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30대 여성의 체형 과대인식에 따른 체중조절행위, 삶의 질, 식행동 및 영양소 섭취상태: 2010-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Weight Control Behavior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Nutritional Status by Overestimation of Body Image among Young Korean Females: Data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1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0 no.5, 2015년, pp.362 - 374  

박슬기 (대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현태선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홍미 (대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verestimation of their own body shape on weight control behaviors, mental condition, physical activity, dietary behavio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nutritional status among young Korean females. Methods: A total of 1,514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객관적인 실제 체형과 주관적인 체형인식을 비교하여 정상인식군과 과대인식군으로 분류한 후, 군 간의 체중조절실태, 정신건강, 식행동, 신체활동 및 영양소 섭취 실태를 비교함으로써, 왜곡된 체형인식의 문제점을 찾아 올바른 체형인식의 중요성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젊은 여성이 자신의 체형을 과대인식하는 것이 불필요한 체중 조절 시도, 정신건강, 식행동 및 영양소 섭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20~30대 비임신·비수유부 여성 중 분석 자료지표에 결측치가 없는 1,514명의 대상자가 본 연구에 포함되었고 브로카변법으로 산출한 표준체중백분율에 따라 객관적인 체형을 분류한 후, 주관적인 체형 인식과 비교하여 자신의 체형을 정상적으로 인식한 840명을 정상인식군(Normal estimation), 자신의 체형보다 크게 인식한 554명을 과대인식군(Overestimation)으로 분류하여두 군 간의 체중조절 행태, 정신건강 상태(스트레스 인지여부, 우울증상 경험여부, 자살 생각여부, 정신문제 상담여부, EQ-5D, EQ-VAS), 신체활동 상태(격렬한 신체활동 실천 여부, 중등도 신체활동 실천여부, 걷기실천여부, 근력운동 실천여부, 유연성운동 실천여부), 식행동(결식여부, 가족과 함께 식사여부, 영양표시인지여부, 영양표시이용여부, 외식빈도) 및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하였다.
  • 이 연구에서 과대인식군의 아침결식률이 높고, 단백질, 인, 철분의 섭취가 권장섭취량 대비 부족한 결과는 체형왜곡의 또 다른 악영향의 근거를 제시한다. 체형의 과대인식에 따른 영양섭취실태를 조사한 연구는 없으므로,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은 어떠한 문제를 유발하나요? 전 세계적으로 비만유병률이 놀라운 속도로 증가되고 있다. 비만은 당뇨병, 심혈관계 질환, 고혈압, 담낭질환 및 암과 같은 만성질환의 주된 위험인자이고 다양한 종류의 정신사회적 문제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2013년 19세 이상 성인의 비만유병률은 32.
임신 전의 여성에게 체중의 과대인식이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남학생은 현재 자신의 체중보다 더 무거워지기를 희망하는 반면, 여학생은 더 가벼워지기를 희망한 보고[13]와 같이 체중의 과대인식은 여성에서 훨씬 더 심각하다. 더구나 임신전 저체중은 자궁내 태아의 성장부진 및 그에 따른 낮은 출생체중을 비롯한 부정적인 임신 결과들을 초래하기 때문에[14, 15] 특히 가임기에 속하는 20대와 30대 여성에서의 불필요한 다이어트 및 그 원인이 되는 체중의과대인식의 실태와 그에 따른 영양섭취실태, 정신건강 및 삶의 질에 대한 연구는 당사자들은 물론 차세대 우리 국민의 안녕에 필요한 실정이다. 그동안 체형의 과대인식에 따른 신체적 및 정신적 요인에 대한 연구는 일부 지역에 국한되어 왔고, 영양섭취실태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였다.
왜곡된 체형인식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왜곡된 체형인식은 부적절한 체중조절 시도 외에 정신건강, 부적절한 식행동 및 식품섭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Stice & Bearman[11]은 종단적 연구에서 실제 체중이 아닌 체중의 과대인식이 우울증상과 섭식장애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 Oh & Park[12]도 체형 및 체중의 과대인식이 우울과 신체불만족을 거쳐 폭식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친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World Health Organization.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report of a WHO consultation (WHO Technical Report Series 894) [internet]. WHO; 1998 [cited 2015 Aug 13]. Available from: http://www.who.int/nutrition/publications/obesity/WHO_TRS_894/en/. 

  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statistics 2013: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1) [internet]. 2014 [cited 2015 Aug 13].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 

  3. Ryu HK. A survey of adolescents' concern and perception about body image. Korean J Community Nutr 1997; 2(2): 197-205. 

  4. Hong MS, Pak HO, Sohn CY. A study on food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s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and body image recognition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from Incheon. Korean J Food Nutr 2011; 24(3): 386-395. 

  5. Chang HS. A study on weight control behaviour, eating habits and health-related life habits according to obesity degree by body fat percentage among middle-aged women in Gunsan city.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2): 227-239. 

  6. Lim YS, Park NR, Jeon SB, Jeong SY, Tserendejid Z, Park HR. Analysis of weight control behaviors by body image perception among Korean women in different age groups: Using the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Korean J Community Nutr 2015; 20(2): 141-150. 

  7. Kim HJ, Jang HS. Comparison between body perception, attitude on weight-control and self-esteem according to the weight group of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J Korean Home Econ Educ Assoc 2009; 21(2): 1-22. 

  8. Cho JH, Han SN, Kim JH, Lee HM. Body image distortion in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may lead to stress, depression, and undesirable dieting behavior. Nutr Res Pract 2012; 6(2): 175-181. 

  9. Kim MS, Lee HM. Overestimation of own body weight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associations with lifestyles, weight control behaviors and depression. Nutr Res Pract 2010; 4(6): 499-506. 

  10. Cuypers K, Kvaloy K, Bratberg G, Midthjell K, Holmen J, Holmen TL. Being normal weight but feeling overweight in adolescence may affect weight development into young adulthoodan 11-year followup: The HUNT study, Norway. J Obes 2012; 601872: 1-8. 

  11. Stice E, Bearman SK. Body-image and eating disturbances prospectively predict increases in depressive symptoms in adolescent girls: A growth curve analysis. Develop Psychol 2001; 37(5): 597-607. 

  12. Oh JY, Park KH. The effect of overvaluation of shape and weight on binge eating. Korean J Health Psychol 2011; 16(4): 739-757. 

  13. Cho HS, Choi MK. A study on body image and dietary habits by the body mass index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Chungnam. Korean J Food Nutr 2010; 23(3): 368-375. 

  14. Ehrenberg HM, Dierker L, Milluzzi C, Mercer BM. Low maternal weight, failure to thrive in pregnancy, and adverse pregnancy outcomes. Am J Obstet Gynecol 2003; 189(6): 1726-1730. 

  15. Yu Z, Han S, Zhu J, Sun X, Ji C, Guo X.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in relation to infant birth weight and offspring overweight/obes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LoS ONE 2013; 8(4): e61627. 

  16. Seo JS, Lee JH, Yoon JS, Cho SH, Choi YS. Nutritional Assessment. 1st ed. Seoul: Powerbook; 2008. p. 150-153. 

  17. Kim MH, Cho YS, Uhm WS, Kim S, Bae SC. Cross-cultural adaptation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Q-5D in patients with rheumatic diseases. Qual Life Res 2005; 14(5): 1401-1406. 

  18.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1st revision.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p. 25-46. 

  19. Park SK. A survey on weight control, mental condition, physical activity,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al status by body perception in Korean female [Master's thesis]. Daejin University; 2014. 

  20. Min JS. A study on physical condition, body image perception, eating disorder risk, and depression level according to diet experience of some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Master's thesis]. Daejin University; 2015. 

  21. Klos LA, Sobal J. Marital status and body weight, weight perception, and weight management among US adults. Eat Behav 2013; 14(4): 500-507. 

  22. Montani JP, Schutz Y, Dulloo AG. Dieting and weight cycling as risk factors for cardiometabolic diseases: who is really at risk? Obes Rev 2015; 16 Suppl 1: 7-18. 

  23. Yoon SH, Han KT, Kim SJ, Sohn TY, Jeon B, Kim W et al. Combined effect of body mass index and body size perception on metabolic syndrome in South Korea: results of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2010-2012). BMC Public Health 2015; 15(1): 1-15. 

  24. Tang J, Yu Y, Du Y, Ma Y, Zhu H, Liu Z. Association between actual weight status, perceived weight and depressive, anxious symptoms in Chinese adolescents: a cross-sectional study. BMC Public Health 2010; 10(1): 1-8. 

  25. Jansen W, van de Looij-Jansen PM, de Wilde EJ, Brug J. Feeling fat rather than being fat may be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in young Dutch adolescents. J Adolesc Health 2008; 42(2): 128-136. 

  26. Farhat T, Iannotti RJ, Summersett-Ringgold F. Weight, weight perception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a national sample of US girls. J Dev Behav Pediatr 2015; 36(5): 313-323. 

  27. Chung JY, Lee MY, Kim MJ. A study on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health-related habits and nutrients intake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4): 445-459. 

  28. Lee HS.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 Focu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habits, mental health, chronic diseases, and nutrient intake status: data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 2010-2012. Korean J Community Nutr 2014; 19(5): 479-489. 

  29. Kim KW, Shin EM. A study on nutrition knowledge, nutritional attitudes, dietary behavior and dietary intake by weight control attempt among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2; 7(1): 23-31. 

  30. Sung SJ, Kwon SJ. Effect of eating with family or alone on the self-rated mental or physical health: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Daejeo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2): 206-226. 

  31. Cason KL. Family mealtimes: more than just eating together. J Am Diet Assoc 2006; 106(4): 532-53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