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철근의 설계기준 항복강도
Specified Yield Strength of Steel Reinforcement 원문보기

콘크리트학회지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24 no.1, 2012년, pp.29 - 32  

이재훈 (영남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박홍근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 전단철근의 형태 (3)에서 전단철근의 항복강도를 정의하고 있는데, 개정 기준에서는 전단철근의 최대항복강도를 기존의 400 MPa에서 500 MPa로 상향조정하였으며, 용접이형철망의 경우에는 600 MPa로 상향조정하였다. 7.6.1 비틀림강도 (4)에서 비틀림철근의 최대항복강도를 규정하고 있는데, 전단철근과 마찬가지로 최대항복강도를 500 MPa로 상향조정하였다. 7.
  • 5 지진력에 저항하는 부재의 철근에서는 내진설계에 사용되는 철근의 항복강도를 규정하고 있다. 개정 기준에서는 실험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휨철근과 전단철근에 각각 600MPa과 500MPa 철근을 사용할 수 있도록 철근의 항복강도를 상향조정하였다. 이로써 일반구조 뿐만 아니라 내진설계에서도 동일하게 상향된 항복강도를 적용할 수 있다.
  • 개정기준에서는 철근의 항복강도가 400 MPa를 초과하는 철근에 대해서는 h/db를 25 이상으로 하도록 하여 보다 엄격히 규정하였다.
  • 2 인장이형철근 및 이형철선의 정착에서 철근의 기본정착길이를 규정하고 있는데, 600 MPa 철근에 대한 실험연구결과 D22 이상의 굵은 철근에 대해서는 피복두께가 작은 경우 현행기준의 정착길이 산정식이 안전측이 아닐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실험결과에 근거하여 D22 이상의 철근에 대해서는 60mm 이상의 c값(부재표면에서 해당 철근의 직경까지의 거리)을 사용하고 스터럽이나 띠철근을 배치하도록 개정되었으며, 스터럽이 없는 기초 등의 부재설계에서는 c를 70 mm 이상으로 증가시키도록 하였다.
  • 3 전단철근에서는 슬래브와 기초판에 사용되는 펀칭전단철근의 항복강도를 규정하고 있는데, 기존의 실험연구결과에 의하면 펀칭전단과 불균형모멘트를 동시에 받는 접합부에서는 전단철근이 항복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고강도 철근을 사용할 때에 펀칭강도와 불균형모멘트강도의 과대평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단철근의 항복강도를 400 MPa로 제한하였다.
  • 제 7장 전단과 비틀림에서는 7.4.1 전단철근의 형태 (3)에서 전단철근의 항복강도를 정의하고 있는데, 개정 기준에서는 전단철근의 최대항복강도를 기존의 400 MPa에서 500 MPa로 상향조정하였으며, 용접이형철망의 경우에는 600 MPa로 상향조정하였다. 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콘크리트구조기준은 철근의 최대 설계기준항복강도를 무엇에 따라 달리 규정하고 있는가? 콘크리트구조기준은 철근의 최대 설계기준항복강도를 철근의 용도에 따라 달리 규정하고 있다.
철근에 대한 새로운 KS표준인 KSD3688 ‘고성능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High performance steel bars for concrete reinforcement)’에서 다루는 내진용 철근의 요구사항에는 무엇이 명기되어 있는가? 한편 이와 같은 고강도 철근에 대한 연구의 성과 중 하나로서 철근에 대한 새로운 KS표준인KSD3688‘ 고성능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High performance steel bars for concrete reinforcement)’이 제정(2011년 10월 26일) 되었다. 이 표준에서 다루는 고성능 철근은 내진용 철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요구사항으로 항복강도 상한기준, 항복비(항복강도와 인장강도의 비율) 기준, 화학 성분 및 탄소당량 기준을 명기하고 있다.
압축부재의 횡방향 철근으로 설계기준항복강도가 550 MPa인 띠철근이나 700 MPa인 나선철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설계에서 설계전단강도를 계산할 때에는 철근의 항복강도가 400 MPa인 것으로 계산하여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휨부재 전단철근에는 설계기준항복강도 400 MPa 이하를 적용하도록 하고 있으나 용접 이형철망은 550 MPa까지 허용한다. 압축부 재의 주철근으로는 설계기준항복강도 550 MPa 이하를 적용하도록 하고 있으며, 압축부재의 횡방향 철근이 전 단이나 비틀림 보강용이 아닌 경우에 띠철근은 550 MPa 이하로, 나선철근은 700 MPa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압축부재의 횡방향 철근이 전단이나 비틀림 보강용인 경우는 400 MPa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압축부재의 횡방향 철근으로 설계기준항복강도가 550 MPa인 띠철근이나 700 MPa인 나선철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설계에서 설계전단강도를 계산할 때에는 철근의 항복강도가 400 MPa인 것으로 계산하여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