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면개질된 생분해성 PLLA 필름 및 지지체의 연골세포와 조골세포 점착거동
Adhesion Behavior of Chondrocyte and Osteoblast on Surface-Modified Biodegradable PLLA Films and Scaffolds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6 no.3, 2012년, pp.357 - 363  

최지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체재료연구단) ,  정현정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체재료연구단) ,  박방주 (가천대학교 바이오나노학부) ,  정윤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체재료연구단) ,  박귀덕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체재료연구단) ,  한동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체재료연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ly(L-lactic acid)(PLLA) 고분자 필름 및 지지체의 세포 친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산소 플라즈마 처리후 카복실기를 함유한 아크릴산(AA)을 $in$ $situ$ 그래프트시켰다. Stimulated body fluid(SBF) 용액에 15일간 담지시킨 후 hydroxyapatite(HA)를 형성시킨 시료와 phosphate-buffered saline(PBS), fetal bovine serum(FBS), 식염수 및 세포 배양용 배지에 담지시킨 다음 PLLA 시료 표면의 접촉각을 비교해 본 결과, HA 표면이 가장 낮은 접촉각을 나타내었다. 또한 연골세포와 조골세포는 HA 표면 위에서 높은 점착과 성장을 보였으며 연골세포가 HA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골세포의 경우 HA 표면 이외에도 FBS나 세포 배양배지에 담지된 표면에서도 높은 세포 증식을 보였다. 더욱이 필름형태보다는 3차원 입체 구조의 다공성 지지체에서 연골세포와 조골세포의 점착과 세포 증식이 향상됨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표면개질된 PLLA는 조직공학적으로 연골이나 뼈 재생을 위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지지체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rface-modified poly(L-lactic acid) (PLLA) films and scaffolds were treated with plasma discharge in oxygen gas and subsequently subjected to $in$ $situ$ grafting of acrylic acid (AA) in order to increase the cell compatibility. The surface of AA-grafted PLLA was converted to ...

주제어

참고문헌 (27)

  1. R. Langer and J. P. Vacanti, Science, 260, 920 (1993). 

  2. J. A. Hubbell and R. Langer, Chem. Eng. News, 73, 42 (1995). 

  3. R. M. Neremand and A. Sambanis, Tissue Eng., 1, 3 (1995). 

  4. J. M. Pachence, M. P. Bohrer, and J. Kohn, "Biodegradable polymer", in Principle of Tissue Engineering, R. P. Lanza, R. Langer, and W. L. Chick, Editors, Academic Press, San Diego, p 323-339 (1997). 

  5. J. A. Hubbell, Trends Polym. Sci., 2, 20 (1994). 

  6. S. E. Bae, J. S. Son, K. Park, and D. K. Han, J. Control. Release, 133, 37 (2009). 

  7. H. H. Jung, K. Park, and D. K. Han, J. Control. Release, 147, 84 (2010). 

  8. Z. Ma, C. Gao, Y. Gong, and J. Shen, Biomaterials, 24, 3725 (2003). 

  9. J. P. Nuutinen, C. Clerc, T. Virta, and P. Tormala, J. Biomater. Sci. Polym. Edn., 13, 1325 (2002). 

  10. Z. Ma, C. Cao, J. Yuan, J. Ji, Y. Gong, and J. Shen, J. Appl. Polym. Sci., 85, 2163 (2002). 

  11. G. C. M. Steffens, L. Nothdurft, G. Buse, H. Thissen, H. Hocher, and D. Klee, Biomaterials, 23, 3523 (2002). 

  12. J. Yang, J. Bei, and S. Wang, Biomaterials, 23, 2607 (2002). 

  13. H. S. Yang, K. Park, K.-D. Ahn, B. S. Kim, and D. K. Han, Polymer(Korea), 30, 268 (2006). 

  14. J. Gao, L. Niklason, and R. Langer, J. Biomed. Mater. Res., 42, 417 (1998). 

  15. E. D. Boland, T. A. Telemeco, D. G. Simpson, G. E. Wnek, and G. L. Bowlin, J. Biomed. Mater. Res.: Appl. Biomater., 71B, 144 (2004). 

  16. D. Lickorish, L. Guan, and J. E. Davies, Biomaterials, 28, 1495 (2007). 

  17. G. Wei and P. X. Ma, Biomaterials, 25, 4749 (2004). 

  18. C. V. M. Rodrigues, P. Serricella, A. B. R. Linhares, R. M. Guerdes, R. Borojevic, M. A. Rossi, M. E. L. Duarte, and M. Farina, Biomaterials, 24, 4987 (2003). 

  19. X. Zhu, O. Eibl, L. Scheideler, and J. Geis-Gerstorfer, J. Biomed. Mater. Res., 79A, 114 (2006). 

  20. M. Bohner and J. Lemaitre, Biomaterials, 30, 2175 (2009). 

  21. K. Park, H. J. Jung, J.-J. Kim, and D. K. Han, J. Bioact. Compat. Polym., 25, 27 (2010). 

  22. T. Albrektsson and C. Johansson, Eur. Spine J., 10, S96 (2001). 

  23. Z. Yang, S. Si, X. Zeng, C. Zhang, and H. Dai, Acta Biomater., 4, 560 (2008). 

  24. M. Rouahi, O. Gallet, E. Champion, J. Dentzer, P. Hardouin, and K. Anselme, J. Biomed. Mater. Res., 78A, 222 (2006). 

  25. J. B. Lee, S. G. Lee, S. M. Yoo, J. C. Park, J. B. Choi, and J. K. Kim, Biomater. Res., 10, 196 (2006). 

  26. K. L. Kilpadi, P. L. Chang, and S. L. Bellis, J. Biomed. Mater. Res., 57, 258 (2001). 

  27. K. M. Woo, J. Seo, R. Zhang, and P. X. Ma, Biomaterials, 28, 2622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