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가면극에서 착용한 장신구 및 소도구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통영오광대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Symbolism of Ornaments and Props Used in Traditional Korean Mask Plays: Based on Tongyeong Ogwangdae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50 no.3, 2012년, pp.83 - 93  

김초영 (전남대학교 의류학과) ,  김은정 (전남대학교 의류학과.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ongyeong Ogwangdae, the characters use many ornaments and these ornaments represent different meaning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served from the analysis that was carried out, to find the symbolic meanings of ornaments and props, and they- were used in Tongyeong Ogwangdae. The ornaments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장신구와 소도구는 등장인물이 몸에 착용하는 복식 중 의복을 제외한 것으로 관모(冠帽)류, 경식(頸飾) 류, 세조대, 머리모양이 포함되며, 소도구는 극에 등장하는 소품(小品) 중 복식을 제외한 것으로 제한하여 구분하고자 한다. 통영오광대는 등장인물 24명 중 풍자탈의 비틀양반, 농창탈의 아이, 생원, 포수탈의 담보, 사자를 제외한 19명이 장신구와 소도구를 사용하고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통영오광대에서 나타나고 있는 인물들이 장신구와 소도구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의미상징이 다양하므로 이를 토대로 장신구나 소도구의 상징적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대상은 통영오광대 등장하는 인물 24명 중 19명이 사용한 장신구와 소도구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면극의 중요한 역할은? 가면극에서 복식은 주제(主題)를 가시(可視)적으로 표현하는 가장 좋은 수단이라 할 수 있으며, 등장인물의 시대적 배경과 상황, 직업, 성격, 심리상태, 연령, 사회적 지위 등 눈에 보이지 않는 요소들을 시각적인 요소로 전달하고 극의 내용을 관객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한다고 하였다(Kim, 2008). 또한 공동체적 산물로 시대의 변화에 따른 사회상과 정신세계를 반영하고 있으므로, 민속 문화를 밝히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Lee, 2001). 전통가면극은 연희자와 관객에게 소속감과 감정적 연대감을 꾀하며 외적으로 그 단결을 과시하고 대립적이거나 적대적인 집단을 견제하는 놀이로서 노동인 동시에 축제의 기능을 수반한다(Won, 1996).
전통가면극이란? 전통가면극은 민중의 삶 속에서 생성되고 전승되어온 예술로써, 우리민족의 정신문화를 반영하는 제의이자 동시에 풍자적 성격을 가진 연극이기도 하다. 통영오광대는 이러한 특징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인물성격에 따른 복식을 착용할 뿐만 아니라 인물들이 착용하는 장신구와 소도구를 통해 상징적 의미를 표현하고 있다.
통영오광대의 특징은? 전통가면극은 민중의 삶 속에서 생성되고 전승되어온 예술로써, 우리민족의 정신문화를 반영하는 제의이자 동시에 풍자적 성격을 가진 연극이기도 하다. 통영오광대는 이러한 특징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인물성격에 따른 복식을 착용할 뿐만 아니라 인물들이 착용하는 장신구와 소도구를 통해 상징적 의미를 표현하고 있다. 그러므로 통영오광대 복식에 관한 연구뿐만 아니라 장신구와 소도구가 상징하는 의미를 올바르게 이해함으로써, 통영오광대를 전승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ang, R-P. (2010). A Study on the Comparative Study in the Korean Mask Play Ogwangdae and Chinese Mask Play.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National University, Gyeongbuk, Korea. 

  2. Chang, S-J. (2004). A Study of Characters and Their Significance in Halmi Scene: Be based on Bong- San Mask D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3. Choi, D-H., & Kim, Y-S. (1998). Novel word dictionary. Seoul: Korea University Publisher. 

  4. Choi, S-S. (1963). The Record of Kyongsangnam-do 2. Kyongsangnam-do: Institute of Kyongsangnamdo. 

  5. Han, R. (2010).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fans in Korean and Chinese danc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6. Institute of General International Studies. (2006). Funeral Culture of World. Seoul: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Publisher, 35. 

  7. Jeon, K-W. (2000). Achievements and prospects of research in traditional of theater history and play history. Scholarship Symposium, -(2), 1. 

  8. Kim, E-J., & Yim, L. (2009). Changes of Korean Clothes in the History.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ublisher. 

  9. Kim, E-K. (2005). A Study Of Korean Traditional Mask Dance based on the Yin and Yang and Five Element Though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10. Kim, J-S. (2007). A Study on Women's Hair Styles in the Jose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Nambu University, Gwangju, Korea. 

  11. Kim, K-T. (2010). A Study for Jewelry Design - applied the Buddhist alter fittings of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Korea. 

  12. Kim, M-B. (2005). Korean Dance.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ublisher. 

  13. Kim, M-J. (2008). A study on Korean creative dance costume design for dance performance: focusing on 'Beauty & The Beast'.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uk University, Seoul, Korea. 

  14. Kim, O-K. (1979). An Aesthetic Study on the Gyeongnam Mask Dance (Mainlty concerning the Leper Mask D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5.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2001). Korean Traditional Arts. Seoul: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16. Korea Folk encyclopedia. (2010). http://folkency.nfm.go.kr. 

  17. Lee, D-H. (1979). Korean Mask Play. Seoul: Iljisa. 

  18. Lee, D-S. (1996). The Study of the Group Shinmyung in Mask D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9. Lee, J-A. (2009). Study on the Social Meaning of the Female Hair Style's Formal Arrange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20. Lee, J-Y. (2001). A study on the costumes of Korean folk drama .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1. Lee, K-J. (2004). The Ideological Implications of Make- Up as Visual Codes - A Focus on the Film "Musa"-.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kuk University, Seoul, Korea. 

  22. Lee, P-Y. (1994). Social History of Village Faith. Seoul: Woongjin Publisher. 

  23. Lee, S-H. (2009). A Study on the non-verbal elements of performance focused on A Midsummer Night's Dream by the Theater Campany Yohangza.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24. Moon, Y-S. (2004). A study on the Jin-ju Burlesque of the Five Masque Performers: Based on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Burlesque in the regions of Tong-yeong, Go-seong and Ga-sa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41, 5. 

  25. Park, S-Y. (2011). Study on makeup and hair style shown in TV historical drama: focus on Joseon dynas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6. Sim, S-G. (2004). The Study on femininity of Talnori in Yeongnam area. The Association for Korean Cultural Studies, 14, 11. 

  27. The Society of Korea Museum. (2000). Museum of Korea. Seoul: Munyemadang. 

  28.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Manuscripts. (2006). Lif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3. Seoul: Yuksabipyeongsa. 

  29. Won, J-H. (1996). A Study on the Form of the Korean Masque and Popular Conscious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