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통사고 추정방법 비교 연구: 경험적 베이즈 추정치 vs. 관측교통사고건수
Comparative Study on the Estimation Methods of Traffic Crashes: Empirical Bayes Estimate vs. Observed Crash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D. 교통공학, 도로공학, 시공관리, 정보기술, 지역 및 도시계획, 철도공학,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공학, v.30 no.5D, 2010년, pp.453 - 459  

신강원 (경성대학교 도시공학과, 경성대학교 공학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교통안전연구에서 한 지점 (또는 구간)의 기대교통사고건수를 신뢰성 높게 추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기대교통사고건수를 추정하기 위해 현재 국내에서는 주로 관측교통사고건수를 사용하고 있으나 국외에서는 포아송-감마 혼합모형에 기반한 경험적 베이즈 추정치를 활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간 많은 연구들이 경험적 베이즈 추정치를 이용해 기대교통사고건수 추정 및 교통안전개선사업의 평가를 시도 하였으나 전술한 2가지 추정방법의 추정오차를 비교연구한 문헌은 없는 실정인 바 본 연구는 2가지 추정방법의 추정오차를 모의실험을 통해 비교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모의 발생된 총 3,000,000개 지점의 교통사고 자료를 분석한 결과 기대교통사고건수를 경험적 베이즈 추정방법을 이용해 추정했을 경우 그 추정오차는 관측교통 사고건수만을 이용했을 때 발생하는 추정오차에 비해 항상 작은 것으로 나타나 국내의 교통안전연구 가이드라인에 경험적 베이지안 추정방법의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사전분포의 불확실성이 높아질수록 두 가지 추정방법의 추정오차의 차이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대교통사고건수 추정 시 추정된 음이항 모형에 대한 종합적인 검증을 수행한 후 신뢰성 있는 초모수의 추정치를 이용해 경험적 베이지안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study of traffic safety, it is utmost important to obtain more reliable estimates of the expected crashes for a site (or a segment). The observed crashes have been mainly used as the estimate of the expected crashes in Korea, while the empirical Bayes (EB) estimates based on the Poisson-gam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관측교통사고건수를 이용한 기대교통사고건수 추정방법과 경험적 베이지안 추정치를 이용한 기대교통사고건수 추정방법의 추정오차를 비교 · 분석하여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통안전연구 방법론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관측교통사고건수를 이용한 기대교통사고건수 추정방법과 경험적 베이지안 추정치를 이용한 기대교통사고건수 추정방법의 추정오차를 비교 · 분석하여 현재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관측교통사고건수 기반 교통안전연구 방법론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기대교통사고건수를 추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2가지 방법론의 추정오차를 모의실험을 통해 비교·분석하여 교통안전연구에 경험적 베이지안 방법의 적용 당위성을 밝혔다는 측면에서 큰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횡단면적 교통사고자료의 특성만을 고려하여 2가지 방법론의 추정오차를 비교·분석한 바 향후 교통사고의 패널특성을 반영하여 2가지 방법론의 추정오차를 비교할 필요가 있다.

가설 설정

  • 구체적으로 교통안전연구에서 포아송-감마 혼합모형은 분석 지점 i의 기대교통사고건수인 포아송 모수(Poisson parameter:λi)를 추정할 때 발생하는 불확실성을 고려하기 위해 포아송 모수 λi를 고정된 상수가 아닌 초모수 α, β를 가지는 감마확률변수로 가정한다.
  • 분석 시나리오에서 기대교통사고건수의 평균의 최대값은 “10”으로 설정하였는데 이는 어떤 지점의 기대교통사고건수가 연간 10건 이하라는 가정을 충족시키기 위함이며, 과분산계수의 최대값은 기대교통사고건수의 표준편차가 10건 이하1)라는 가정하에 “1.0”으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통안전연구에서 한 지점의 기대교통사고건수를 신뢰성 높게 추정하는 것은 어떠한 활동들을 위해 중요한가? 교통안전연구에서 한 지점(또는 구간)의 기대교통사고건수(expected crashes)를 신뢰성 높게 추정하는 것은 도로교통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통사고 잦은 곳의 선정, 교통안전개선사업의 수행계획 수립, 교통안전 개선사업의 평가 등과 같은 다양한 활동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기대교통사고건수를 추정하기 위해 현재 국내에서는 주로 관측교통사고건수(observed crashes)를 사용하고 있으나 국외에서는 포아송-감마 혼합모형(Poisson-gamma mixture model)에 기반한 경험적 베이즈 추정치(empirical Bayes estimate)를 활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포아송-감마 혼합모형을 이용해 모의발생된 자료에 무엇을 적용하여 감마사전분포의 초모수를 추정하는가? 이를 위해 임의지점(1,000개)의 기대교통사고건수와 관측교통사고건수를 포아송-감마 혼합모형(Poisson-gamma mixture model)을 이용하여 모의발생 시켰다. 모의 발생된 교통사고자료에 음이항 모형(negative binomial model)을 적용하여 감마사전분포(gamma prior distribution)의 초모수(hyper-parameter)를 추정한 후 이를 경험적 베이즈 추정치를 얻는데 사용했으며, 추정된 경험적 베이즈 추정치와 모의 발생시킨 관측교통사고건수의 기대교통사고건수에 대한 추정오차를 비교하여 2가지 추정방법의 적용 적합성을 분석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관측교통사고건수를 이용한 기대교통사고건수 추정방법과 경험적 베이지안 추정치를 이용한 기대교통사고건수 추정방법의 추정오차를 비교·분석하여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통안전연구 방법론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기대교통사고건수를 추정하기 위해 현재 국내에서는 주로 무엇을 사용하고 있는가? 교통안전연구에서 한 지점(또는 구간)의 기대교통사고건수(expected crashes)를 신뢰성 높게 추정하는 것은 도로교통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통사고 잦은 곳의 선정, 교통안전개선사업의 수행계획 수립, 교통안전 개선사업의 평가 등과 같은 다양한 활동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기대교통사고건수를 추정하기 위해 현재 국내에서는 주로 관측교통사고건수(observed crashes)를 사용하고 있으나 국외에서는 포아송-감마 혼합모형(Poisson-gamma mixture model)에 기반한 경험적 베이즈 추정치(empirical Bayes estimate)를 활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물론 국내외 많은 연구(Abbess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도로교통공단(2009) 교통사고 잦은 구간 선정 및 효과분석 기법 연구. 

  2. 박규영, 김태희, 김성욱, 이수범(2006) 도로안전개선사업의 공간적 범위에 따른 도로안전시설물의 효과도 비교.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4권, 제4호, pp. 31-42. 

  3. 박민호, 박규영, 장일준, 이수범(2006) 중앙분리대 설치에 따른 사고전환효과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4권, 제2호, pp. 113-124. 

  4. Abbess, C., Jarrett, D., and Wright, C. C. (1981) Accidents at blackspots: Estimating the effectiveness of remedial treatment,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Regression-to-Mean' effect. Traffic Engineering and Control, Vol. 22, No. 10, pp. 535-542. 

  5. Cameron, A. C. and Trivedi, P. K. (1998) Regression Analysis of Count Data,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Cameron, A. C. and Trivedi, P. K. (2005). Microeconometr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7. Elvik, R. (1997) Effects on Accidents of Automatic Speed Enforcement in Norway.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 1595, pp. 14-19. 

  8. Greene, W. H. (2003) Econometric Analysis,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9. Hauer, E. (1980a) Bias-by-selection: Overestim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safety countermeasures caused by the process of selection for treatment.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12, No. 2, pp. 113-117. 

  10. Hauer, E. (1980b). Selection for treatment as a source of bias in before-and-after studies. Traffic Engineering and Control, Vol. 21, pp. 419-421. 

  11. Hauer, E. (1997) Observational Before-After Studies in Road Safety: Estimating the Effect of Highway and Traffic Engineering Measures on Road Safety, Pergamon, Elsevier Science Ltd., Oxford, U.K. 

  12. Hauer, E., Harwood, D. W., Council, F. M., and Griffith, M. S. (2002) Estimating safety by the empirical bayes method: A tutorial.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 1784, pp. 126-131. 

  13. Hauer, E. and Persaud, B. (1983) Common bias in before-and-after accident comparisons and its elimination.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 905, pp. 164-174. 

  14. Hauer, E. and Persaud, B, N. (1987) How to estimate the safety of rail-highway grade crossings and the safety effects of warning device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 1114, pp. 131-140. 

  15. McMillen, R. D. (1999) Statistical Evaluation in Traffic Safety Studies, Institute of Transportation Engineers. 

  16. Lee, P. M. (2004) Bayesian Statistics: An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Inc., New York. 

  17. Maritz, J. S. (1970) Empirical Bayes Methods. Methods, London. 

  18. Shin, K. and Washington, S. P. (2007) The impact of red light cameras on safety in arizona.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39, pp. 1212-1221. 

  19. Shin, K., Washington, S., and van Schalkwyk, I. (2009) Evaluation of the city of scottsdale loop 101 automated speed enforcement demonstration program.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41, No. 3, pp. 393-403. 

  20. Washington, S. P., Karlaftis, M. G., and Mannering, F. L. (2003) Statistical and Econometric Methods for Transportation Data Analysis, Chapman & Hall/CRC, New Yor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