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설진의 표준화를 위한 제언 : 설태 후박의 진단기준을 중심으로
A Proposal for Standardization of Tongue Diagnosis Based on Diagnostic Criteria of Tongue Coating Thickness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3 no.1, 2012년, pp.1 - 13  

손지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 교실) ,  김진성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 교실) ,  박재우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 교실) ,  류봉하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 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 In oriental medicine, the status of the tongue is an important indicator to diagnose the condition of one's health, such as physiological and the clinicopathological changes of internal organs. A tongue diagnosis is not only convenient but also non-invasive, and therefore widely used in...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舌診이란? 舌診은 환자의 舌質과 舌苔의 변화를 눈으로 관찰하여 질병을 변증하는 한의학의 진단 방법이다1. 설질은 舌體라고도 부르며 혀의 근육과 혈맥 등의 조직을 가리키고, 설태는 설체에 씌운 苔狀物을 가리킨다.
설진의 진단결과는 어떤 변화에 영향을 받는가? 그러나 설진은 비침습적이고 간편한 진단방법임에도 불구하고 널리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조명이나 날씨 등 외부 환경의 변화가 진단결과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며, 진단자의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객관적이고 재현성 있는 결과를 얻기 힘들기 때문이다. 또한 설진의 진단기준이 명확하지 못하고, 특히 설태의 두께를 판정하는 기준이 모호하여 진단자간의 일치된 결과를 얻기 힘들다.
설태가 설진에 있어 중요한 진단 요소인 이유는? 혀를 진단할 때는 주로 진단자의 시각 정보에 근거하는 망진을 시행하며 혀의 색깔, 형태, 움직임, 설태 등을 주로 보게 되는데, 특히 설태는 혀의 표면에 생기는 이끼 모양의 부착물로 색깔, 습윤정도, 두께, 형태, 범위 등을 통해 사기의 성질과 침입한 부위, 진액의 유무 등을 가려볼 수 있다고 하여 설진에 있어 중요한 진단 요소로 이용되고 있다5. 이 중 설태의 두께는 설태 색깔 다음으로 주요한 진단기준이 되는 요소로 설태가 두꺼우면 厚苔, 얇으면 薄苔로 진단하여 병위의 깊은 정도와 질병의 성질, 정사의 상태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李鳳敎, 朴英培, 金泰熙. 漢方診斷學. 서울: 成輔社; 1986, p. 70-91. 

  2. 라이프21출판부. 중의진단학. 서울: 침코리아; 2006, p. 71-87. 

  3. 임양근. 진단학 아틀라스 설진. 서울: 정담; 2003, p. 1-35. 

  4. 김근호, 유현희, 김종열. 디지털 자동 설진 시스템 구축을 위한 설태 인식 알고리즘 기초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23(1):97-103. 

  5. 최은지, 김근호, 유현희, 이혜정, 김종열. 백태 중후태 및 박태 분류 판별함수 설계. 한국한의학연구원 논문집 2007;13(3):119-24. 

  6. 박종기. 설진의 원리와 의의에 관한 고찰. 대한한의진단학회지 1998;2(1):183-206. 

  7. 江涵暾. 筆花醫鏡. 서울: 일중사; 1993, p. 32. 

  8. 吳坤安. 傷寒指掌. 상해: 상해과학기술출판사; 1982, p. 6-32. 

  9. 송천빈. 동의설진원색도보. 서울: 고려의학; 1998, p. 1-6. 

  10. 苑琳琳, 李文書, 姚建富, 宋紅, 鄭小偉. 中?舌診信息處理技術硏究進展. 上海中醫學大學學報 2011; 25(2):80-6. 

  11. 郭睿, 王憶勤, 顔建軍. 中?舌診的客觀化硏究. 中國中西?結合雜志 2009;29(7):642-5. 

  12. 朱佶華, 阮邦志, 勵俊雄. 舌診客觀化硏究的一?圖像處理方法. 中國生物?學工程學報 2001;20(2):132-7. 

  13. 翁維良, 黃世敬. 中?舌診客觀化硏究. 中國工程科學 2001;3(1):78-82. 

  14. Pang B, Zhang D, Li N, Wang K. Computerized tongue diagnosis based on Bayesian networks. IEEE Trans Biomed Eng 2004;51(10):1803-10. 

  15. Zhang H, Wang K, Zhang D, Pang B, Huang B. Computer aided tongue diagnosis system. Conf Proc IEEE Eng Med Biol Soc 2005;7:6754-7. 

  16. Chiu CC. A novel approach based on computerized image analysis for traditional Chinese medical diagnosis of the tongue. Comput Methods Programs Biomed 2000;61(2):77-89. 

  17. Yue XQ, Liu Q. Analysis of studies on pattern recognition of tongue image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by computer technology. Zhong Xi Yi Jie He Xue Bao 2004;2(5):326-9. 

  18. Wu J, Zhang Y, Bai J. Tongue area extraction in tongue diagnosi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nf Proc IEEE Eng Med Biol Soc 2005;5:4955-7. 

  19. 황인덕, 신상훈, 김기왕. KR-A-0053033. 2006.05.19. 

  20. 박경모, 이영명. KR-A-0087965. 2008.10.02. 

  21. 김근호, 최은지. KR-A-0030957. 2009.03.25. 

  22. 김근호, 이전, 최은지, 류현희, 김종열. 그래프 및 기하 정보를 이용한 설진 영역 추출. 대한전기학회논문지 2007;56(11):1873-2066. 

  23. 전영주, 김근호. KR-A-0027296. 2010.03.11. 

  24. Kim J, Jung Y, Park K, Park JW. A digital tongue imaging system for tongue coating evaluation in patients with oral malodour. Oral Dis 2009;15(8):565-9. 

  25. 김제균. 디지털 설진 시스템의 개발. 학위논문(학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5. 

  26. 어윤혜. 디지털 설진 시스템을 위한 설 검출과 분류. 학위논문(석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6. 

  27. 정용재, 김진성, 오승환, 한가진, 김유승, 홍인아, 등. 디지털 설진기를 이용한 구취군과 비구취군 간의 설태 평가. 대한한의학회지 2010;31(1):23-9. 

  28. Eo YH, Kim JG, Yoo HS, Kim JY, Park KM. Quantitative Study on Tongue Images according to Exterior, Interior, Cold and Heat Patterns. J. Korean Oriental Med 2006;27(2):134-44. 

  29. Winkel EG, Roldan S, Van Winkelhoff AJ, Herrera D, Sanz M. Clinical effects of a new mouthrinse containing chlorhexidine, cetylpyridinium chloride and zinc-lactate on oral halitosis. A dual-center,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J Clin Periodontol 2003;30(4):300-6. 

  30. Kim JS, Han GJ, Choi BH, Park JW, Park KM, Yeo IK, et al. Development of Differential Criteria on Tongue Coating Thickness in Tongue Diagnosis. Complement Ther Med; In press. 

  31. Fleiss JL. Design and analysis of clinical experiments. New York: Wiley; 1999, p. 23-7. 

  32. Shourt, PE, Fleiss, JL. Intraclass correlation, uses in assessing rater reliability. Psychol Bull 1979;86(2):420-8.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