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추의 성숙과 건조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미숙 및 완숙 대추와 건조 대추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대추 열매의 수분함량은 미숙 대추 84.66%, 완숙 대추 66.45%이었고 건조대추의 수분함량은 31.48%이었다. 조지방의 함량은 미숙 대추와 완숙 대추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건조 대추에서 0.34%로 성숙의 대추에 비해 두 배 정도의 높은 함량이었다. 조회분 함량은 미숙 및 완숙 대추에서 각각 0.52, 0.74% 이었으며, 건조 대추는 1.62%이었다. 탄수화물의 함량은 미숙 대추 13.51%, 완숙 대추 27.94%, 건조 대추 61.70%이었다. 대추의 수용성 단백질 함량은 미숙 대추가 0.88%, 완숙 대추가 1.73% 및 건조 대추가 3.71%이었고, 환원당 함량은 미숙, 완숙 및 건조 대추에서 각각 4.99, 5.54, 18.82%이었다. 완숙 대추와 건조 대추의 sucrose의 함량은 각각 10.15, 16.66 g/100 g이었으며, 건조대추는 완숙 대추에 비해 약 2배인 33.46 g/100 g의 총 유리당 함량을 나타내었다. 지방산 조성은 미숙 대추에는 palmitic acid, oleic acid, linoleic 및 linolenic acid가 많은 조성비를 나타내었고, 성숙 대추에서는 미숙 대추와는 달리 myristoleic acid, palmitic acid, pamitoleic acid, linoleic acid의 조성비를 나타내었다. 또한 건조 대추에서는 myristoleic acid, arachidonic acid는 높았고, palmitoleic acid는 낮았다. 대추의 무기질 함량은 Ca, K, Mg 및 P이 높았고, 총 무기질의 함량은 미숙 대추가 343.38 mg/100 g, 완숙 대추가 584.94 mg/100 g, 건조 대추가 1,331.56 mg/100 g이었다. 대추의 비타민 C 함량은 각각 309.12, 248.80, 23.34 mg/100 g 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미숙, 완숙 및 건조 대추에서 각각 610.04, 310.22, 423.27 mg/100 g이었다. 따라서 상기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대추는 식품소재로서 이용가치가 충분히 있으면, 이용형태에 따라 대추의 성숙 및 건조 대추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률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aturating and dried jujube. The moisture contents of the unripe and ripe jujube were found to be 84.66 and 66.45%, respectively, but that of the dried jujube was 31.48%. The crude-fat and crude-ash contents of the dr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한약재 및 식품 재료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대추는 성숙과 건조에 따른 이화학적 성분의 변화를 평가함으로서 대추의 식품학적인 평가와 더불어 대추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에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대추의 성숙과 건조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미숙 및 완숙 대추와 건조 대추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대추 열매의 수분함량은 미숙 대추 8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추가 저장성이 좋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대추는 당도가 높아 수확기간이 10일 정도로 짧아 저장성이 좋지 못하기 때문에 수확시기에 생과 형태로 일부 소비되고, 대부분은 건과 형태로 소비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6). 대추가 저장성이 좋지 못한 이유는 저장기간 동안 과육이 polygalacturonase와 같은 연화효소에 의해 세포벽의 pectin질이 연화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7). 과실의 연화는 생체내에 존재하는 세포벽 분해효소의 작용에 의하여 세포벽성분이 분해되어 물성변화를 초래함으로써 일어난다.
미숙 및 완숙 대추와 건조 대추의 수분함량은? 본 연구는 대추의 성숙과 건조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미숙 및 완숙 대추와 건조 대추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대추 열매의 수분함량은 미숙 대추 84.66%, 완숙 대추 66.45%이었고 건조대추의 수분함량은 31.48%이었다. 조지방의 함량은 미숙 대추와 완숙 대추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건조 대추에서 0.
대추는 어떤 질환에 효능이 있는가? inermis Rehder)는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의 열매로서 중국계는 Zizyphus jujuba Miller라 하고 인도계는 Zizyphus mauritiana LAM이라 하며, 유럽 남부, 아시아 남부 및 동부가 원산지로 우리나라, 중국, 일본에 분포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재래종인 복조, 보은, 산조대추 등이 분포하고 있으며, 개발종인 월출, 무등, 금성대추 등은 극히 일부 지역에서만 재배되고 있다 (1). 한편 대추는 고려시대부터 식용으로 이용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불면증이나 이뇨작용, 강장작용, 기침, 빈혈, 정신 안정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약용으로도 이용되어 인스턴트식품 섭취가 많은 현대인의 건강에 도움이 되는 식품 중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Choi KS (1990) Changes in physi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jujube fruits var. bokjo during maturity and postharvest ripening (in korean). J Resour Develop, 9, 47-53 

  2. Kim DH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kbab Prepared with Jujube(Zizyphus jujuba Mill. cv. Dongzao) Paste. Korean J Culinary Research, 14, 329-338 

  3. Yook CS (1972) Screening test on the components of the genus Zizyphus in Korea. Korean J Pharmacog, 3, 27-29 

  4. Lee SK (1989)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the leaves of Zizyphus jujuba Mill. Ph D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Korea 

  5. Park MK, Park JH, Shin YG, Cho KH, Han BH and Park MH (1991) Analysis of alkaloids in the seeds of Zizyphus jujuba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rch Pharm Pes, 14, 99-102 

  6. Lee DS and An DS (1998) Effect of packaging conditions on keeping quality of fresh jujube. J Korean Food Sci Technol, 30, 461-467 

  7. Seo CH, Shin SR, Jeung YJ and Kim KS (1997) Changes in polygalacturonase during softening of persimmon and jujube frui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80-185 

  8. Hobson GE (1981) Enzymes and texture changes during ripening. In Recent advances in the biochemistry of fruit and vegetables. Friend J and Rhodes MJC (ed), Academic Press, London, p 123-132 

  9. Huber DJ (1983) The role of cell wall hydrolases in fruit softening. Horticultural Review, 5, 169-219 

  10. Knee M and Bartley IM (1980) Composition and metabolism of cell wall polysaccharides in ripening fruits. In Recent advances in the biochemistry of fruits and vegetable, Frind J and Rhodes MJC(ed), Academic Press, London, p 133-148 

  11. Shin SR, Son MA, Kim JN and Kim KS (1998) Changes of the cell Wall Structures during maturation of jujube Fruit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5, 342-345 

  12. Kwon SH, Cho KY, Kim SY and Kim MJ (1993) Aplication of Ziziphus jujube fruit for dietary life. J Food Sci Technol, 5, 1-14 

  13. Choi KS, Im MH and Choi JD (1996) Utilization of jujube fruits Part III. Soluble sugars, pectins and mineral content of several types of jujube tea. J Resour Develop, 15, 7-13 

  14. Choi KS, Im MH and Choi JD (1996) Utilization of jujube fruits Part IV. Studies on the acceptability of jujube tea. J Resour Develop, 15, 47-53 

  15. Choi KS, Im MH and Choi JD (1997) Effects of formulation variables and drinking temperature on acceptability of jujube tea products. J Kroean Soc Food Sci Nutr, 26, 827-830 

  16. An DS, Woo KL and Lee DS (1997) Processing of powder jujube juice by spray dry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81-86 

  17. AOAC (1990) Official methods analysis 13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125-132 

  18. Lowry OH, Rosebrough NJ, Fair LA, Randal RJ (1951) Protein measurment with folinphenol reagent. J Biol Chem, 193, 265-275 

  19. Nelson N (1994) A photometric adoption of the somogyi method for determination of glucose. J Biol Chem, 153, 375-381 

  20. Cristina JK, Brandes WB (1974) Determination of sucrose, glucose and fructose by liquid chromatography. J Agric Food Chem, 22, 709-715 

  21. Morrison WR and Smith LM (1964) Preparation of fatty acid methyl esters and dimethylacetals from lipids with boron fluoridemethanol. J Lipid Res, 5, 600-608 

  22. Wimalasiri P and RBH Wills (1983) Simaltaneous analysis of ascorbic acid and dehydroascorbic acid in fruit and vegetable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 Chromato Agric, 15, 113-116 

  23. Singleton VL and Rossi A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 -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ult, 16, 144-158 

  24. Yun SI, Choi WJ, Choi YD, Lee SH, Yoo SH, Lee EH and Ro HM (2003)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in soils of Shihwa tidal freshwater marshes. Korean J Ecol, 26, 65-70 

  25. Choi KS, Im MH and Choi JD (1996) Utillzation of jujube fruits. Part III. Solube sugars, pectins and mineral content of several types of jujube tea. Yeungnam University Insttitute of Resources Development, 15, p 15-19 

  26. Lee JS, Kwon YI, Jung IC, Kim SH and Kim SY (1997) Chaneges in properties of pitted jujube during drying and extraction. Agricultur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40, 43-47 

  27. Shin SR, Kim JN, Kim SD and Kim KS (1991) Changes in the salt-soluble and cell wall proteins during maturation and postharvest of persimmon fruits. J Korean Agric Chem Soc, 43, 38-42 

  28. Friend J and Rhodes MJC (1981) Recent advances in the biochemistry of fruits and vegetables. Academic press. New York. USA. p 1-40 

  29. Lee YC, Kim YE, Lee BY and Kim CJ (1992) Chemical compositions of Corni Fructus and separating properties of its flesh by drying. Korean J Food Sci Tech, 24, 447-450. 

  30. Shaw DV (1988) Genotypic variation and correlation for sugars and organic acids of strawberries. J Am Soc Hortic Sci 113, 770-774 

  31. Ayza FA, Kadioglu A and Dogru A (1999) Soluble sugar composition of Elaeagnus angustifolia L. var. orientalis (L) Kuntze (Russian olive) fruits. Tr J Botany, 23 349-354 

  32. Cha HS, Hwang JB, Park JS, Park YK and Jo JS (1999)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of mume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s during maturation. Korean J Food Preserv 6, 481-487 

  33. Becker N, Illingworth D, Alaupovic P, Connor WE and Sundbery EE (1983) Effects of saturated, monosaturated, and $\omega$ -6 polyunsaturated fatty acid on plasma lipid, lipoprotein and apoproteins in human. Am J Clin Nutr, 37, 355-360 

  34. Sinclair HM (1956) Deficiency of essential fatty acids and atherosclerosis. Lancet, 1, p 381 

  35. Bo-Qing Z, Smith L, Siecers E, Isenberg M and Parmley W (1988) Inhibition of atherosclerosis by fish oil in cholesterol-fed rabbits. JACC, 12, p 2149-2156 

  36. Jeong CH and Shim KH (1999) Chemical components in leaf and fruit stalk of Hovernia dulcis Thunb. Korean J Postharvest Sci Tec, 6, 469-471 

  37. Kim JB, Cui CB, Lee DS and Ham SS (2004) Studies on the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effect of leaves from korean rasa davurica pall. Korean J Food Preserv, 11, 106-110 

  38. Kim NW, Joo EY and Kim SL (2003) Analysis on the components of the fruit of Elaeagnus multiflora Thumb. Korean J Food Preserv, 10, 534-539 

  39. Choi SH, Lee BH and Choi HD (1992) Analysis of catechin contents in commercial green tea by HPLC. J Korean Soc Food Nutr, 21, 386-3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