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등도 갱년기 증상을 가진 폐경 후 여성에서 식품군별 섭취패턴에 따른 영양소 섭취상태, 식사의 질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
Nutritional Status, Quality of Diet and Quality of Life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Mild Climacteric Symptoms Based on Food Group Intake Pattern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7 no.1, 2012년, pp.69 - 80  

이옥화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  김진경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  이한송이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  조여원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nutritional status, quality of diet and quality of life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mild climacteric symptoms based on their food group intake patterns. The data for nutritional status were obtained using 3-day records. Quality of diet was assessed by INQ, 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식품군, 즉 다섯 가지 식품군(곡류군, 어육류군, 채소군, 우유군 그리고 과일군)을 전부 섭취한 그룹과 한 가지 이상의 식품군을 섭취하지 않은 그룹간의 실제적인 영양소 섭취의 차이를 알아보고 식사의 질 그리고 영양소별 급원 식품군의 차이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또한 식품 군별 섭취 패턴에 따라 갱년기 증상 및 삶의 질과의 관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갱년기 증상을 가진 폐경 후 여성의 식품군별 섭취패턴에 따라 영양소 섭취상태, 식사의 질 그리고 영양소별 급원식품군의 차이를 알아보고 갱년기 증상 및 삶의 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식품군, 즉 다섯 가지 식품군(곡류군, 어육류군, 채소군, 우유군 그리고 과일군)을 전부 섭취한 그룹과 한 가지 이상의 식품군을 섭취하지 않은 그룹간의 실제적인 영양소 섭취의 차이를 알아보고 식사의 질 그리고 영양소별 급원 식품군의 차이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또한 식품 군별 섭취 패턴에 따라 갱년기 증상 및 삶의 질과의 관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경기에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필요한 이유는? 2005년도 통계청 자료(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5)에 따르면 매년 폐경 여성 비율은 증가하는 추세이며, 2000년에는 전체 인구의 10% 미만이었던 것이 최근에는 13.7%로 상승하였다. 이를 전 여성의 기준으로 보았을 때에는 약 29.5%가 폐경 여성으로 분류된다. 현재 우리나라 여성의 평균 폐경 연령은 49.2세이며, 평균 수명은 83.8세로, 약 30년 이상을 폐경인 상태로 살아가게 된다. 따라서 폐경기는 여성의 전 인생 중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기간으로 이 시기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노력은 반드시 필요한 과제로 지적되고 있다(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0).
갱년기 증상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폐경은 에스트로겐의 분비 저하로 생식능력이 소실되어 가는 과정을 말하며 이 때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증상을 경험하게 된다(Han 등 1998; Lee 등 2000; Melby 2005). 이를 갱년기 증상(Climacteric symptoms)이라 하며 초기 증상으로 안면홍조와 야간발한 등과 같은 가벼운 혈관운동성 증상을 나타내지만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상 정도가 심해져 신체적인 노화와 함께 골다공증, 심혈관계질환 등과 같은 질병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한다(Anderson & Posner 2002; Ha 2005). 이와 같이 폐경의 증상은 여성에게 단지 일상생활에 불편만을 초래하는 것이 아니라 매우 심각한 건강 문제를 야기 시키는 원인이 된다.
폐경이란 무엇인가? 여성은 생애주기에서 중년기로 접어들게 되면 폐경(Menopause)이란 인생의 전환점을 맞이하게 된다. 폐경은 에스트로겐의 분비 저하로 생식능력이 소실되어 가는 과정을 말하며 이 때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증상을 경험하게 된다(Han 등 1998; Lee 등 2000; Melby 2005). 이를 갱년기 증상(Climacteric symptoms)이라 하며 초기 증상으로 안면홍조와 야간발한 등과 같은 가벼운 혈관운동성 증상을 나타내지만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상 정도가 심해져 신체적인 노화와 함께 골다공증, 심혈관계질환 등과 같은 질병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한다(Anderson & Posner 2002; Ha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nderson D, Posner N (2002):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cial factors and health behaviors for women experiencing menopause. Int J Nurs Pract 8: 265-273 

  2. Alder E (1998): The Blatt-Kupperman menopausal index: a critique. Maturitas 29(1): 19-24 

  3. Carr MC (2003): The emerg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with menopause. J Clin Endocrinol Metab 88: 2404-2411 

  4. Carol PR, Joann LD (1986): Evaluation of the nutrient guide as a dietary assessment tool. J Am Diet Assoc 86(2): 228-233 

  5. Chang HK, Han YB (2002): A study on the climacteric symptom and dietary patterns in middle aged women.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 40: 125-134 

  6. Drewnowski A (2005): Concept of a nutritious food: toward a nutrient density score. Am J Clin Nutr 82(4): 721-732 

  7. Engberg G, Kincade J, Thompson D (2004): Future directions for incontinence research with frail elders. Nurs Res 53(6): s22-29 

  8. Gibson RS (1990): Principles of nutritional assessment. Dissert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9. Guthrie HA, Scheer JC (1981): Validity of a dietary score for assessing nutrient adequacy. J Am Diet Assoc 78: 240-245 

  10. Han IK, Park KO, Kim HM, Cho NH (1998): Climacteric symptoms and perception in middle aged Korean women. J Korean Soc Menopause 4(1): 3-15 

  11. Ha JY (2005): A study on the menopausal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d women. Mount Pleasant (MI),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12. Hansen RG, Wyse BW (1998): Expression of nutrient allowances per 1,000 kilocalories. J Am Diet Assoc 76(3): 223-227 

  13. Hilditch JR, Lewis J, Peter A, Van Maris B, Ross A, Franssen E, Guyatt GH, Norton PG, Dunn EA (1996): Menopause-specifi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Maturitas 24(3): 161-175 

  14. Hung HC, Joshipura KJ, Jiang R, Hu FB, Hunter D, Smith-Warner SA, Colditz GA, Rosner B, Spiegelman D, Willett WC (2004): Fruit and vegetable intake and risk of major chronic disease. J Natl Cancer Inst 96(21): 1577-1584 

  15. Jung KA, Lee YA, Kim SY, Chang NS (2008): Associations of cognitive function and dietary factors in elderly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Korean J Nutr 41(8): 718-732 

  16.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5): Population and housing consus.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 korea/kor_nw/2/ 2/1/index.board [cited 2006 Dec 27] 

  17.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0): Population and housing consus.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 korea/kor_nw/2/ 2/1/index.board [cited 2011 May 30] 

  18.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Korean, Seoul 

  19. Kant AK, Block G, Schatzkin A, Zregler RG, Nestle M (1987): Dietary diversity in the US population, NHANES I, 1976-1980. J Am Diet Assoc 87(7): 897-903 

  20. Krebs-Smith SM, Cleveland LE, Ballard-Barbash R, Cook DA, Kahle LL (1997): Characterizing food intake patterns of American adults. Am J Clin Nutr 65: s1264-1268 

  21. Kant AK, Schatzkin A, Block G, Zieqler RG, Nestle M (1991): Food group intake pattern and associated nutrient profiles of the US population. J Am Diet Assoc 91(12): 1532-1537 

  22. Krebs-Smith SM, Wright HS, Guthrie HA, Krebs-Smith J (1987): The effects of variety in food choices on dietary quality. J Am Diet Assoc 87(7): 897-903 

  23. Kim SM, Shin SM, Kim EI, Lee JE, Yoo DY (2006): A clinical study on the effect of Daejo-hwan (DJH) on climacteric syndrome. J Oriental Obstet Gynecol 19(4): 225-244 

  24. Kim SH, Kim JY, Ryu KA, Sohn CM (2007): Evaluation of the dietary diversity and nutrient intakes in obese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12(5): 583-591 

  25. Kim SK, Sunwoo JG (2007): The analysis of the dietary factors realated to climacteric symptoms in middle-aged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12(1): 25-39 

  26. Kim MH, Bae YJ (2010): Evaluation of diet qualit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based on nutrient and food group intake and diet quality index-international (DQI-I). Korean J Community Nutr 15(1): 1-14 

  27. Kim HS, Jung GH, Jang DM, Kim SH, Lee BK (2005): Increased calcium intake through milk consump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of elderly women living in Asian. J Korean Diet Assoc 11(2): 242-250 

  28. Kwon JH, Shim JE, Park MK, Paik HY (2009): Evalu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intake for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 in Korean adults aged 30 years and over: using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 Korean J Nutr 42(2): 146-157 

  29. Kant AK, SchatzkinA, Harris TB, Ziegler RG, Block G (1993): Dietary diversity and subsequent mortality in the First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Epidemiologic Fllowup Study. Am J Clin Nutr 57: 434-440 

  30. Kant AK, Schatzkin A, Ziegler RG (1995): Dietary diversity and subsequent cause-specific mortality in the NHANES I epidemiologic follow-up study. J Am Coll Nutr 14(3): 233-238 

  31. Lee JH, Chung YK, Park HM, Park JS, Yumiko H, Yeoum SG (2000): A study on climacteric symptoms in Korean mid-life women. J Korean Soc Menopause 6(2): 142-156 

  32. Lee SY, Ju DL, Paik HY, Shin CS, Lee HK (1998): Assessment of dietary intake obtained by 24-hour recall method in adults living in Yeonchon Area(2): assessment based on food group intake. Korean J Nutr 31(3): 343-353 

  33. Lee SY, Paik HY (2000): Contribution of specific foods to absolute intake and between-person variation of nutrient consumption in Korean adults living in rural area. Korean J Nutr 33(8): 882-889 

  34. La Vecchia C, Munoz SE, Braga C, Fernandez E, Decarli A (1997): Diet diversity and gastric cancer. Int J Cancer 72(2): 255-257 

  35. Melby MK (2005): Factor analysis of climacteric symptoms in Japan. Maturitas 52: 205-222 

  3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6):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 Gwacheon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37. Montilla RN, Marucci MF, Aldrighi JM (2003): Nutritional status and food intake assessment of climacterics women. Rev Assoc Med Bras 49: 91-95 

  38. Nicklas TA, Webber LS. Thompson B. Berenson GS (1989): A multivariate model for assessing eating patterns and their relationship to cardiovascular risk factors: the Bogalusa Heart Study. Am J Clin Nutr 49: 1320-1327 

  39.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2009): Available from http://www.naas.go.kr/ [cited 2011 June 28] 

  40. Park KS, Lee KA(2002): A case study on the effect of Ca intake on depression and anxiety. Korean J Nutr 35(1): 45-52 

  41. Randall E, Marshall JR, Brasure J, Graham S (1992): Dietary patterns and colon cancer in western New York. Nutr Cancer 18: 265-276 

  42. Randoll E, Nichaman MZ, Contant CF (1985): Diet diversity and nutrient intake. J Am Diet Assoc 85: 830-836 

  43. Seo MS (2002): Woman's health problem in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2: 115-118 

  44. Song SJ, Kim MS (2002): Case study on insomniac, melancholiac, schizophrenic patients taking well-balanced nutrition & vitamin B group. J Korean Soc Jungshin Sci 6(1): 11-20 

  45. Wang MC, Luz Villa M, Marcus R, Kelsey JL (1997): Assiciation of vitamin C, calcium and protein with bone mass in postmenopausal Mexican American women. Osteoporos Int 7(6): 533-538 

  46. Yon MY, Lee MS, Oh SI, Park SC, Kwak CS (2010): Assessment of food consumption, dietary diversity and dietary pattern during the summer in middle aged adults and older adults living in Gugoksoondam Logevity Area,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15(4): 536-549 

  47. Yoo CH (2002): The effects of milk consumption for preventing osteoporosis in Korean. J Dairy Technol 20(2): 145-1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