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산림생태계 분포 모델인 HyTAG모델(Hydrological and Thermal Analogy Group)과 기능 모델인 MC1 모델(MAPSS-CENTURY 1) 그리고 사회 환경적 지표를 이용하여 기후변화가 한반도 산림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HyTAG의 식생유형분포 변화 빈도와 방향으로부터 산림식생의 민감성과 적응성을 정량화하였다. 또한 MC1으로부터 추정되는 순일차생산량 및 토양탄소저장량의 변이 및 경향으로부터 산림기능의 민감성과 적응성을 정량화하였다. 사회 환경적 지표로는 재정자주도 또는 산림관련 공무원 수 등과 같은 통계자료를 포함하였다. 모든 지표들을 정규화하고 취약성 평가식에 적용하여 취약성 결과를 도출하였다. 취약성 평가의 시간적 범위는 현재(1971-2000)와 미래(2021-2050)로 구분하였다. 국가 기후변화 정책의 우선순위를 판단하기 위해 지표공간 분포 지도를 작성하고 행정구역간의 취약성을 비교한 결과, 지역별로 취약성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취약성 차이는 적응능력에 따라 가장 크게 좌우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취약성 평가 방법 및 결과는 산림 경영적 측면에서 의사결정 시스템 개발과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정책 수립의 판단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vulnerability of forest ecosystem to climate change in South Korea using socio-environmental indicators and the results of two vegetation models named as Hydrological and Thermal Analogy Group(HyTAG), and MAPSS-Century 1(MC1). The changing frequency and 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한반도 산림생태계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 및 평가를 위해, HyTAG와 MC1모델을 이용하여 산림 분포와 산림 기능을 정량 · 정성적인 수치로 평가하고, 산림생태계와 연관성이 있는 사회 · 환경적 지표를 추가하여 산림생태계의 취약성을 평가하였다.
  • 미래 자료가 없는 지표를 현재 자료로 대체한 부분과 단위구역 별 하나의 값을 갖는 통계자료의 불연속성이 정확한 평가를 저해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었다. 또한 각 지수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지표 간 기후변화와의 관계에 대한 정량적 평가가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일률적인 가중치를 두고 평가하였다. 향후 통계학적 방법과 전문가 설문을 통한 다중응답 방법 등을 사용하여 가중치 적용에 따른 취약성 변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 될 필요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 환경적 지표로는 무엇이 있는가? 또한 MC1으로부터 추정되는 순일차생산량 및 토양탄소저장량의 변이 및 경향으로부터 산림기능의 민감성과 적응성을 정량화하였다. 사회 환경적 지표로는 재정자주도 또는 산림관련 공무원 수 등과 같은 통계자료를 포함하였다. 모든 지표들을 정규화하고 취약성 평가식에 적용하여 취약성 결과를 도출하였다.
산림식생의 민감성과 적응성은 무엇으로부터 정량화되었는가? 본 연구의 목적은 산림생태계 분포 모델인 HyTAG모델(Hydrological and Thermal Analogy Group)과 기능 모델인 MC1 모델(MAPSS-CENTURY 1) 그리고 사회 환경적 지표를 이용하여 기후변화가 한반도 산림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HyTAG의 식생유형분포 변화 빈도와 방향으로부터 산림식생의 민감성과 적응성을 정량화하였다. 또한 MC1으로부터 추정되는 순일차생산량 및 토양탄소저장량의 변이 및 경향으로부터 산림기능의 민감성과 적응성을 정량화하였다.
기후변화는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기후변화는 육상 및 해양 생태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영향은 현재의 기후에 순응하고 있는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변화시킬 수 있다. 특히 산림생태계는 기후변화의 원인 물질로 생각되고 있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거나 방출할 수 있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기후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강원도, 2011. 기후변화대응지표 개발 및 지수 산정. 

  2. 공우석. 2005. 지구온난화에 취약한 지표식물 선정. 한국기상학회지, 41(2-1): 263-273. 

  3. 국립공원관리공단, 2005. 국립공원별 특성에 따른 공원 관리방안 연구. 

  4. 산림청, 2009. 임업통계연보. 

  5. 손민호, 이우균, 송철철, 2006. 지속가능한 국립공원의 관리체계 개선방안: 환경용량 기반의 u-Park 체계 수립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5(4): 51-84. 

  6. 유가영, 김인애, 2008.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표의 개발 및 도입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7. 이상철, 최성호, 이우균, 박태진, 오수현, 김순아, 2011.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산림분포 취약성 평가, 한국임학회지, 100(2): 256-265. 

  8. 임종환, 신준환, 2005. 지구온난화에 따른 산림식생대 이동과 식물계절 변화. 자연보존, 130: 8-17. 

  9. 한화진, 안소은, 최은진, 한기주, 이정택, 김해동, 손요환, 박용하, 조광우, 윤정호, 이은애, 김승만, 2006.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시스템 구축 I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0. 허진, 곽한빈, 이우균, 박태진, 권태협, 박선민. 2011. GIS를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산사태 취약성 평가, 한국기후변화학회지. 2(1): 43-54. 

  11. Arris, L.L. and P.S. Eagleson, 1989. Evidence of a physio-logical basis for the boreal-deciduous forest ecotone in North America, Vegetatio, 82: 55-58. 

  12. Beniston, M., M. Rebetez, F. Giorgi, and M.R. Marinucci, 1994. An analysis of Regional Climate Change in Switzerland, Theretical and Applied Climatology, 49: 139-159. 

  13. Bourque, P.-A. and Q.K. Hassan, 2008. Projected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species distribution in the Acadian Forest region of eastern Nova Scotia, The Forestry Chronicle, 84(4): 553-557. 

  14. Choi, S., W.K. Lee, H.B. Kwak, S. Yoo, H.A. Choi, S. Park, and J.H. Lim, 2011a, Vulnerability Assessment of Forest Ecosystem to Climate Change in Korea using MC1 model, Journal of Forest Planning, 16: 149-161. 

  15. Dale, V.H., L.A. Joyce, S. Mcnulty, R.P. Nielson, M.P. Ayres, M.D. Flannigan, P.J. Hanson, L.C. Irland, A.E. Lugo, C.J. Peterson, D. Simberloff, F.J. Swanson, B.J. Stocks, and B.M. Wotton, 2001. Climate Change and Forest Disturbances, Bioscience, 51(9): 723-734. 

  16. Doi, H. and N.I. Yurlova, 2011. Consequent Effect of Parasitism on Population Dynamics, Food Webs, and Human Health Under Climate Change, A Journal of the Human Environment, 40: 332-334. 

  17. Fussel, H.M. and T.J. Klein, 2006.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s: An evolution of conceptual thinking, Climate Change, 75: 301-329. 

  18. IPCC, 2007a. In: Solomon, S., D. Qin, M. Manning, Z. Chen, M. Marquis, K. B. Averyt, M. Tignor, H. L. Miller, (eds)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19. IPCC, 2007b. In: Parry, M.L., Canziani, O.F., Palutikof, J.P., Linden, P.J., Hanson, C.E. (eds) Climate change :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g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20. Johnston, M. and T. Williamson, 2007. A framework for assessing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of the Canadian forest sector, The Forest Chronicle, 83(3): 358-361. 

  21. Lenihan, J.M., C. Daly, D. Bachelet, and R.P. Neilson, 1998. Simulating broad-scale fire severity in a dynamic global vegetation model, Northwest Science, 72(2): 91-103. 

  22. Madronich S., R.L. McKenzie, L.O. Bjorn, and M.M. Caldwel, 1998. Changes in biologically active ultraviolet radiation reaching the earth's surface, Photochemical and Photobiological Sciences, 46: 5-19. 

  23. Neilson, R.P., 1995. A model for predicting continentalscale vegetation distribution and water balance, Ecological Society of America, 42: 125-154. 

  24. Niu, T., L. Chen, Z. Zhou, 2004. The Characteristics of Climate Change over the Tibetan Plateau in the Last 40 Years and the Detection of Climatic Jumps, Advances In Atmospheric Sciences, 21(2): 193-203. 

  25. Ogden A.E. and J.L. Innes, 2009. Application of Structured Decision Making to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ies and Adaptation Options for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Ecology and Society, 14(1): 11. 

  26. Olmos, S., 2001. Vulnerability and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Concepts, Issues, Assessment Methods, Climate Change Knowledge Network. 

  27. Parton, W.J., D.S. Schimel, C.V. Cole, and D.S. Ojima, 1987. Analysis of factors controlling soil organic matter levels in Great Plains grassland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51: 1173-1179. 

  28. Pastor, J. and W.M. Post, 1988. Response of northern forts to CO2-induced climate change, Nature, 334: 55-58. 

  29. UNDP, 2006. Human Development Report. 

  30. Yu, L., 2006. Assessment the vulnerability of natural ecosystems to climatic change in China. Chinese Academy of Sciences. Ph.D. thesis (in Chinese) Chronicle, 83(3): 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