.H. Son, J.H. Bae, T.S. Seong, B.J. An, H.G. Kim, and C. Choi. 2003. Chemical structure of poly phenol isolated from Korean pear (Pyurs pyrifolia Nakai). Kor. J. Food Sci. Technol. 35:959-967. 

  12. Kim, J.H. 1975. Studies on the factors of skin browning during storage and its control method in Imamura-aki pear (Pyrus serotina Rehder). J. Kor. Soc. Hort. Sci. 16:1-25. 

  13. Kim, S.B. 1988. Studies on the pathogenic fungus, chemical control and resistance of apple rot disease caused by Botryosphareria dot-hidea. PhD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Korea. 

  14. Lee, S.E., N.S. Seong, C.G. Park, and J.S. Seong. 2002. Screening for antioxidative of oriental medicinal plant materials. Kor. J. Medicinal Crop. Sci. 10:171-176. 

  15. Lee, S.J., N.J. Sung, H.J. Jeong, J.H. Shin, Y.C. Chung, and J.K. Seo. 2008.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Prunella vulgaris. J. Kor. Soc. Food Sci. Nutr. 37:1535-1541. 

  16. Lim, D.K., U. Choi, and D.H. Shin. 1996.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Korean medicinal plants. Kor. J. Food Sci. Technol. 28:83-89. 

  17. Machida, Y. 1965. Studies on texture of pear fruit. 1. Texture of canned Bartlett pears processed from raw materials obtained from different region. Part 2. Cell-wall substances of parenchyma cells. Rept. Hiratzuka Hort. Sta. A-4:107-124. 

  18. Moreno, M.I.N., M.I. Isla, A.R. Sampietro, and M.A. Vattuone.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na. J. Enthropharm. 71:109-114. 

  19. Oleszek, W., M.J. Amot, and S.Y. Aubert. 1994. Identification of some phenolics in pear fruit. J. Agr. Food Chem. 42:1261-1265. 

  20. Park, S.S, K.H. Yu, and T.J. Min. 1998.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fruiting bodies of mushrooms. Kor. J. Mycl. 26:69-77. 

  21. Pellegrin, N., R. Roberta, Y. Min, and R.E. Catherine. 1998.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2'-anzinobis (3-ethylen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od Enzymol. 299:379-389. 

  22. Ryugo, K. 1969. Seasonal trends of titratable acids, tannins and poly phenolic compounds and cell wall constituents in oriental pear fruit (Pyrus serotina. Rehd). J. Agr. Food Chem. 17:43-47. 

  23. Sharma, A. and Sehgal, S. 1992. Effect of domestic processing, cooking and germination on the trypsin inhibitor activity and tannin content of faba. Plant Food for Human Nutr. 42:127-231. 

  24. Suh, H.S., S.S. Kang, K.S. Cho, D.S. Son, K.H. Hong, J.H. Han, J.J. Choi, J.K. Kim, J.M. Park, S.K. Yun, Y.S. Park, C.Y. Yang, J.H. Song, M.S. Kim, and S.K. Woo. 2000. Pear Cultivat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p. 42-56. 

  25. Wilkinson, B.G. 1970. Physiological disorders of fruit after harvesting, p. 537-553. In: A.C. Hulme (ed). The biochemistry of fruit and products. Academic Press, New York, USA. 

  26. Yoo, W.J., D.H. Kim, D.H. Lee, and J.K. Byun. 2002. Changes in respiration rats, cell wall components and their hydrolase activities during the ripening of 'Whangkeumbae' pear fruit. J. Kor. Soc. Hort. Sci. 43:43-46. 

  27. Yu, M.H., S.G. Lee, H.G. Im, H.J. Kim, and I.S. Lee. 2004. Antioxidant activities of Prunus salicina Lindl. cv Soldam (Plum) at different growth stages. Kor. J. Food Preserv. 11:358-363. 

  28. Zhang, X., C.S. Na, J.S. Kim, F.Z. Lee, and J.B. Eun. 2003. Changes in dietary fiber content of flesh and peel in three cultivars of Asian pears during growth. Food Sci. Biotechnol. 12:358-364. 

  29. Zhang, X., F.Z. Lee, and J.B. Eun. 2007. Changes of phenolic compounds and pectin in Asian pear fruit during growth. Kor. J. Food Sci. Technol. 39:7-13. 

  30. Zhang, Y.B., H.S. Choi, H.S. Han, J.H. Park, J.H. Son, J.H. Bae, T.S. Seung, B.J. An, H.G. Kim, and C. Choi. 2003a. Chemical structure of poly phenol isolated from Korean pear (Pyrus pyrifolia Nakai). Kor. J. Food Sci. Technol. 35:959-967. 

  31. Zhang, Y.B., M.J. Bae, B.J. An, H.J. Choi, J.H. Bae, S. Kim, and C. Choi. 2003b. Effect of antioxidant activity and change in quality of chemical composition and poly phenol compound during long-term storage. Kor. J. Food Sci. Technol. 35:115-120.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