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코올성 지방간을 유발시킨 마우스에서 유산균 발효 마늘추출물의 간 보호 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s of Lactic Acid-Fermented Garlic Extracts on Fatty Liver-Induced Mouse by Alcohol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11, 2014년, pp.1642 - 1647  

최지휘 ((주)바이오랜드 생명공학연구소) ,  김민석 ((주)바이오랜드 생명공학연구소) ,  유희종 ((주)바이오랜드 생명공학연구소) ,  김기호 ((주)바이오랜드 생명공학연구소) ,  이희섭 (고려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조홍연 (고려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승현 ((주)바이오랜드 생명공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시킨 유산균 발효 마늘추출물의 간 손상 보호 효과를 알코올성 지방간을 유발시킨 C57BL/6J 마우스를 사용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유산균 발효 마늘추출물은 일반식이군에 비해 지방간 유도와 함께 증가한 간 무게를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유산균 발효 마늘추출물 200 mg/kg 투여군에서 대표적 간 손상 관련 혈청효소인 ALT, AST 및 ALP의 활성이 낮았으며, 간 손상의 다른 중요한 지표들인 TBIL, DBIL 값도 현저히 낮았다. 또한 유산균 발효 마늘추출물은 간의 조직학적 관찰에서도 알코올로 유도된 간 지방의 축적을 농도 의존적으로 개선하였다. 간 조직 내 GSH 함량을 측정한 결과, 알코올에 의해 감소된 GSH가 유산균 발효 마늘추출물 투여에 의해 점차 일반식이군 수준으로 회복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유산균 발효에 의해 마늘의 냄새와 맛을 개선시킨 유산균 발효 마늘추출물이 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기능성식품용 상업적 소재로서 높은 실용화 가능성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hepatoprotective effects of garlic extracts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on alcohol-induced fatty liver damage in C57BL/6J mice. The weight of liver tissue of the lactic acid-fermented garlic extract (LAFGE) diet groups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장기간 알코올을 섭취시켜 유도한 만성 알코올성 지방간 흰쥐 모델에서 유산균 발효 마늘추출물을 알코올과 함께 투여했을 때, 간 손상의 지표들인 alanine aminotransferase(AL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kaline phosphatase(ALP), γ-glutamyl phosphatase(γ-GT), total-bilirubin(TBIL), direct-bilirubin(DBIL) 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동시에 간 조직 내 GSH와 GSSG의 함량 분석과 조직학적 관찰을 통하여 유산균 발효 마늘추출물의 알코올성 지방간에 대한 예방 및 개선 효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시킨 유산균 발효 마늘추출물의 간 손상 보호 효과를 알코올성 지방간을 유발시킨 C57BL/6J 마우스를 사용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유산균 발효 마늘추출물은 일반식이군에 비해 지방간 유도와 함께 증가한 간 무게를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 또한 CYP2E1 transfected HepG2 cell을 이용하여 유산균 발효 마늘추출물의 알코올성 세포독성에 대한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8). 본 연구는 알코올성 지방간을 유발시킨 동물모델에서 유산균 발효 마늘추출물의 간 보호 효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장기간 알코올을 섭취시켜 유도한 만성 알코올성 지방간 흰쥐 모델에서 유산균 발효 마늘추출물을 알코올과 함께 투여했을 때, 간 손상의 지표들인 alanine aminotransferase(AL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kaline phosphatase(ALP), γ-glutamyl phosphatase(γ-GT), total-bilirubin(TBIL), direct-bilirubin(DBIL) 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 유산균 발효 마늘추출물의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활성을 직접적으로 확인하고자 간 조직을 염색하였다. 그 결과 Fig.
  • 유산균 발효 마늘추출물이 대표적 항산화물질인 GSH의 함량과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대조식이 군에 비해 알코올식이군의 간 조직 내 total GSH 및 GSSG의 함량이 저하되어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유산균 발효 마늘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GSH의 함량이 회복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Table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 내에서의 알코올 대사 중 임상적으로 중요한 경로는 무엇인가? 간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독성물질을 무독화하여 체외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간 내에서의 알코올 대사는 크게 알코올 탈수소효소계(alcohol dehydrogenase: ADH pathway), 마이크로좀의 알코올 산화계(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 MEOS) 및 카탈레이즈계(catalase pathway) 등 3종류의 효소계가 있으며, 이 중 임상적으로 중요한 경로는 ADH계와 MEOS계로 양자 모두 alcohol이 acetaldehyde를 거쳐 산화된다. ADH계는 조직의 알코올 농도가 높을 때, MEOS계는 낮을 때 알코올 대사에 관여하게 되며 각각을 급성(acute)과 만성(chronic) 알코올 대사로 부르기도 한다.
마늘에 함유된 황 함유 유기화합물은 무엇인가? 마늘은 S-allyl cysteine(SAC), allyl sulfide 등 다양한 황 함유 유기화합물을 포함하고 있고, 이들 황 함유 유기화합물들은 활성산소 소거능이 높을 뿐만 아니라 항산화 효소들을 활성화시킨다(3). 마늘추출물은 acetaminophen에 의해 유발된 간 독성 실험동물 모델에서 glutathione(GSH)이 고갈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간 독성을 완화하였고(4), 마늘의 주요 성분인 SAC는 소의 폐동맥 내피세포에서 과산화수소에 의한 세포 독성에 보호효과가 확인되었다(5).
만성적 알코올 섭취에 의한 결과로 발생하는 기능장애 및 질환은 무엇인가? 만성적 알코올 섭취는 간세포에서 항산화 시스템의 균형을 파괴시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MEOS계인 cytochrome P450 2E1(CYP2E1)에 의해 활성산소를 생성한다. 그 결과로 DNA 파괴, 단백질 기능상실, 지질과산화, 간세포 재생 지연, 미토콘드리아 기능저하 등다양한 간 기능 장애와 질환을 일으킨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Dey A, Cederbaum AI. 2006. Alcohol and oxidative liver injury. Hepatology 43: S63-S74. 

  2. Leung TM, Nieto N. 2013. CYP2E1 and oxidant stress in alcoholic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J Hepatol 58: 395-398. 

  3. Lciek M, Kwiecien I, Wlodek L. 2009. Biological properties of garlic and garlic-derived organosulfur compounds. Environ Mol Mutagen 50: 247-265. 

  4. Anoush M, Eghbal MA, Fathiazad F, Hamzeiy H, Kouzehkonani NS. 2009. The protective effects of garlic extract against acetaminophen-induced oxidative stress and glutathione depletion. Pak J Biol Sci 12: 765-771 

  5. Geng Z, Rong Y, Lau BHS. 1997. S-ally cycteine inhibits activation of nuclear factor kappa B in human T cells. Free Radic Biol Med 23: 345-350. 

  6. Chen CM, Yin MC. 2008. S-Allyl cysteine, S-ethyl cysteine and S-propyl cysteine alleviate oxidative stress-induced damage within PC12 cells. J Sci Food Agric 88: 2493-2498. 

  7. Geng Z, Lau BHS. 1997. Aged garlic extract modulate glutathione redox cycle an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in vascular endothelial cells. Phytoter Res 11: 54-56. 

  8. Jung EB, Choi JH, Yu HJ, Kim KH, Lee SK, Hwang YI, Lee SH. 2012. Organosulfur compounds in fermented garlic extracts and the effects of fermented garlic extracts on alcohol induced cytotoxicity in CYP2E1 transfected HepG2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342-347. 

  9.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by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0. Rhodes JS, Best K, Belknap JK, Finn DA, Crabbe JC. 2005. Evaluation of a simple model of ethanol drinking to intoxication in C57BL/6J mice. Physiol Behav 84: 53-63. 

  11. Yin HQ, Lee BH. 2008. Temporal change in the hepatic fatty liver in mice receiving standard Lieber-DeCarli diet. Toxicol Res 24: 113-117. 

  12. Nyblom H, Berggren U, Balldin J, Olsson R. 2004. High AST/ALT ratio may indicate advanced alcoholic liver disease rather than heavy drinking. Alcohol 39: 336-339. 

  13. Yang RZ, Park S, Reagan WJ, Goldstein R, Zhong S, Lawton M, Rajamohan F, Qian K, Liu L, Gong DW. 2009. Alanine aminotransferase isoenzymes: molecular cloning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tissue expression in rats and serum elevation in liver toxicity. Hepatol 49: 598-607. 

  14. Akerboom TP, Sies H. 1981. Assay of glutathione, glutathione disulfide, and glutathione mixed disulfides in biological samples. Methods Enzymol 77: 373-382. 

  15. Hsu CC, Lin CC, Liao TS, Yin MC. 2006. Protective effect of S-allyl cysteine and S-propyl cysteine on acetaminopheninduced hepatotoxicity in mice. Food Chem Toxicol 44: 393-397. 

  16. Vendemiale G, Altomare E, Grattagliano I, Albano O. 1989. Increased plasma levels of glutathione and malondialdehyde after acute ethanol ingestion in humans. J Hepatol 9: 359-365. 

  17. Abdel-Wahhab KGED, Khadrawy YA, Mannaa FAE. 2012. Aged garlic extract enhances paraoxonase 1 activity and suppress oxidative stress in $CCl_4$ -intoxicated rats. Comun Sci 3: 55-6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