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원심모형 실험을 이용한 건조토 지반에서의 군말뚝 효과 분석
Evaluation of Dynamic Group Pile Effect in Dry Sand by Centrifuge Model Tests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28 no.1, 2012년, pp.67 - 77  

유민택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차세환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최정인 ,  한진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김명모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조밀한 건조 사질토 지반에서 단말뚝 및 $3{\times}3$ 군말뚝에 대해 정현파를 이용하여 동적 원심모형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군말뚝의 경우 말뚝 중심간격을 지름의 3배, 5배, 7배로 변화시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로 얻은 단말뚝과 군말뚝의 동적 p-y 곡선들을 비교하여, 말뚝 중심 간격 및 군말뚝 말뚝 위치에 따른 말뚝의 동적 군말뚝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 번째 열과 세 번째 열의 말뚝인 측면 말뚝에서 유사한 동적 p-y 거동이 나타났으며, 두 번째 열 말뚝들은 측면 말뚝들에 비해 지반반력 감소 효과가 작게 나타났다. 또한, 두 번째 열 내에서 말뚝 위치에 따른 동적 p-y 거동을 비교한 결과, 두 번째 열의 바깥 말뚝에서 중앙 말뚝보다 지반반력 감소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제안된 말뚝 중심 간격에 따른 p-승수 값은 측면 말뚝에서 0.28 ~ 0.77, 중앙 말뚝에서 0.55 ~ 1.0, 바깥 말뚝에서 0.39 ~ 0.87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 series of centrifuge shaking-table tests for a $3{\times}3$ group pile and a single pile applied by sinusoidal wave was performed in dry sand for various pile spacings, ranging from three to seven times the pile diameter. A comparison of centrifuge tests of both single p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하중의 진동수가 동적 p-승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기존 연구 결과(NCHRP, 2001)에 따라 원형기준 1Hz인 정현파만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군말뚝 실험과 동일한 조건에서 단말뚝 실험을 수행하여 군말뚝의 실험결과와 비교하였으며, 단말뚝의 상부하중은 군말뚝 내 단일 말뚝이 분담하는 하중과 동일하도록 제작하였다.
  • 군말뚝에서 말뚝의 위치에 따른 동적 거동 차이를 다양한 실험 조건에서 비교하기 위하여 0.8D(40cm)깊이에서 동적 p-y 곡선의 최대 지반 반력점을 이용하였다. 최대 지반반력점이란, 동적 p-y 곡선(그림 6, 7)에서 최대 지반반력이 발생하는 꼭지점을 의미하며 각 가속도 조건에서 얻은 최대 지반반력점을 그림 9에 도시하였다.
  • 동적 p-승수를 산정하기 위하여, 앞에서 산정한 최대지반 반력점들을 연결하여 동적 p-y 중추곡선(Ting, 1987, 양의규, 2011)을 구축하였는데, 이를 위하여, 각 실험 조건 별로 찾아낸 깊이별 동적 p-y 곡선의 최대 지반반력 점들을 Kondner(1963)가 제안한 쌍곡선 함수(식 3)를 이용하여 근사적으로 연결하였으며, 쌍곡선 함수를 산정하기 위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비선형 외삽을 수행하였다.
  • 그림 10에 말뚝 위치별 단말뚝과 군말뚝의 최대 지반 반력 점들과 이를 식 (3)을 이용하여 외삽한 p-y 중추곡선을 도시하였다. 모든 변위에서의 p-승수 산정은 불가능하므로 도로교 설계기준(2001)에서의 말뚝 탄성 한계인 말뚝 직경 1% 변위와 극한 지반 반력에서의 동적 p승수를 산정하였다. 단, 그림 10(b)와 같이 군말뚝 내 개별말뚝의 지반반력이 단말뚝 보다 크게 나타난 말뚝 중심간격 7D 조건의 중앙 말뚝의 경우, 군말뚝에서 횡방향 지반반력의 감소를 나타내는 p-승수로 1보다 큰 값을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하여, 보수적인 값으로 p-승수를 1로 제한하였다(양의규 등, 2010).
  • 모형 말뚝은 알루미늄 관으로 제작되었으며, 모형 말뚝의 제원은 표 2와 같다. 모형 군말뚝의 상부질량은 상부질량이 1,000t인 원형을 모사하기 위하여 상사비를 적용한 결과 4.5kg으로 결정하였으며, 단말뚝의 상부하중은 군말뚝내 개별말뚝이 분담하는 하중과 동일하도록 제작하였다. 말뚝 직경은 시료 평균입경(D50)의 60배로 말뚝 직경이 평균입경(D50)의 35배 이상이 되면 원심모형실험에서 입자 크기가 말뚝에 미치는 영향이 없다는 Ovesen(1979)의 기준을 만족시켰다.
  • 모형 지반은 Hammer Crusher 공정에 의해 인공적으로 생산한 규사를 이용하여 조성하였으며 사용된 규사의 입도분포 곡선 및 물리적 특성을 그림 1과 표 1에 각각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규사는 소성지수(PI)가 0인 모래로서, 평균입경(D50)이 약 0.
  • 본 연구에서 제안한 동적 p-승수를 국내외에서 기존에 제시되었던 정적 p-승수와 비교해 보았다. 우리나라의 경우 중약진 지대에 속하므로 작은 말뚝 변위에서 산정한 p-승수 값을 이용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되어, 말뚝 직경 1% 변위에서 산정한 p-승수를 기존의 p-승수와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건조 사질토 지반에서 단말뚝 및 중심 간격을 말뚝 지름의 3배, 5배, 7배로 변화시킨 3 × 3 군말뚝에 대해 정현파를 이용하여 동적 원심모형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에서 얻은 동적 p-y 곡선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본 장에서는 동적 p-y 곡선의 작성방법을 설명하고 이를 통해 얻은 단말뚝과 군말뚝에 대한 실험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비교를 위한 모든 결과는 상사비 40을 적용하여 원형의 값으로 나타내었다.
  • 그림 3과 같이 모형 말뚝은 암반 근입 말뚝을 모사하기 위해 토조 바닥면에 고정시켰으며 상부질량은 지표면으로부터 10cm 높이에 위치시켰다. 실제 말뚝의 경우, 말뚝 캡이 토사지반에 근입되어 있는 경우가 많지만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영역에서의 말뚝 거동을 확인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큰 말뚝 변위가 요구되어 지반과 말뚝 캡을 분리시켰다. 지진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의 양끝에 위치한 두 개의 측면 말뚝과 한가운데 위치한 중앙 말뚝, 그리고 중앙 말뚝으로부터 진동하중방향의 직각 방향에 위치한 바깥 말뚝에서 진동 중 발생하는 깊이에 따른 모멘트 분포를 알기 위하여 깊이 방향으로 6쌍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하였으며, 각각의 게이지와 동일한 깊이에서 자유장 지반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가속도계를 설치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밀한 건조 사질토 지반을 조성하고, 군말뚝의 중심 간격을 말뚝 직경의 3배, 5배, 7배의 세 가지 경우로 달리하며 정현파를 이용하여 현장의 구속압을 적절히 모사할 수 있는 동적 원심 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로 얻은 동적 p-y 곡선들을 비교하여 말뚝 간격 및 군말뚝 내 말뚝 위치에 따른 동적 군말뚝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동적 p-승수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 실험 조건을 표 3에 요약하였는데, 말뚝중심간 간격을 말뚝 지름의 3, 5, 7배로 달리하였고, 지반은 자동 강사장치를 이용하여 상대밀도 80%의 조밀한 건조토 지반을 균일하게 조성하였다. 진동하중으로는 정현파를 가하였으며, 입력한 진동 하중의 가속도 크기는 0.
  • 앞에서 기술한 방법에 따라 동적 p-y 곡선을 작성하고, 말뚝 중심간격과 군말뚝 내 말뚝의 위치에 따른 동적 p-y 곡선의 차이를 분석하여 여러 인자들이 동적 군말뚝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내었다. 단말뚝의 동적 p-y 곡선과 각 열 별 말뚝의 동적 p-y 곡선을 비교하여 그림 6과 7에 도시하였는데, 말뚝 중심간 간격 3D(D:말뚝 직경) 실험의 경우 3번 말뚝(그림 3 참조)이 계측기의 이상으로 각 그림에서 누락되었다.
  • 본 연구에서 제안한 동적 p-승수를 국내외에서 기존에 제시되었던 정적 p-승수와 비교해 보았다. 우리나라의 경우 중약진 지대에 속하므로 작은 말뚝 변위에서 산정한 p-승수 값을 이용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되어, 말뚝 직경 1% 변위에서 산정한 p-승수를 기존의 p-승수와 비교하였다. 그림 11에서는 US Army(1993), Reese 등(1996), NCHRP(2001), AASHTO(2010), 그리고 국내 항만 및 어항 시설의 내진설계 표준서(1999)에서 각각의 말뚝 위치 별로 선두 말뚝과 첫번째 배후 말뚝 및 두번째 배후 말뚝에 대해 제안한 p-승수를 본 논문에서 제안한 동적 p-승수를 비교해 보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밀한 건조 사질토 지반을 조성하고, 군말뚝의 중심 간격을 말뚝 직경의 3배, 5배, 7배의 세 가지 경우로 달리하며 정현파를 이용하여 현장의 구속압을 적절히 모사할 수 있는 동적 원심 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로 얻은 동적 p-y 곡선들을 비교하여 말뚝 간격 및 군말뚝 내 말뚝 위치에 따른 동적 군말뚝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동적 p-승수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 실제 말뚝의 경우, 말뚝 캡이 토사지반에 근입되어 있는 경우가 많지만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영역에서의 말뚝 거동을 확인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큰 말뚝 변위가 요구되어 지반과 말뚝 캡을 분리시켰다. 지진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의 양끝에 위치한 두 개의 측면 말뚝과 한가운데 위치한 중앙 말뚝, 그리고 중앙 말뚝으로부터 진동하중방향의 직각 방향에 위치한 바깥 말뚝에서 진동 중 발생하는 깊이에 따른 모멘트 분포를 알기 위하여 깊이 방향으로 6쌍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하였으며, 각각의 게이지와 동일한 깊이에서 자유장 지반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가속도계를 설치하였다. 그림 3(b)와 같이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한 각 말뚝을 1번 말뚝, 2번 말뚝, 3번 말뚝, 4번 말뚝으로 명명하였으며, 설명 상 편의를 위하여 지진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의 양 끝열에 위치한 1번 말뚝과 3번 말뚝을 측면 말뚝으로, 가운데 열의 중앙에 위치한 2번 말뚝을 중앙 말뚝으로, 그리고 중앙 말뚝과 하중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위치한 4번 말뚝을 바깥 말뚝으로 정의하였다.
  • 실험 조건을 표 3에 요약하였는데, 말뚝중심간 간격을 말뚝 지름의 3, 5, 7배로 달리하였고, 지반은 자동 강사장치를 이용하여 상대밀도 80%의 조밀한 건조토 지반을 균일하게 조성하였다. 진동하중으로는 정현파를 가하였으며, 입력한 진동 하중의 가속도 크기는 0.04g~0.3g로 변화시켰다. 하중의 진동수가 동적 p-승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기존 연구 결과(NCHRP, 2001)에 따라 원형기준 1Hz인 정현파만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대상 데이터

  • 그림 2와 같이 길이 70cm의 3×3 모형 군말뚝 및 단말뚝을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는 원형 기준으로 28m이다.
  • 그림 2와 같이 길이 70cm의 3×3 모형 군말뚝 및 단말뚝을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는 원형 기준으로 28m이다. 모형 말뚝은 알루미늄 관으로 제작되었으며, 모형 말뚝의 제원은 표 2와 같다. 모형 군말뚝의 상부질량은 상부질량이 1,000t인 원형을 모사하기 위하여 상사비를 적용한 결과 4.
  • 본 연구는 KAIST(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에 위치한 지오센트리퓨지 실험센터에서 동적 원심 모형 실험기를 이용하여 원심가속도 40g 조건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모형 토조는 ESB(Equivalent Shear Beam) 상자로서 모형 토조의 크기는 길이 49cm, 폭 49cm, 높이 63cm 이다.
  • 모형 지반은 Hammer Crusher 공정에 의해 인공적으로 생산한 규사를 이용하여 조성하였으며 사용된 규사의 입도분포 곡선 및 물리적 특성을 그림 1과 표 1에 각각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규사는 소성지수(PI)가 0인 모래로서, 평균입경(D50)이 약 0.22mm, 균등계수(Cu)가 1.96으로 통일분류법에 의해 SP로 분류된다.
  • 본 연구는 KAIST(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에 위치한 지오센트리퓨지 실험센터에서 동적 원심 모형 실험기를 이용하여 원심가속도 40g 조건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모형 토조는 ESB(Equivalent Shear Beam) 상자로서 모형 토조의 크기는 길이 49cm, 폭 49cm, 높이 63cm 이다. ESB 상자는 층이 고무 버클로 연결되어 있어 지반의 변형만큼 토조가 변형되며 반사파에 의한 경계효과를 줄여주는 작용을 한다.

데이터처리

  • 우리나라의 경우 중약진 지대에 속하므로 작은 말뚝 변위에서 산정한 p-승수 값을 이용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되어, 말뚝 직경 1% 변위에서 산정한 p-승수를 기존의 p-승수와 비교하였다. 그림 11에서는 US Army(1993), Reese 등(1996), NCHRP(2001), AASHTO(2010), 그리고 국내 항만 및 어항 시설의 내진설계 표준서(1999)에서 각각의 말뚝 위치 별로 선두 말뚝과 첫번째 배후 말뚝 및 두번째 배후 말뚝에 대해 제안한 p-승수를 본 논문에서 제안한 동적 p-승수를 비교해 보았다. 그래프를 비교해 본 결과, Reese 등(1996)이 제안한 p-승수는 본 논문에서 제안한 동적 p-승수보다 최대 3배 정도 과다 예측하고 있다.

이론/모형

  • 깊이별 모멘트 분포 곡선은 총 6곳의 깊이에서 계측된 모멘트 자료에 cubic spline 보간 방법을 적용하여 구하였다(Dou & Byrne, 1996).
  • 3g로 변화시켰다. 하중의 진동수가 동적 p-승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기존 연구 결과(NCHRP, 2001)에 따라 원형기준 1Hz인 정현파만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군말뚝 실험과 동일한 조건에서 단말뚝 실험을 수행하여 군말뚝의 실험결과와 비교하였으며, 단말뚝의 상부하중은 군말뚝 내 단일 말뚝이 분담하는 하중과 동일하도록 제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험에 사용된 모형 토조인 ESB 상자의 역할은? 실험에 사용된 모형 토조는 ESB(Equivalent Shear Beam) 상자로서 모형 토조의 크기는 길이 49cm, 폭 49cm, 높이 63cm 이다. ESB 상자는 층이 고무 버클로 연결되어 있어 지반의 변형만큼 토조가 변형되며 반사파에 의한 경계효과를 줄여주는 작용을 한다.(Kim et al.
실험 결과로 얻은 단말뚝과 군말뚝의 동적 p-y 곡선들을 비교하여, 말뚝 중심 간격 및 군말뚝 말뚝 위치에 따른 말뚝의 동적 군말뚝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실험 결과로 얻은 단말뚝과 군말뚝의 동적 p-y 곡선들을 비교하여, 말뚝 중심 간격 및 군말뚝 말뚝 위치에 따른 말뚝의 동적 군말뚝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 번째 열과 세 번째 열의 말뚝인 측면 말뚝에서 유사한 동적 p-y 거동이 나타났으며, 두 번째 열 말뚝들은 측면 말뚝들에 비해 지반반력 감소 효과가 작게 나타났다. 또한, 두 번째 열 내에서 말뚝 위치에 따른 동적 p-y 거동을 비교한 결과, 두 번째 열의 바깥 말뚝에서 중앙 말뚝보다 지반반력 감소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제안된 말뚝 중심 간격에 따른 p-승수 값은 측면 말뚝에서 0.28 ~ 0.77, 중앙 말뚝에서 0.55 ~ 1.0, 바깥 말뚝에서 0.39 ~ 0.87로 나타났다.
현장에서널리 사용되는 군말뚝의 효과는?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군말뚝의 경우 말뚝에서 지반으로 전달되는 응력이 서로 중첩되며 군말뚝 내의 개별 말뚝들의 지지력의 합이 단일말뚝의 지지력과 말뚝의 개수를 곱한 지지력보다 작게 되는 군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횡방향 하중을 받는 군말뚝에서도 인접한 말뚝간의 상호작용 때문에 단말뚝에 비하여 지반반력이 감소하는 군말뚝 효과가 발생하게 되며, 실무에서는 이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단말뚝과 군말뚝에 발생하는 지반반력의 비인 p-승수(p-multiplier)개념을 활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김성렬, 김성환, 정충기, 김명모 (2002), 실험 p-y 곡선을 이용한 동적 군말뚝 효과 분석,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제18권 1호, pp.127-132. 

  2. 도로교설계기준 (2001), 사단법인 대한토목학회. 

  3. 양의규, 최정인, 한진태, 김명모 (2010), 1g 진동대 실험을 이용한 사질토 지반에서의 동적 군말뚝 효과 분석,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 26권 8호, pp.77-88. 

  4. 항만 및 어항시설의 내진설계표준서 (1999), 해양수산부. 

  5. ASSHTO (2000),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Washington, D.C. 

  6. ASSHTO (2010),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Washington, D.C. 

  7. Brown, D. A., Reese, L. C., and O''Neill, M. W. (1987), "Cyclic lateral loading of a large-scale pile group", J. Geotech. Eng., Vol.113, No.11, pp.1326-1343. 

  8. Canadian Geotechnical Society (1992), Canadian Foundation Engineering Manual, 3rd Ed., BiTech Publishers, Ltd., Vancouver, B.C., Canada. 

  9. Dou, H, and Byrne, PM (1996), "Dynamic Response of Single Piles and Soil-Pile Interaction",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Vol.33, No.1, pp.80-96. 

  10. El Naggar, MH, and Novak, M (1996), "Nonlinear Analysis for Dynamic Lateral Pile Response", Journal of Soil Dynamics and Earthquake Engineering, Vol.15, No.4, pp.233-244. 

  11. Kondner, R. L. (1963), "Hyperbolic stress-strain response: Cohesive soils", J.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s Div., ASCE, Vol.89, No.1, pp.115-144. 

  12. Nam-Ryong Kim and Dong-Soo Kim (2010), "A Shear Wave Velocity Tomography System for Geotechnical Centrifuge Testing", Geotechnical Testing Journal, Vol.33, No.6, pp.434-444. 

  13. National Cooperative Highway Research Program (2001), "Static and Dynamic Lateral Loading of Pile Groups", NCHRP Report 461,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 National Research Council., pp.13-21. 

  14. Ovesen, NK (1979), "The Scaling Law Relationship", Proceedings of the 7th European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Brighton, Vol.4, pp.319-323. 

  15. PoLam, I, Kapuskar, M, and Chaudhuri D (1998), Modeling of Pile Footings and Drilled Shafts for Seismic Design, Technical Report MCEER-98-0018, Multidisciplinary Center for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16. Reese, LC, Wang, ST, Arrellaga, JA, and Hendrix, J (1996), GROUP Version4.0 for Windows User's Manual, Ensoft, Ine. Austin, Tex. 

  17. Reese, LC, and Van Impe, WF (2001), Single Piles and Pile Groups under Lateral Loading, Balkema, Rotterdam, The Netherlands. 

  18. Rollins, KM, Peterson, K. T., and Weaver, T. J., (1998), "Lateral Load Behavior of Full-Scale Pile Group in Clay",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ASCE, Vol.124, No.6, pp.468-478. 

  19. Rollins, K. M., and Sparks, A. E. (2002), "Lateral resistance of full-scale pile cap with gravel backfill",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ASCE, Vol.128, No.9, pp.711-723. 

  20. Rollins, KM, Olsen, KG, Jensen, DH, Garrett, BH, Olsen, RJ, and Egbert, JJ (2006), "Pile Spacing Effects on Lateral Pile Group Behavior: Analysis",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132, No.10, pp.1272-1283. 

  21. Suzuki, Y. and Adachi, N. (2003), "Relation between subgrade reaction and displacement of model pile group based on horizontal loading tests", Journal of Structural and Construction Engineering, AIJ, 570 pp.115-122 (in Japanese). 

  22. Ting, JM, Kauffman, CR, Lovicsek, M (1987), "Centrifuge Static and Dynamic Lateral Pile Behavior",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Vol.24, pp.198-20. 

  23. US Army (1993), Design of Pile Foundations, Technical Engineering and Design Guides No.1, U.S. Army Corps of Engineers, Washington, D.C. 

  24. US Navy (1982), Foundations and earth structures-design manual 7.2, NAVFAC DM-7.2., Naval Facilities Engineering Command, Dept. of the Navy, Washington, D.C. 

  25. Washington State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02), Bridge Design Manual, Chap.9, Olympia, Wash., 9.9-26. 

  26. Yang, E. K., Jeong, S. S., Kim. J. H., Kim, M. M. (2011), "Dynamic p-y Backbone Curves from 1g Shaking Table Tests",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15, No.5, 813-82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