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에서 설태후박 및 흉늑각 측정의 진단적 가치
Diagnostic Values of Tongue Coating Thickness and Sterno-costal Angle in Functional Dyspepsia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5 no.2, 2014년, pp.157 - 174  

손지영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실) ,  김진성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diagnostic values of tongue coating thickness and sterno-costal angle as the quantitative diagnostic indicators in functional dyspepsia. Methods : We surveyed 60 functional dyspepsia patients recruited by the clinical trial, 'Clinical Trial fo...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 설진과 복진은 비위의 상태를 파악하기에 적합한 진단방법으로 실제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설진과 복진의 다양한 내용 중 정량적 수치로 표현 가능한 설태후박 및 흉늑각의 진단적 가치를 평가함으로써, 소화기계통 질환의 객관적 진단지표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설태의 후박은 두 가지 방법으로 얻은 설태의 측정값 각각을 평가 대상으로 삼았는데, 하나는 설진을 목적으로 개발된 설진기 CTS-1000을 이용해 얻은 설태의 분포비율이었고, 다른 하나는 혀 표면에서 직접 채취해 무게를 측정한 설태양이었다.
  • 흉늑각은 실제 환자의 흉곽전면에서 해부학적 지표를 이용해 얻은 측정값을 사용하였다. 또한 이러한 측정값들이 이환기간 혹은 비만도와 상관성이 있는지도 탐색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능성 소화불량이 사회경제적 부담이 큰 질환임은 무엇때문인가? 기능성 소화불량은 명백한 기질적 원인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만성적인 상복부 위장관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로 정의하는데, 전체 소화불량의 70~92%를 차지할 뿐 아니라 전 세계적 유병률도 25%로 매우 높은 수준이다1,2. 기능성 소화불량은 치사율은 낮지만 만성적으로 삶의 질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사회경제적 부담이 큰 질환으로3, 정확한 진단 및 효과적인 치료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기능성 소화불량은 무엇인가? 기능성 소화불량은 명백한 기질적 원인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만성적인 상복부 위장관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로 정의하는데, 전체 소화불량의 70~92%를 차지할 뿐 아니라 전 세계적 유병률도 25%로 매우 높은 수준이다1,2. 기능성 소화불량은 치사율은 낮지만 만성적으로 삶의 질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사회경제적 부담이 큰 질환으로3, 정확한 진단 및 효과적인 치료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60명의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를 대상으로 이환기간 혹은 비 만도가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 결과는 어떠한가? 5. 비만도와 이환기간이 설태의 분포비율, 설태양, 흉늑각과 상관성이 있는지 분석한 결과, 비만도와 흉늑각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Kim JS, Lee KJ, Kim JH, Hahm KB, Cho SW.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in patients referred to specialist gastroenterologists in a tertiary hospital. Korean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4;10(2):111-7. 

  2. 최명규.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정의 및 역학. 대한소화관운동학회 학술집담회 2000;6:235-40. 

  3. Yang SY, Lee OY, Bak YT, Jun DW, Lee SP, Lee SH, Park GT, Yoon BC, Choi HS, Hahm JS, Lee MH, Lee DH. Prevalence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symptoms and uninvestigated dyspepsia in Korea: a population-based study. Dig Dis Sci 2008;53(1):188-93. 

  4. Lee WC. The problems of cooperative medical system of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and their solutions. J Korean Oriental Med 1999;20(2):3-11. 

  5. 김증배, 김진희, 손창규, 강위창, 조정효. 기능성 소화불량증 변증도구 개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0;24(6):1094-8. 

  6. Park YC, Jo JH, Son CG, Hong KE, Jeong IC, Kang WC, et al. Effect of Acupuncture Treatment for Functional Dyspepsi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007;24(1):1-12. 

  7. Jeon WH, Park JW, Kim JS, Hong JH, Hong SS. Park SK, et al. Oriental Medical Treatment Can Improv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Korean J Orient Int Med 2001;22(3):361-6. 

  8. Ryu JM, Yoon SH, Jang SY, Kim HK, Lee JS, Eom GH, et al. Effects of Traditional Korean Medical Therapy on Gastric Myoelectrical Activity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Korean J Orient Int Med 2005;26(2):360-8. 

  9. 김현경, 윤상협, 유종민, 장선영, 이준석, 엄국현, 등.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의 피로도에 대한 체표 교감신경 활성 및 심혈관 반응의 연계성(양도락과 맥진검사의 진단적 가치).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5;26(2):390-7. 

  10. 이현주. 복진의 임상 적용을 위한 정량적 진단 지표 개발: 예비연구. 서울: 경희대학교대학원; 2013. 

  11. 김광중. 한방진단방법에 대한 임상적 설정방향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6;20(1):245-56. 

  12. 홍원식. 정교 황제내경. 서울: 동양의학연구원; 1981, p. 245. 

  13. 揚力, 中醫疾病豫測學. 서울: 법인문화사; 2001, p. 250-64. 

  14. 정혜경.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진단 : 배제진단 vs. 절대진단. 대한내과학회지 2010;78(2):163-9. 

  15. Talley NJ, Haque M, Wyeth JW, Stace NH, Tytgat GN, Stanghellini V, et al. Development of a new dyspepsia impact scale: the Nepean Dyspepsia Index. Aliment Pharmacol Ther 1999;13:225-35. 

  16. Talley NJ, Verlinden M, Jones M. Validity of a new quality of life scale for functional dyspepsia: a United States multicenter trial of the Nepean Dyspepsia Index. Am J Gastroenterol 1999;94:2390-7. 

  17. Talley NJ, Verlinden M, Jones M. Quality of life in functional dyspepsia: responsiveness of the Nepean Dyspepsia Index and development of a new 10-item short form. Aliment Pharmacol Ther 2001;15:207-16. 

  18. Lee SY, Choi SC, Cho YK, Choi MG. Validation of the Nepean Dyspepsia Index- Korean version. Kor J Neruogastroenterol Motil 2003;9(suppl):48S. 

  19. Yaegaki K, Sanada K. Volatile sulfur compounds in mouth air from clinically healthy subjects and patients with periodontal disease. J Periodontal Res 1992;27:233-8. 

  20. Talley NJ, Zinsmeister AR, Schleck CD, Melton LJ 3rd. Dyspepsia and dyspepsia subgroups: a population-based study. Gastroenterology 1992;102:1259-68. 

  21. Jones R, Lydeard S. Prevalence of symptoms of dyspepsia in the community. BMJ 1989;298:30-32. 

  22. Lieberman D, Fennerty MB, Morris CD, Holub J, Eisen G, Sonnenberg A. Endoscopic evaluation of patients with dyspepsia: results from the national endoscopic data repository. Gastroenterology 2004;127:1067-75. 

  23. 강지선, 김동현, 신현수, 조창환, 이재휘, 강병갑, 등. 중풍 환자의 습담 설진과 고지혈증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9;13(2):24-33. 

  24. 김근호, 박경모. 설진의 과거와 미래 전망. 전자공학회지 2010;37(7):62-71. 

  25. 김근호, 도준형, 유현희, 김종열. 설진 기기의 시스템 구성 및 진단 방법 개발. 한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2008;14(3):89-95. 

  26. 김빛나라, 국길호, 양동민, 이규원, 오민석. 설진에 대한 국내의 연구동향.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12;21(1):143-50. 

  27. 이내민. 중국설진대전. 북경: 원출판사; 1995, p. 249. 

  28. 손지희, 김진성, 박재우, 류봉하. 설진의 표준화를 위한 제언 : 설태 후박의 진단기준을 중심으로.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2;33(1):1-13. 

  29. 최명희, 김준기. 심하부 복진 소견과 연관된 상한론, 금궤요략 수재 약물, 처방의 응용에 관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6;20(6):1375-87. 

  30. 이종호, 김정규, 윤창열. 복진의 발생과정과 방법에 관한 문헌적 연구.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0;4(1):69-81. 

  31. 조기호, 희다민명, 사택첩년, 문상관, 고창남, 김영석, 등. 한방의 복진법에 관하여-한의학에서의 복진법 도입에 대한 접근시도. 대한한방내과학회지 1997;18(1):86-96. 

  32. 이용철, 강정수. 복부 망진에 관한 생리적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4;18(2):349-54. 

  33. 이재철, 김상혁. 동의수세보원 경험방에 근거한 사상체질별 복진의 문헌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3;26(2):141-6. 

  34. 김종채, 최민기, 정운기, 유준상, 신우용, 김선형. 사상체질진단표 및 망진, 설진에 관한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2007;19(3):156-75. 

  35. 조유경, 최명규, 김세희, 이인석, 김상우, 정인식, 등.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삶의 질에 대한 모사프리드의 효과. 대한소화기학회지 2004;43(3):160-7.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