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tended for Fagus engleriana stand in Is. Ulleung where the disturbance of vegetation has been caused by the exploitation and the increase of tourists. For the effectiv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n this issue, this study was conducted provide basic data. The sixteen study sit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울릉도에 자생하는 너도밤나무의 군집구조와 생육환경 분석을 통하여 효율적인 보전관리를 위한 증거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울릉도에 자생하고 있는 너도밤나무림에 대한 군집 분석결과 너도밤나무-고로쇠나무군집, 너도밤나무-당마가목군집으로 구분되었다.
  • 본 연구는 한반도 전체를 놓고 볼 때 고립된 생태적 지위폭(ecological niche breadth)의 특수종(specialist) 개념과 울릉도 지역으로 볼 때 넓은 생태적 지위폭을 가지는 일반종(generalist) 개념을 동시에 가지는 너도밤나무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너도밤나무림에 대한 모니터링 자료의 분석으로 너도밤나무림의 군집구조, 하층식생의 분포양상, 생육환경과 관계를 제시하여 효율적인 보전 및 관리에 증거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에서 입지조건이 유사한 지역의 특징은 무엇인가? 산림에서 입지조건이 유사한 지역은 환경에 따라 식물종들이 반복적으로 출현하며 산림군락을 형성하는데 다양한 환경 인자에 의해 여러 종류의 군락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군락의 분석은 산림생태계의 양질을 평가하고 잠재성을 예측하여 효율적 관리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Hampe, 1982).
군락의 분석은 어느 곳에 활용되는가? 산림에서 입지조건이 유사한 지역은 환경에 따라 식물종들이 반복적으로 출현하며 산림군락을 형성하는데 다양한 환경 인자에 의해 여러 종류의 군락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군락의 분석은 산림생태계의 양질을 평가하고 잠재성을 예측하여 효율적 관리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Hampe, 1982). 생태계 모니터링은 자연적요소와 더불어 인간 활동에 의해 생태계구조 및 기능이 어떻게 변할 것인가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으며(Noss, 1990; Spellerberg, 1991) 군집 또는 생태계 환경변화의 해석 및 생물다양성을 평가하는 역할을 한다(McGeoch, 1998).
울릉도의 최근 50년간 연편균 기온과 강우량은 어떻게 되는가? 기후적 특성은 최근 50년간(1961∼2010) 연평균 기온은 12.0℃, 강우량은 1308mm이다(기상청, 2012). 울릉도는 대륙성 기후인 한반도의 내륙과는 달리 해양성 기후로서 연중 온난하고 강우량의 계절이 고루 분포하며 동일 위도 상의 다른 지역에 비하여 온난한 것이 특징이다(김종원,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국립수목원. 2004. 한국식물도해도감(1) 벼과. 포천. 520p. 

  2. 국립수목원?한국식물분류학회. 2007. 국가표준식물목록. 534p. 

  3. 권수덕?김종갑?문현식. 2010. 울릉도 우산고로쇠나무 군락의 식생구조와 토양환경. 농업생명과학연구 44(5):15-22. 

  4. 김무열. 2004. 한국의 특산식물. 솔과학. 408p. 

  5. 김윤식?고성철?최병희. 1981. 한국식물의 분포도에 관한 연구. 소나무과의 분포도. 한국식물분류학회지 11(2):53-76. 

  6. 김성덕?한미정. 1994. 울릉도 상록수림지역의 식생에 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충남대학교 환경연구보고 11:6-28. 

  7. 김정언?길봉섭. 1983. 한반도의 해송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6(1):45-54. 

  8. 김종원. 2004. 녹지생태학. 월드사이언스, 서울. 308p. 

  9. 김종원?이율경. 2006. 식물사회학적 식생조사와 평가방법(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lant communities), 월드사이언스, 서울. 12-14pp. 

  10. 김진석?김태영. 2012. 한국의 나무. 돌베개, 파주. 688pp. 

  11. 기상청. 2012. 기후자료. http://www.kma.go.kr(2012. 3). 

  12. 박봉규. 1972. 울릉도의 식생.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생활과학연구원 8:53-65. 

  13. 산림청?국립수목원. 2008. 한국 희귀식물 목록집. 포천. 332p. 

  14. 신현탁?김용식. 2002. 울릉도의 보전지역 설정및 보전전략(I) -울릉도 지역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2):195-216. 

  15. 송호경?소순구?김무열?박종민?이상화?박관수. 2007. 울릉도 삼림식생과 환경과의 상관관계.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1(1):82-92. 

  16. 송호경?이미정?이선. 2000. 울릉도 산림군락의 구조 및 DCCA에 의한 식생과 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2):111-118. 

  17. 양인석. 1956. 울릉도의 식생. 경북대학교 논문집. 1:245-257. 

  18. 이규송?조도순. 2000. 온대낙엽활수림에서 미소 환경요인의 공간 이질성이 임상초본식물의 공간분포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학회지 23(3):255-266. 

  19. 이덕봉?주상우. 1958. 울릉도 식물상의 재검토. 고대 논문집 3:223-295. 

  20. 이미정. 2000. 울릉도 산림의 군락 생태학적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9p. 

  21. 이영노. 1971. 울릉도 식물상. 울릉도 종합학술조사보고서 27-36pp. 

  22. 이우철?양인석. 1982. 울릉도와 독도의 식물상.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19:61-95. 

  23. 이우승?정재동?홍성천. 1986. 울릉도 희귀식물의 분포 및 생태에 관한 연구. 경북대 논문집 41:1-33. 

  24. 이중효?조현제?허태철, 2006. 울릉도 산림식생의 공간분포 및 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9(6):521-529. 

  25. 이창복. 1985. 대한식물도감. 서울, 향문사. 990p. 

  26. 이창복. 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서울. 향문사. 1권 pp. 914. 2권 910p. 

  27. 임양재?유광수?백광수. 1980. 울릉도의 식생. 중앙대 기술과학연구소 논문집 7:1-12. 

  28. 임양재?이은복?김선영. 1982. 울릉도와 독도의 식생.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19:97-111. 

  29. 오수영. 1971. 울릉도 양치식물에 관한 연구. 식물분류학회지 3:33-11. 

  30. 오수영. 1978. 울릉도산 유관속 식물상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논문집 25:131-201. 

  31. 정성철?구교상?김용걸?허태철?주성현. 2010. 울릉도 해송림 지역의 생태관광 자원화를 위한 군집구조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4(1):55-61. 

  32. 정진현?구교상?이충화?김춘식. 2002.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 이화학적특성. 한국임학회지 91(6):694-700. 

  33. 조용찬?홍진기?조현제?배관호?김준수. 2011. 울릉도 섬잣나무-솔송나무림의 구조 및 하층식생의 종다양성 100(1):34-41. 

  34. 조현제?배관호?이병천?홍성천. 1993. 울릉도 성인봉 일대 원시림의 군락생태학적 연구. 한국임학회지 82(2):139-151. 

  35. 조현제?배상원?배관호?신준환. 1996. 울릉도의 산림식생. 임업연구원 산림과학 논문집 53:78-88. 

  36. 최송현?이경재?김종엽. 1998. 울릉도 성인봉지역의 해발고도별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2(3):290-296. 

  37. 최홍근?신현철. 2007. 생물과 환경 그리고 생물 다양성, 환경과 사회-인간, 생명 그리고 생태. 도서출판 오름. 59-94pp. 

  38. 한국양치식물연구회. 2005. 한국양치식물도감, 서울. 지오북. 399p. 

  39. 한봉호?김동완?조현서. 1998. 울릉도 성인봉원시림의 산림군집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2(2):138-146. 

  40. 홍성천?김용원?박재홍?오승환?김진석?장병태. 2002. 울릉군 원색 식물도감. 동아문화사. 대구. 405p. 

  41. Braun-Blanquet, J. 1965. Plant Sociology. The Study of Plant Communities. New York, p. 439. 

  42. Brower, J. E. and J. H. Zar.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Brown Company. 194p. 

  43. Curtis and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vorder region of Winsconsin. Ecology 32:476-496. 

  44. Dufrene, M. and P. Legendre. 1997. Species assemblages and indicator species:the need for a flexible asymmetrical approach. Ecological Monographs 67:345-366. 

  45. Hampe Gisela. 1982. Aspect of Applied Vegetation Ecology, the Natural Garden Movement in the Netherlands. Garten+Landschaft, 509p. 

  46. Hill MO. 1994. Decorana and Twinspan, for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of multivariate species data. Huntingdon. England. 

  47. Kimmins, J.P. 1987. Forest Ecology. Macmillan, 531p. 

  48. McCune, B. and J.B. Grace. 2002. Analysis of ecological communities. MjM Software Design. Gleneden Beach, OR, USA. 

  49. McCune, B and M. J. Mefford. 2006. PC-ORD.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Version 5.17. MJM Software Design, Gleneden Beach, Oregon, USA. 

  50. McGeoch, M.A. 1998. The selection, testing and application of terrestrial insects as bioindicators. Biological Reviews of the Cambridge Philosophical Society 73(2):181-201. 

  51. Mielke, P. W., Jr., and K. J. Berry. 1982. An extended class of permutation techniques for matched pairs. Communities. Statist.-Theor. Meth. 11:1197-1207. 

  52. Miller, H.G. and R.L. Donahue. 1990. Soil. An interduction to soil and plant growth. Prentice-Hall. N.J., 768p. 

  53. Nakai, T. 1919. Report on the Vegetation of Dagelet island, Corea. Chosen Government. 87p. 

  54. Noss, R.F. 1990. Indicators for monitoring biodiversity: A hierarchical approach. Conservation Biology 4(4):355-364. 

  55. Spellerberg, I.F. 1991. Monitoring ecological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4p. 

  56. 木元新作?武田博淸, 1991. 群集生態學入門, 東京. 洪立出版株式會社. 198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