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 여성의 식이보충제 섭취 수준에 따른 식습관 및 갱년기 증상에 관한 연구
Dietary Habits and Climacteric Symptoms according to the Level of Food Supplement Use of Middle-aged Wome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7, 2013년, pp.1054 - 1064  

김미정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경혜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폐경을 전후한 중년 여성(45~60세) 745명을 대상으로 식이보충제 섭취 수준에 따라 식습관, 갱년기 증상 및 일반적 건강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식이보충제 섭취 수준은 '전혀 섭취하지 않음(None)', '한 가지를 섭취함(Single)', '두 가지 이상을 섭취함(Multi)'으로 구분하였다. 전체 대상자 중 None, Single, Multi에 속하는 비율은 각각 33.56, 33.29, 33.15%로 나타났다. 식이보충제 사용자(Single 및 Multi)는 비사용자(None)에 비하여 식이보충제에 대한 관심이 월등히 높았으며, 식이보충제가 건강증진과 갱년기증상을 완화시킨다는 신념이 유의하게 높았다(P<0.0001). 주관적인 건강상태는 Multi가 None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5). 식습관(20 문항)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식사의 규칙성', '식사의 다양성', '건강에 해로운 식품의 절제'의 세 요인이 추출되었다. 식이보충제의 섭취수준이 증가할수록 '식사의 다양성'도 상승하였으며 Multi는 None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갱년기 증상 25 문항으로부터 네 개의 요인(심리적, 신체적, 정신신체적, 홍조)이 추출되었다. 정신신체적 증상 및 홍조는 식이보충제 이용자가 비이용자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1), 심리적 증상은 Single이 None에 비하여 높았다. 식이보충제의 섭취 수준과 폐경 단계는 유의한 관련성이 존재하였으며(P<0.01) Single이 폐경 중과 폐경 후 여성의 최상위 비율을 차지하였다. 종합적으로 볼 때, 폐경을 전후한 중년 여성이 인지하는 갱년기 증상이 심할수록 식사의 다양성을 유지하려 하고 식이보충제에 대한 의존도도 클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식이보충제 이용은 이들이 경험하는 갱년기 증상과 식습관과 관련성이 높음을 입증한 연구로서, 중년 여성의 건강증진을 위한 정책 수립 및 식생활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question of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dietary habits, climacteric symptoms, and general health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women according to food supplements (FS) use. A total of 745 midlife females participated in a face-to-face interview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경 단계에 있어 폐경 전, 폐경 중,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중년 여성의 식이보충제 섭취 정도에 따른 식습관 및 갱년기 증상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중년 여성의 건강 증진 및 갱년기 증상 완화와 관련된 건강기능식품의 의미를 조명해보고자 하였다. 한편 식이보충제에 대한 정의는 대한민국 식약청의 기준을 참고로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가공 한 것으로 세 끼 식사 외에 건강증진 효과를 기대하여 섭취하는 환, 엑기스, 분말, 캡슐 등 각종 형태의 제품으로써, 한약 등 각종 보약은 포함하지만 특정 질병 치료 목적의 약은 제외’로 하였다(18).
  • 식습관 및 갱년기 증상에 관한 요인분석: 본 연구에서 인용한 식습관 척도는 노년기를 겨냥하여 개발되었으며(24) 갱년기 증상 척도는 45세 이하를 폭넓게 포함한 데 비하여(19), 본 연구의 대상자는 45~60세로 국한되어 연령의 분포면에서 다소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대상자들이 인지하는 식습관 및 갱년기 증상의 하위요인들을 도출함으로써 변수 축소를 보다 과학적으로 시도하고 이들 요인들과 식이보충제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요인분석의 절차를 요약하면, 먼저 전체 변수의 상관관계행렬을 구한 후 변수의 표본적합성(MSA)이 0.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경 단계에 있어 폐경 전, 폐경 중,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중년 여성의 식이보충제 섭취 정도에 따른 식습관 및 갱년기 증상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중년 여성의 건강 증진 및 갱년기 증상 완화와 관련된 건강기능식품의 의미를 조명해보고자 하였다. 한편 식이보충제에 대한 정의는 대한민국 식약청의 기준을 참고로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가공 한 것으로 세 끼 식사 외에 건강증진 효과를 기대하여 섭취하는 환, 엑기스, 분말, 캡슐 등 각종 형태의 제품으로써, 한약 등 각종 보약은 포함하지만 특정 질병 치료 목적의 약은 제외’로 하였다(18).
  • 본 연구는 폐경으로 인한 다양한 변화를 겪고 있는 중년 여성들의 식습관, 식이보충제 사용 및 갱년기 증상에 관한 통찰력 있는 메시지를 도출하기 위하여 설문지 개발에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였다. 먼저 중년 여성의 건강, 영양, 식이보충제 및 갱년기 증상을 다룬 영양학, 간호학, 의학, 및 여성학 분야의 폭넓은 문헌검색(19-23)을 통하여 예비설문지가 마련되었으며, 여성의 연령대와 거주지, 교육수준 등을 고려한 다수의 포커스그룹 면접 결과를 바탕으로 설문지의 문항이 수정 보완되었다(15).
  • 식이보충제를 이용하는 여성에서 건강에 대한 관심과 갱년기 증상 완화에 대한 기대가 높음을 감안할 때, 중년 여성의 식이보충제 이용 수준과 건강 상태를 반영하는 변수 간에는 어떤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의 영양상태를 반영하는 지표인 체질량 지수 및 규칙적 운동 여부, 수면량, 음주, 흡연 등을 조사하였고, 본인의 건강상태에 대하여 대상자 스스로 느끼는 수준을 알아보았다. 예상과 달리, 다양한 건강관련 변수와 식이보충제 이용 간에는 대체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따라서 이 시기의 여성들이 선택하는 건강 관련 행위는 심도 있게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식이보충제의 선택과 이용은 그런 측면에서 다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중년 여성(45~60세)의 식이보충제 섭취 수준에 따라 건강 관련 특성과 식행동 및 갱년기 증상이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 지 살펴보았다. 폐경단계와 식이보충제 섭취수준 간에 유의한 관련성이 존재하였던 점과 단순한 신체적 증상을 제외한 심리적, 정신신체적 및 홍조 현상을 인지하는 비율이 식이보충제 섭취 여부와 관련성이 있었던 점은 여성들이 갱년기 증상을 극복하기 위한 방편으로 식이보충제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주는 결과로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 본 연구에서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식습관 및 갱년기 증상의 하위요인들을 도출하여 이들 요인들이 식이보충제 사용 정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요인분석이란 어떤 변수집합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근저에 있는 공통적 차원을 확인함으로써 자료의 축소와 요약을 기본 목적으로 하는 다변량 통계분석기법의 하나이다.
  • 식사의 질과 식습관 평가는 다양하게 시도될 수 있는데, 식사기록법 또는 회상법을 통해 식사내용을 정량적으로 수집하는 것은 대상자 부담이 큰 편이다. 본 연구와 같이 건강 설문조사 자체의 분량이 많을 경우 식사섭취조사를 병행하는 것은 무리가 따르기도 하므로 비교적 짧고 간단한 일련의 문항에 답하게 함으로써 식습관 및 식사의 질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최근 국내에서 어린이를 대상으로 어린이의 영양 및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식사의 질과 식습관을 평가할 수 있는 어린이 영양지수를 개발하였으며(35) 균형, 다양, 절제, 규칙 및 실천의 다섯 가지 개념을 측정하는 이 척도의 구성타당도를 입증함으로써(36) 간단한 식습관 척도로도 대상자들의 영양소섭취 상태를 추정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폐경을 전후한 중년 여성(45~60세) 745명을 대상으로 식이보충제 섭취 수준에 따라 식습관, 갱년기 증상 및 일반적 건강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식이보충제 섭취수준은 ‘전혀 섭취하지 않음(None)’, ‘한 가지를 섭취함(Single)’, ‘두 가지 이상을 섭취함(Multi)’으로 구분하였다.

가설 설정

  • 1)Items were asked using 4-point Likert scale (1, strongly disagree; 4, strongly agre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노년 여성의 식생활의 중요성을 언급한 연구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우리나라 중․노년 여성의 식생활의 중요성을 언급한 연구는 다수에 달한다. 예를 들면 기초 식품군을 모두 섭취한 폐경 여성일수록 영양소 섭취 상태 및 식사의 질이 우수하고 갱년기 증상 또한 양호한 편이었으며(6), 두유 제품의 섭취는 노년기 여성의 이소플라본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었고(7) 가공식품의 섭취는 골밀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8). 한편 현대인의 바쁜 생활패턴과 불규칙한 식사는 영양상태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으며, 현대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는 식생활에서 영양의 부족을 보충하기 위한 일환으로 식이보충제에 대한 의존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중년기 여성에게 갱년기가 삶의 질을 저하하는 원인인 이유는? 갱년기 증상은 발한, 안면홍조, 두통, 관절통, 불안, 기억력 감퇴 등 여러 가지 신체 및 정신적 변화를 포함한다. 갱년기 초기엔 안면홍조와 같은 가벼운 혈관운동성 증상을 나타내지만 기간의 경과와 더불어 증상이 심화되면 골다공증, 심혈관계 질환 등 만성질환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중년여성의 삶의 질 저하의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4).
여성에 있어 중년기는 어떤 시기인가? 여성에 있어 중년기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많은 변화를 경험하는 시기로서 생물학적 노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갱년기 증상을 호소하게 되고, 난소의 기능 쇠퇴로 인하여 폐경을 경험하게 되는 시기이다(1). 갱년기는 생애주기에 있어 중대한 과도기로서, 우리나라 여성의 갱년기는 평균 폐경 연령인 48세를 전후한 5~10년 사이의 기간을 의미하고(2), 갱년기와 폐경기는 대부분의 여성들이 45~60세 사이에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Park HS, Kim AJ. 2010. Adaptation to menopause and use of Yangsaeng in middle-aged Korean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 16: 1-9. 

  2. Korean Society of Menopause. 1994. Health in the period of the menopause. Calvin Publishing Company, Seoul, Korea. 

  3. National Center for Uterine Cancer/Center for Cancer Prevention & Detection, Division of Chronic Disease Control, Center for Disease Preventi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Menarchial and menopausal age and health impact of menopause in Korean women. Public Health Weekly Report of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Vol 1, p 1-4. 

  4. Kim JW, Jo JY, Yoo SY, Park KS, Park YJ, Lee JM. 2011. A study on relations between MRS, MENQOL, HRV, Yin-Deficiency Questionnaire in menopausal woman with hot flush. J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 24: 71-84. 

  5. Anderson R, Anderson D, Hurst C. 2010. Modeling factors that influence exercise and dietary change among midlife Australian women: results from the Healthy Aging of Women Study. Maturitas 67: 151-158. 

  6. Lee OH, Kim JK, Lee HSY, Choue R. 2012. Nutritional status, quality of diet and quality of life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mild climacteric symptoms based on food group intake patterns. Korean J Community Nutr 17: 69-80. 

  7. Lee SK, Lee MJ, Yoon S, Kwon DJ. 2000. Estimated isoflavone intake from soy products in Korean middle-aged wome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948-956. 

  8. Choi SN, Lee SU, Chung NY. 2008. Bone density and processed food intake behavior of middle aged and elderly women in the Seoul area. Korean J Food Culture 23: 681-692. 

  9. Lee MS, Woo MK. 2002. A study of health-related habits, dietary behaviors and the health status of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 living in the Chonju area (II). Korean J Community Nutr 7: 749-761. 

  10. Lee HK, Jung BM. 2007. An investigation of the intake of the health improving agents and health status by male workers in Chonnam Yeosu industria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2: 569-582. 

  11. Yoo YJ, Hong WS, Youn SJ, Choi YS. 2002. The experience of health food usage for adults in Seoul.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136-146. 

  12. Kim OS. 2004. Drinking, smoking, self-rated health, and health supplement foods use in adult men. Nurs Sci 16: 1-8. 

  13. Kwak JO, Lee CH, You HE, Sung HI, Chang KJ. 2002. Regional differences in dietary supplement use and related factors among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s via the internet. Korean J Community Nutr 7: 639-653. 

  14. Lee MY, Kim JS, Lee JH, Cheong SH, Chang KJ. 2001. A study on usage of dietary supplements and related factors in college students attending web class via internet. Korean J Nutr 34: 946-955. 

  15. Pyun JS, Kim MJ, Lee KH. 2011. Climacteric and menopausal women's beliefs on daily meals and food supplements - a focus group interview study-. Korean J Community Nutr 16: 239-252. 

  16. Sebastian RS, Cleveland LE, Goldman JD, Moshfegh AJ. 2007. Older adults who use vitamin/mineral supplements differ from nonusers in nutrient intake adequacy and dietary attitudes. J Am Diet Assoc 107: 1322-1332. 

  17. Burnett-Hartman AN, Fitzpatrick AL, Gao K, Jackson SA, Schreiner PJ. 2009. Supplement use contributes to meeting recommended dietary intakes for calcium, magnesium, and vitamin C in four ethnicities of middle-aged and older Americans: the Multi-Ethnic Study of Atherosclerosis. J Am Diet Assoc 109: 422-429. 

  18.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Definition of food supplements. http://www.foodnara.go.kr/hfoodi/main/sub.jsp?pageCode1 (accessed Jan 2013). 

  19. Baek SS. 1998.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menopausal symptoms of midlife women between urban area and rural area. Korean J Women Health Nurs 4: 332-347. 

  20. Radtke JV, Terhorst L, Cohen SM. 2011. The Menopause- Secific Quality of Life (MENQOL) questionnaire: psychometric evaluation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Menopause 18: 289-295. 

  21. Song AR. 2001.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cteric symptoms and management of menopause in middle-aged women. J Korean Acad Soc Nurs Edu 7: 308-322. 

  22. Neugarten BL, Kraines RJ. 1965. "Menopausal symptoms" in women of various ages. Psychosom Med 27: 266-273. 

  23. Ju HO, Seo JM, Hwang JH, Park HS, Lee EN, Hwang SK. 2005. Comparative study on climacteric symptoms, knowledge of menopause and menopausal management of middle aged women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Korean J Women Health Nurs 11: 27-37. 

  24. Kim CI, Jang YA, Kim BH, Lee HS, Lee YN. 2003. Development of dietary guidelines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 for Korean population (2003: dietary action guides for infants & toddlers, pregnant & lactating women, children, and adolescents). Revision of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s. KHIDI. p 36. 

  25. Rendall MJ, Simonds LM, Hunter MS. 2008. The hot flush beliefs scale: a tool for assessing thoughts and beliefs associated with the experience of menopausal hot flushes and night sweats. Maturitas 60: 158-169. 

  26. Spiliotopoulou G. 2009. Reliability reconsidered: Cronbach's alpha and paediatric assessment in occupational therapy. Aust Occup Ther J 56: 150-155. 

  27. Juul L, van Rensburg JA, Steyn PS. 2012. Validation of the king's health questionnaire for South Africa in English, Afrikaans, and isiXhosa. S Afr J Obst Gynaecol 18: 82-84. 

  28. Smith C, Wilson NC, Parnell WR. 2005. Dietary supplements: characteristics of supplement users in New Zealand. Nutr Diet 62: 123-129. 

  29. Korea Food & Drug Admistration. 2012. 07. 23. More than half of Korean adults experience purchasing of food supplements. KFDA Press Release, Korea. p 1-3. 

  30. Yoo YJ, Hong WS, Youn SJ, Choi YS. 2002. The experience of health food usage for adults in Seoul.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136-146. 

  31. Kang HY, Park TS. 1998. Studies on health food supplements intake in Korean adults. Abstract No P31 presented at 3rd Annual Meeting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Seoul, Korea. 

  32. Jun BH, Lee HG. 2000. An investigation of the intake of the health food among the salary men in Seoul. Korean J Soc Food Sci 16: 9-16. 

  33. Yim KS. 2007. Health-related behavioral factors associated with nutritional risks in Korean aged 50 years and over. Korean J Community Nutr 12: 592-605. 

  34. Pohlmann JT. 2004. Use and interpretation of factor analysis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992-2002. J Edu Res 98: 14-22. 

  35. Kang MH, Lee JS, Kim HY, Kwon S, Choi YS, Chung HR, Kwak TK, Cho YH. 2012. Selecting items of a food behavior checklist for the development of nutrition quotient (NQ) for children. Korean J Nutr 45: 372-389. 

  36. Kim HY, Kwon S, Lee JS, Choi YS, Chung HR, Kwak TK, Park J, Kang MH. 2012. Development of a nutrition quotient (NQ) equation modeling for children and the evaluation of its construct validity. Korean J Nutr 45: 390-399. 

  37. Reinert A, Rohrmann S, Becker N, Linseisen J. 2007. Lifestyle and diet in people using dietary supplements: a German cohort study. Eur J Nutr 46: 165-173. 

  38. Archer SL, Stamler J, Moag-Stahlberg A, Van Horn L, Garside D, Chan Q, Buffington JJ, Dyer AR. 2005. Association of dietary supplement use with specific micronutrient intakes among middle-aged American men and women: the INTERMAP Study. J Am Diet Assoc 105: 1106-1114. 

  39. Troppmann L, Gary-donald K, Johns T. 2002. Supplement use: Is there any nutritional benefit? J Am Diet Assoc 102:818-825. 

  40. Brustad M, Braaten T, Lund E. 2004. Predictors for cod-liver oil supplement use-the Norwegian Women and Cancer Study. Eur J Clin Nutr 58: 128-136. 

  41. Cha YN, Kim KJ, Lim HK, Jang HS, Han HS, Chung YH. 1995. A study on menopausal symptoms and health needs among middle aged women. Taehan Kanho 34: 70-82. 

  42. Lee JH, Chung YK, Park HM, Park JS, Yumiko H, Yeoum SG. 2000. A study on climacteric symptoms in Korean midlife women. J Korean Soc Menopause 6: 142-156. 

  43. Kim MH, Bae YJ. 2006. A comparison study on nutrients, phytoestrogens and food intakes of postmenopausal women according to the climacteric symptom.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 533-541. 

  44. Han IK, Park WK, Choi WW, Shin HH, Kim SW. 1989. A study on hormonal changes and bone densities in Korean menopausal women. Korean Soc Endocrinol 4: 21-28. 

  45. Albertazzi P, Pansini F, Bonaccorsi G, Zanotti L, Forini E, De Aloysio D. 1998. The effect of dietary soy supplementation on hot flushes. Obstet Gynecol 91: 6-11. 

  46. Kwak NS, Shin HH. 2000. Management of health foods and health supplemental foods-definition of health foods and health supplemental foods-. Food Science and Industry 33(3): 43-51. 

  47. Song HW, Oh SY. 2000. The experience and intention of health food use among middle-aged men in urban areas. Korean J Community Nutr 5: 193-2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