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속도로 본선에서의 교통사고 예측모형 개발
Developing a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for Freeways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0 no.2, 2012년, pp.101 - 116  

문승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이영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이수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고예측모형은 장래 계획 노선이나 다른 노선에 적용되어 사고를 예측하거나 안전개선사업 및 교통정책의 평가 등에 활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본선에 대해 이러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사고예측모형을 구축하고자 한다. 또한 자료 구축이 용이한 변수를 선정하여 모형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본 목표로 하였다. 모형은 종속변수를 사고건수와 사상자발생사고건수로 하여 사고모형과 사상자발생사고모형을 각각 구축하였다. 모형에 적용된 확률구조는 음이항 분포와 포아송 분포이며, 추정에 의해 적합한 모형을 선별하였다. 국내 고속도로중 주요한 9개 노선을 선정하였고, 시간적으로는 2003~2007년까지 5개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모형의 설명변수는 교통류 특성을 나타내는 교통량 등의 예측 가능한 변수와 기하구조 요인 등을 적용하였다. 최우추정법에 의한 추정 결과 사고모형의 경우 구간길이, 일교통량, 버스비율, 곡선구간수가 유의한 변수로 추정되었으며 사상자발생사고모형에서는 구간 길이와 일교통량, 버스비율이 유의한 변수로 추정되었다. 모형의 공간적 시간적 전이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우도비 검정을 수행한 결과, 사고모형은 6차로 이상이나 4차로의 교통류 및 기하구조 특성을 가지는 도로로의 전이가 가능하였다, 반면 사상자발생 사고모형은 모든 도로와 시간대로의 전이가 가능하여, 모형의 활용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구축된 모형은 다른 노선과 장래 계획, 정책 평가 등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ident prediction models have been utilized to predict accident possibilities in existing or projected freeways and to evaluate programs or policies for improving safety. In this study, a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for freeways was developed for the above purposes. When selecting variables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고예측모형은 어디에 활용되나? 이러한 교통사고 자료에 의한 통계 모형은 교통시설 개선 및 안전 정책에 대한 방향 수립, 안전개선사업 및 교통정책의 평가, 도로 및 교통시설의 위험 요인 진단, 사고 잦은 곳의 문제점 진단 및 원인 분석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사고통계모형, 즉 사고예측모형은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공변량과 사고와의 관계에 대해 특정한 통계 모형에 의한 추정을 통해 개발되며, 이들 모형은 장래 계획 노선이나 다른 노선에 적용되어 사고를 예측하거나 안전개선사업의 평가 등에 활용된다. 선행연구에서 사고예측모형은 도로 유형별, 사고 유형별 혹은 사고피해종별로 개발되고 있다.
교통사고 자료에 의한 통계 모형은 어떤 용도로 활용되나? 교통사고 자료는 도로 및 교통시설의 안전성을 나타내주는 척도이며,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한 지표이다. 이러한 교통사고 자료에 의한 통계 모형은 교통시설 개선 및 안전 정책에 대한 방향 수립, 안전개선사업 및 교통정책의 평가, 도로 및 교통시설의 위험 요인 진단, 사고 잦은 곳의 문제점 진단 및 원인 분석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사고통계모형, 즉 사고예측모형은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공변량과 사고와의 관계에 대해 특정한 통계 모형에 의한 추정을 통해 개발되며, 이들 모형은 장래 계획 노선이나 다른 노선에 적용되어 사고를 예측하거나 안전개선사업의 평가 등에 활용된다.
사고예측모형은 도로 유형별, 사고 유형별 혹은 사고피해종별로 개발되고 있는데 각 항목의 하위항목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선행연구에서 사고예측모형은 도로 유형별, 사고 유형별 혹은 사고피해종별로 개발되고 있다. 도로 유형별로는 고속도로, 2차로 도로, 다차로 도로, 교차로 모형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사고 유형별로는 차량단독사고, 다중차량사고, 차-사람사고 등 연구 목적에 맞게 유형을 구분하여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사고피해종별로는 인명피해사고와 물적 피해사고를 구분하여 모형을 구축하거나 사고피해 정도, 심각도 수준에 따라 종속변수를 정의하여 모형을 구축하기도 한다. 이러한 구분은 모형의 개발 목적과 활용 방법에 따라 결정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ameron, A. C. and Trivedi. P. K.(1998), Regression Analysis of Count Dat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Chatterjee, A., et al.(2005), Planning Level Regression Models for Crash Prediction on Interchange and Non- Interchange Segments of Urban Freeways, Center for Transportation Research, The University of Tennessee, Knoxville, TN. 

  3. Han, S. J., Kim, K. J. and Oh, S. M.(2008), What Goes Problematic in the Existing Accident Prediction Models and How to Make it Better,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Vol.10 No.1, pp.19-29. 

  4. Hauer, E.(2004), Statistical Road Safety Modeling,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897, pp.81-87. 

  5. Hauer, E. and Bamfo, J.(1997), Two tools for finding what function links the dependent variable to the explanatory variables, In Proceedings of the ICTCT 1997 Conference, Lund. 

  6. Hauer, E., Lovell, J. and Persaud, B. (1986), New Directions for Learning About Safety Effectiveness, FHWA-RD-86-015, U. S. DOT. 

  7. Hauer, E. and Persaud, B.(1996), Safety Analysis of Roadway Geometric and Ancillary Features, Research Report for the Transportation Association of Canada, Ottawa, Canada. 

  8. Huang, H. and Abdel-Aty, M.(2010), Multilevel data and Bayesian analysis in traffic safety,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42, pp.203-212. 

  9. Jovanis, P. and Chang, H.(1986), Modeling the Relationship of Accidents to Miles Traveled,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068, pp.42-51. 

  10. Lord, D.(2000), The Prediction of Accidents on Digital Networks: Characteristics and Issues Related to the Application of Accident Prediction Models, Ph. D Dissertation,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11. Lord, D. and Persaud, B.(2004), Estimating the Safety Performance of Urban Road Transportation Network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6, pp.609-620. 

  12. Lord, D., Manar, A. and Vizioli, A.(2005), Modelling crash-flow-density and crash-flow-V/C ratio relationships for rural and urban freeway segment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7, pp.185-199. 

  13. Mun, S. R.(2011), Development of a Traffic Accident Casualty Prediction Model on freeway, Ph. 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4. Parajuli, B., et al.(2006), Safety performance assessment of interchanges, ramps and ramp terminals, Annual Conference of the Transportation Association of Canada. 

  15. Park, C. S.(2007), A Study of Accident Models for Highway Interchange Ramps, Ph. D Dissertation,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 The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Seoul. 

  16. Park, H. S., Son, B. S. and Kim, H. J. (2007), Development of Accident Prediction Models for Freeway Interchange Ramp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25, No.3,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pp.123-135. 

  17. Persaud, B. and Dzbik, L.(1993), Accident Prediction Models for Freeway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401, pp.55-60. 

  18. Persaud, B., et al.(2004), Safety Evaluation of Permanent Raised Snow-Plowable Pavement Marker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897, pp.148-155. 

  19. SAS 9.2 GENMOD Procedure Manual. 

  20. Vogt, A. and Bared, J.(1998), Accidents Models for Two-Lane Rural Segments and Intersection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77th Annual Meeting, Washington D.C. 

  21. Washington, S. P. and Mannering, F. L. (2003), Statistical and Econometric Methods for Transportation Data Analysis, Chapman & Hall/CRC. 

  22. Yoon, B. J., et al.(2006),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Accidents on Trumpet IC Ramp,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24, No.7,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pp.41-5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