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지방간 마우스에서 기장 첨가식이가 지방간 및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og Millet Supplementation on Hepatic Steatosis and Insulin Resistance in Mice Fed a High-fat Die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4, 2012년, pp.501 - 509  

박미영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기능성식품과) ,  장환희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기능성식품과) ,  이진영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기능성식품과) ,  이영민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기능성식품과) ,  김재현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기능성식품과) ,  박재학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  박동식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기능성식품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비알코올성 지방간인슐린저항성을 근간으로 하는 대사증후군의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최근 그 발병율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진은 기장 열수추출물을 식이에 첨가하여 고지방식에 의해 인위적으로 지방간을 유도한 마우스에게 섭취시킨 후 혈청 내 생물학적 수치와 간조직 검사를 통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 억제 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식이섭취량은 차이가 없었으나 간조직 무게가 1% 및 2% 기장 열수추출물 첨가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간조직 내 지방 축적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장 열수추출물 첨가식이군의 경우 고지방식 대조군에 비해 혈청 중성지방총 콜레스테롤이 감소하였고(p<0.05), HDL과 HDL-/총 콜레스테롤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p<0.05) 혈액의 지질 조성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HOMA-IR 및 포도당 내성 검사 결과 2% 기장 열수추출물 첨가군의 경우 이들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고지방식에 의한 인슐린 저항성 및 당흡수 부전을 기장 열수추출물이 완화시켰다(p<0.05). 한편 간조직에서 지방산 대사와 관련된 인자들의 유전자 발현을 측정한 결과 지방산 합성에 관여하는 L-FABP와 SCD1은 2% 기장 열수추출물 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지방산 산화와 관련된 $PPAR{\alpha}$는 1% 및 2% 기장 열수추출물 섭취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혈청 및 조직의 생물학적 수치와 간조직 검사 결과를 미루어 볼 때 기장 열수추출물 첨가 식이는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된 마우스의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유 혹은 예방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ietary intake of whole grains is known to reduce the incidence of chronic diseases such as obesity, diabetes, cardiovascular disease, and cancer. In our previous study, hog millet (HM, $Panicum$ $miliaceum$ L.) water extract showed the highest anti-lipogenic activity amo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에서는 간조직 내 지방산 합성 및 산화에 관련된 인자의 유전자 발현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기장 열수추출물 첨가식이의 비알콜지방간 개선효과의 일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다량의 자유지방산이 간조직으로 유입되거나 간조직 내 지방 생성 경로를 통해 지방산이 합성되면 간조직 내에 지방산 축적이 일어난다.
  • 본 연구진은 선행연구 결과 지방세포 분화억제능이 뛰어난 기장 열수추출물을 식이에 첨가하여(7) 이의 지방간 및 혈중 지질 개선 효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체중 변화 및 식이섭취량은 Fig.
  • 기장의 생리활성능은 아직 명확하지 않으며 특히 실험동물을 이용한 in vivo 연구는 아직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알콜성 지방간(hepatic steatosis) 모델에서 기장 열수추출물 함유 식이의 지방간 및 혈중 지질 개선 효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식이에 첨가된 기장 열수추출물의 농도는 선행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설정하였다. 즉, 체내 지방 축적 억제 효과가 있었던 1%와 이보다 높은 농도인 2%를 추가하여 식이 내 기장 열수추출물의 지방간 개선효과를 보고자 하였다(10).
  • 고지방식이임에도 불구하고 체중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이유는 식이 내 지방 함량과 사육기간의 차이이다. 총열량의 60% 이상을 지방으로 공급하는 고지방식이의 경우 사육기간이 8주인 경우 유의적인 체중증가가 일어나지만(13,14) 본 연구에서는 보다 현실성 있는 식이조성으로 지방을 공급하고자 45% 고지방식이를 선정하였다. 그 결과 본 사육기간 내에 유의적으로 체중이 증가하지 않았지만 고지방식이로 인한 지방간이 유도가 되었으며(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슐린저항성을 근간으로 하는 대사증후군의 원인은 무엇인가?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인슐린저항성을 근간으로 하는 대사증후군의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최근 그 발병율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진은 기장 열수추출물을 식이에 첨가하여 고지방식에 의해 인위적으로 지방간을 유도한 마우스에게 섭취시킨 후 혈청 내 생물학적 수치와 간조직 검사를 통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 억제 효과를 검토하였다.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이 유발할 수 있는 만성 간질환에 대해 설명하시오. 간의 지방산 합성과 산화의 균형이 깨지면 간의 지방 축적 및 인슐린 저항성이 야기된다. 음주와 관계없이 간에 중성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은 단순 지방간(simple hepatic steatosis)으로부터 지방간염 (steatohepatitis), 간섬유증(hepatic fibrosis) 및 간암(liver cancer)과 같은 만성 간질환으로 진행할 수 있다(1). 또한 이는 비만, 인슐린 저항성, 제2형 당뇨, 심혈관계질환 등 대사증후군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최근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2).
기장 열수추출물을 식이에 첨가하여 고지방식에 의해 인위적으로 지방간을 유도한 마우스에게 섭취시킨 후 혈청 내 생물학적 수치와 간조직 검사를 통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 억제 효과를 검토한 결과에 대해 설명하시오. 본 연구진은 기장 열수추출물을 식이에 첨가하여 고지방식에 의해 인위적으로 지방간을 유도한 마우스에게 섭취시킨 후 혈청 내 생물학적 수치와 간조직 검사를 통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 억제 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식이섭취량은 차이가 없었으나 간조직 무게가 1% 및 2% 기장 열수추출물 첨가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간조직 내 지방 축적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장 열수추출물 첨가식이군의 경우 고지방식 대조군에 비해 혈청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이 감소하였고(p<0.05), HDL과 HDL-/총 콜레스테롤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p<0.05) 혈액의 지질 조성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HOMA-IR 및 포도당 내성 검사 결과 2% 기장 열수추출물 첨가군의 경우 이들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고지방식에 의한 인슐린 저항성 및 당흡수 부전을 기장 열수추출물이 완화시켰다(p<0.05). 한편 간조직에서 지방산 대사와 관련된 인자들의 유전자 발현을 측정한 결과 지방산 합성에 관여하는 L-FABP와 SCD1은 2% 기장 열수추출물 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지방산 산화와 관련된 $PPAR{\alpha}$는 1% 및 2% 기장 열수추출물 섭취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Park SH, Jeon WK, Kim SH, Kim HJ, Park DI, Cho YK, Sung IK, Sohn CI, Keum DK, Kim BI. 2006.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mong Korean adults. J Gastroenterol Hepatol 21: 138-143. 

  2. Asselah T, Rubbia-Brandt L, Marcellin P, Negro F. 2006. Steatosis in chronic hepatitis C: why does it really matter? Gut 55: 123-130. 

  3. Jun DW. 2011.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Korean J Hepatol 17: S332-S336. 

  4. Marchesini G, Bugianesi E, Forlani G, Cerrelli F, Lenzi M, Manini R, Natale S, Vanni E, Villanova N, Melchionda N, Rizzetto M. 2003. Nonalcoholic fatty liver, steatohepatitis, and the metabolic syndrome. Hepatology 37: 917-923. 

  5. Marchesini G, Brizi M, Bianchi G, Tomassetti S, Bugianesi E, Lenzi M, McCullough AJ, Natale S, Forlani G, Melchionda N. 2001.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 feature of the metabolic syndrome. Diabetes 50: 1844-1850. 

  6. Seppala-Lindroos A, Vehkavaara S, Hakkinen AM, Goto T, Westerbacka J, Sovijarvi A, Halavaara J, Yki-Jarvinen H. 2002. Fat accumulation in the liver is associated with defects in insulin suppression of glucose production and serum free fatty acids independent of obesity in normal men. J Clin Endocrinol Metab 87: 3023-3028. 

  7. Park MY, Seo DW, Lee JY, Sung MK, Lee YM, Jang HH, Choi HY, Kim JH, Park DS. 2011. Effects of Panicum miliaceum L. extract on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and fatty acid accumulation in 3T3-L1 adipocytes. Nutr Res Pract 5: 192-197. 

  8. Kwak CS, Lim SJ, Kim SA, Park SC, Lee MS. 2004.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Korean buckwheat, sorghum, millet and Job's te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921-929. 

  9. Reeves PG, Nielsen FH, Fahey GC Jr. 1993. AIN-93 purified diets for laboratory rodents: final report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ad hoc writing committee on the reformulation of the AIN-76A rodent diet. J Nutr 123: 1939-1951. 

  10. Park MY, Jang HH, Kim JB, Yoon HN, Lee JY, Lee YM, Kim JH, Park DS. 2011. Hog millet (Panicum miliaceum L.)-supplemented diet ameliorates hyperlipidemia and hepatic lipid accumulation in C57BL/6J-ob/ob mice. Nutr Res Pract 5: 511-519. 

  11. Brunt EM, Janney CG, Di Bisceglie AM, Neuschwander- Tetri BA, Bacon BR. 1999.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a proposal for grading and staging the histological lesions. Am J Gastroenterol 94: 2467-2474. 

  12. Livak KJ, Schmittgen TD. 2001. Analysis of relative gene expression data using real-time quantitative PCR and the 2(-Delta Delta C(T)) method. Methods 25: 402-408. 

  13. Macotela Y, Emanuelli B, Bang AM, Espinoza DO, Boucher J, Beebe K, Gall W, Kahn CR. 2011. Dietary leucine--an environmental modifier of insulin resistance acting on multiple levels of metabolism. PLoS One 6: e21187. 

  14. Satapathy SK, Ochani M, Dancho M, Hudson LK, Rosas- Ballina M, Valdes-Ferrer SI, Olofsson PS, Harris YT, Roth J, Chavan S, Tracey KJ, Pavlov VA. 2011. Galantamine alleviates inflammation and other obesity-associated complications in high-fat diet-fed mice. Mol Med 17: 599-606. 

  15. Yasutake K, Nakamuta M, Shima Y, Ohyama A, Masuda K, Haruta N, Fujino T, Aoyagi Y, Fukuizumi K, Yoshimoto T, Takemoto R, Miyahara T, Harada N, Hayata F, Nakashima M, Enjoji M. 2009. Nutritional investigation of nonobese patients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the significance of dietary cholesterol. Scand J Gastroenterol 44: 471-477. 

  16. Nakamuta M, Kohjima M, Higuchi N, Kato M, Kotoh K, Yoshimoto T, Yada M, Yada R, Takemoto R, Fukuizumi K, Harada N, Taketomi A, Maehara Y, Nakashima M, Enjoji M. 2008. The significance of differences in fatty acid metabolism between obese and non-obese patients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t J Mol Med 22: 663-667. 

  17. Seppala-Lindroos A, Vehkavaara S, Hakkinen AM, Goto T, Westerbacka J, Sovijarvi A, Halavaara J, Yki-Jarvinen H. 2002. Fat accumulation in the liver is associated with defects in insulin suppression of glucose production and serum free fatty acids independent of obesity in normal men. J Clin Endocrinol Metab 87: 3023-3028. 

  18. Struben VM, Hespenheide EE, Caldwell SH. 2000.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and cryptogenic cirrhosis within kindreds. Am J Med 108: 9-13. 

  19. Mather KJ, Hunt AE, Steinberg HO, Paradisi G, Hook G, Katz A, Quon MJ, Baron AD. 2001. Repeatability characteristics of simple indices of insulin resistance: implications for research applications. J Clin Endocrinol Metab 86: 5457-5464. 

  20. Smith BW, Adams LA. 2011.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Crit Rev Clin Lab Sci 48: 97-113. 

  21. Ma T, Liaset B, Hao Q, Petersen RK, Fjaere E, Ngo HT, Lillefosse HH, Ringholm S, Sonne SB, Treebak JT, Pilegaard H, Froyland L, Kristiansen K, Madsen L. 2011. Sucrose counteracts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fish oil in adipose tissue and increases obesity development in mice. PLoS One 6: e21647. 

  22. von Eynatten M, Baumann M, Heemann U, Zdunek D, Hess G, Nawroth PP, Bierhaus A, Humpert PM. 2010. Urinary L-FABP and anaemia: distinct roles of urinary markers in type 2 diabetes. Eur J Clin Invest 40: 95-102. 

  23. Ntambi JM. 1999. Regulation of stearoyl-CoA desaturase by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nd cholesterol. J Lipid Res 40: 1549-1558. 

  24. Lapsys NM, Kriketos AD, Lim-Fraser M, Poynten AM, Lowy A, Furler SM, Chisholm DJ, Cooney GJ. 2000. Expression of genes involved in lipid metabolism correlate with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expression in human skeletal muscle. J Clin Endocrinol Metab 85: 4293-4297. 

  25. McGarry JD, Brown NF. 1997. The mitochondrial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system. From concept to molecular analysis. Eur J Biochem 15: 1-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