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5 no.2, 2014년, pp.157 - 174
Objectives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diagnostic values of tongue coating thickness and sterno-costal angle as the quantitative diagnostic indicators in functional dyspepsia. Methods : We surveyed 60 functional dyspepsia patients recruited by the clinical trial, 'Clinical Trial fo...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기능성 소화불량이 사회경제적 부담이 큰 질환임은 무엇때문인가? | 기능성 소화불량은 명백한 기질적 원인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만성적인 상복부 위장관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로 정의하는데, 전체 소화불량의 70~92%를 차지할 뿐 아니라 전 세계적 유병률도 25%로 매우 높은 수준이다1,2. 기능성 소화불량은 치사율은 낮지만 만성적으로 삶의 질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사회경제적 부담이 큰 질환으로3, 정확한 진단 및 효과적인 치료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 |
기능성 소화불량은 무엇인가? | 기능성 소화불량은 명백한 기질적 원인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만성적인 상복부 위장관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로 정의하는데, 전체 소화불량의 70~92%를 차지할 뿐 아니라 전 세계적 유병률도 25%로 매우 높은 수준이다1,2. 기능성 소화불량은 치사율은 낮지만 만성적으로 삶의 질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사회경제적 부담이 큰 질환으로3, 정확한 진단 및 효과적인 치료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 |
60명의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를 대상으로 이환기간 혹은 비 만도가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 결과는 어떠한가? | 5. 비만도와 이환기간이 설태의 분포비율, 설태양, 흉늑각과 상관성이 있는지 분석한 결과, 비만도와 흉늑각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
Kim JS, Lee KJ, Kim JH, Hahm KB, Cho SW.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in patients referred to specialist gastroenterologists in a tertiary hospital. Korean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4;10(2):111-7.
최명규.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정의 및 역학. 대한소화관운동학회 학술집담회 2000;6:235-40.
Yang SY, Lee OY, Bak YT, Jun DW, Lee SP, Lee SH, Park GT, Yoon BC, Choi HS, Hahm JS, Lee MH, Lee DH. Prevalence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symptoms and uninvestigated dyspepsia in Korea: a population-based study. Dig Dis Sci 2008;53(1):188-93.
Lee WC. The problems of cooperative medical system of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and their solutions. J Korean Oriental Med 1999;20(2):3-11.
이현주. 복진의 임상 적용을 위한 정량적 진단 지표 개발: 예비연구. 서울: 경희대학교대학원; 2013.
홍원식. 정교 황제내경. 서울: 동양의학연구원; 1981, p. 245.
揚力, 中醫疾病豫測學. 서울: 법인문화사; 2001, p. 250-64.
정혜경.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진단 : 배제진단 vs. 절대진단. 대한내과학회지 2010;78(2):163-9.
Talley NJ, Haque M, Wyeth JW, Stace NH, Tytgat GN, Stanghellini V, et al. Development of a new dyspepsia impact scale: the Nepean Dyspepsia Index. Aliment Pharmacol Ther 1999;13:225-35.
Talley NJ, Verlinden M, Jones M. Validity of a new quality of life scale for functional dyspepsia: a United States multicenter trial of the Nepean Dyspepsia Index. Am J Gastroenterol 1999;94:2390-7.
Talley NJ, Verlinden M, Jones M. Quality of life in functional dyspepsia: responsiveness of the Nepean Dyspepsia Index and development of a new 10-item short form. Aliment Pharmacol Ther 2001;15:207-16.
Lee SY, Choi SC, Cho YK, Choi MG. Validation of the Nepean Dyspepsia Index- Korean version. Kor J Neruogastroenterol Motil 2003;9(suppl):48S.
Yaegaki K, Sanada K. Volatile sulfur compounds in mouth air from clinically healthy subjects and patients with periodontal disease. J Periodontal Res 1992;27:233-8.
Talley NJ, Zinsmeister AR, Schleck CD, Melton LJ 3rd. Dyspepsia and dyspepsia subgroups: a population-based study. Gastroenterology 1992;102:1259-68.
Jones R, Lydeard S. Prevalence of symptoms of dyspepsia in the community. BMJ 1989;298:30-32.
Lieberman D, Fennerty MB, Morris CD, Holub J, Eisen G, Sonnenberg A. Endoscopic evaluation of patients with dyspepsia: results from the national endoscopic data repository. Gastroenterology 2004;127:1067-75.
김근호, 도준형, 유현희, 김종열. 설진 기기의 시스템 구성 및 진단 방법 개발. 한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2008;14(3):89-95.
이내민. 중국설진대전. 북경: 원출판사; 1995, p. 249.
이종호, 김정규, 윤창열. 복진의 발생과정과 방법에 관한 문헌적 연구.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0;4(1):69-81.
이재철, 김상혁. 동의수세보원 경험방에 근거한 사상체질별 복진의 문헌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3;26(2):141-6.
조유경, 최명규, 김세희, 이인석, 김상우, 정인식, 등.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삶의 질에 대한 모사프리드의 효과. 대한소화기학회지 2004;43(3):160-7.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