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동해의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 어장변화 및 풍도와 동물플랑크톤 분포와의 관계
Change in the Fishing Ground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undance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and the Distribution of Zooplankton in the East Sea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5 no.2, 2012년, pp.173 - 179  

황강석 (국립수산과학원 자원관리과) ,  강수경 (국립수산과학원 자원관리과) ,  오택윤 (국립수산과학원 자원관리과) ,  최광호 (국립수산과학원 자원관리과) ,  이동우 (국립수산과학원 자원관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is a dominant species in Korean waters, where it is captured preponderantly by the angling fishery. The spawning and nursery grounds of $T.$ $pacificus$ extend from the southern East Sea to the northern East China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해 오징어 어황에 미치는 영향 요인으로, 어획대상으로 가입되기 전 시기인 성육장에서의 직.간접적인 먹이생물로써 이용되는 동물플랑크톤의 분포상황과 오징어 어황과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더불어 오징어 어장의 변화를 살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연근해에 오징어류가 다량으로 어획되는 지역은? 오징어류는 우리나라 연근해에 있어서 중요한 수산자원이며, 동해를 중심으로 다량 어획되고 있다.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어획되고 있는 오징어류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는 난류성 회유종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오징어류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살오징어가 섭식하는 먹이는? 또한, 살오징어는 어류, 두족류, 갑각류, 해조류 등을 섭이하며(Kim and Kang, 1998), 동중국해 북부에서 동해남부 해역까지 산란장으로 알려져 있다(Nasu et al., 1991).
동해의 살오징어 어황은 어떠한 요인에 영향을 받는가? 단년생인 살오징어의 어황은 수온, 먹이생물 분포, 해류의 세기 및 방향 등의 해양환경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며(Roperet al., 1969; Okutani, 1983; Bower and Sakurai, 1996), 실제로 동해의 살오징어 어황은 동해 연안의 수온 변동 및 수온전선의 분포양상 등, 수온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oi et al., 1997, 2008; Ch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ek HJ, Kim JW, Cho YJ and Kim S. 2006. Sexual maturity and reproductive cycle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in the East Sea of Korea. J Kor Fish Soc 39, 472-479. 

  2. Bower JR and Sakurai Y. 1996. Laboratory observations on Todarodes pacificus(cephalopoda: ommastrephidae) egg masses. Am Malacol Bull 13, 65-71. 

  3. Cho KD, Kim SW, Kang GH, Lee CI, Kim DS, Choi YS and Choi KH. 2004. Relationship between fishing condition of common squid and oceanic condition in the East Sea. J Kor Soc Mar Env Saf 10, 61-67. 

  4. Choi K, Lee CI, Hwang K, Kim SW, Park JH and Gong Y. 2008. Distribution and migration of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East (Japan) Sea. Fish Res 91, 281-290. 

  5. Choi KH, Hwang SD and Kim JI. 1997. Fishing conditions of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Steenstrup) in Korean waters. I.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common squid related to the changes in oceanographic conditions. J Kor Fish Soc 30, 513-552. 

  6. Hatanaka H, Kawahara S, Uozumi Y and Kasahara S. 1985. Comparison of life cycle of five ommastrephid squids fished by Japan: Todarodes pacificus, Illex illecebrosus, Illex argentines, Nototodarus sloani sloani and Nototodarus sloani gouldi. NAFO Sci Coun Stud 9, 59-68. 

  7. Kang YS, Kim JY, Kim HG and Park JH. 2002. Long-term changes in zooplankton and its relationship with aquid, Todarodes pacificus, catch in Japan/East Sea. Fish Oceanogr 11, 337-346. 

  8. Kasahara S. 1978. Descriptions of offshore squid angling in the Sea of Japan,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distribution of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Steenstrup), and on the techniques for forecasting fishing conditions. Bull Jap Sea Reg Fish Res Lab 29, 179-199. 

  9. Kidokoro H, Goto T, Nagasawa T, Nishida H, Akamine T and Sakurai Y. 2010. Impact of climate regime shift on the migration of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in the Sea of Japan. ICES J Mar Sci 67, 1314-1322. 

  10. Kim YH and Kang YJ. 1998. Stomach contents analysis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Steenstrup in Korean waters. 1. Separation of population. J Kor Fish Soc 28, 163-173. 

  11. Kishi MJ, Nakajima K, Fuji M and Hashioka T. 2009. Environmental factors which affect growth of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analyzed by a bioenergetics model coupled with a lower trophic ecosystem model. J Mar Sys 78, 278-287. 

  12. Kitano J. 1979. Note on the fluctuation tendency of the total catch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Steenstrup in the light of the unusual oceanic conditions. Bull Hokkaido Reg Fish Res Lab 44, 73-76. 

  13. Lee CI and Choi K. 2008. Abstract, Ann Meet. J Kor Soc Mar Env Saf 143-145. 

  14. Matsumiya Y, Tanaka S, Tatsukawa K, Asano K and Ishida Y. 1980. Studies on common squids and their distributions around the Yamato-tai. Bull Jpn Sea Reg Fish Res Lab 36, 1-10. 

  15. Nasu K, Okutani T and Ogura M. 1991. Squid: From the organism to consumption. Seizando, Tokyo, 1-330. 

  16. NFRDI. 2010. Ecology and fishing ground of important fishery resources of Korean waters. NFRDI, Busan, 350-351. 

  17. Ogura M. 1984. Squid fishery and its offshore and coastal fishing grounds in Japan. Bull Jap Soc Fish Oceanogr 45, 114-119. 

  18. Okutani T. 1983. Todarodes pacificus. In: Boyle, P.R. (Ed.), Cephalopod life cycles. Academic Press, London, 201-214. 

  19. Roper CFE, Young RE and Voss GL. 1969. An illustrated key to the families of the order teuthoidae (cephalopoda). Smithoson Contrib Zool 13, 1-32. 

  20. Rosa AL, Yamamoto J and Sakurai Y. 2011. Efects of environmental variability on the spawning areas, catch, and recruitment of the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cephalopoda: ommastrephidae), from the 1970s to the 2000s. ICES J Mar Sci 68, 1114-1121. 

  21. Sokal PR and Rohlf FJ. 1981. Biometry, 2nd. ed. W. H. Freeman and Company, NY, 85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