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 지각의 2011 도호쿠 대지진 영향 분석
Analysis of Crustal Deformation on the Korea Peninsula after the 2011 Tohoku Earthquake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0 no.1, 2012년, pp.87 - 96  

김수경 (세종대학교 지구정보공학과) ,  배태석 (세종대학교 지구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1년 3월 11일 일본 동북부 태평양 연안지역 해저를 진앙으로 하는 규모 9.0의 도호쿠 대지진이 발생하였다. 이 지진은 역사상 4번째 규모의 지진으로 대형 쓰나미를 동반하여 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를 유발하였다. 또한 미국 지질조사국에 따르면 지진이후 일본 동북부 지역이 약 2.4m 가량 이동된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한반도 역시 지진의 영향권에 들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운영중인 상시관측소 관측데이터를 이용하여 일본지진에 의한 우리나라 지각의 변위를 산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Bernese V5.0을 사용하였으며, 지진 발생 전 후의 기선해석과 지진 발생 당시의 이동측위를 수행하였다. 기선해석을 통한 자료처리 시 효과적인 지각변동 확인을 위하여 두 가지 시나리오를 이용하였다. 첫 번째 시나리오로 진앙과 거리가 멀어 비교적 안정적이라고 판단되는 중국, 몽골, 러시아의 IGS 상시관측소를 고정하여 기선해석을 수행하였으며, 두 번째로는 우리나라 국가 기준점인 수원 관측소를 고정하여 기선해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일본 지진 이후, 한반도 지각이 대부분 동쪽방향으로 1.2cm에서 5.6cm 수준으로 이동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한 상시관측소 중 지진의 진앙과 가까운 독도, 울릉도 지역에서 가장 큰 변위가 나타났으며, 진앙으로부터 거리가 먼 제주의 지각이동이 가장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동측위 결과 지진 발생으로부터 약간의 시간 경과 후 우리나라 상시관측소에 신호가 감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S. Geological Survey (USGS) announced that an earthquake of 9.0 magnitude had occurred near the east coast of Japan on March 11, 2011, resulting in a displacement of the crust of about 2.4 meters. The Korean peninsula is located on the Eurasian tectonic plate that stretches out to Japan; th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도호쿠 대지진에 의한 우리나라 지각의 영향을 다양한 시나리오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지진 발생일(2011년 3월 11일)을 기준으로 발생 3일 전부터 이후 7일 동안(3월 8일~18일)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도호쿠 지진에 의한 한반도 지각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총 3일간 수집된 관측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진발생 이전 GPS 상시관측소의 정밀좌표를 산출하였으며, 3월 12일부터 18일까지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진발생 이후 상시관측소의 정밀 좌표를 계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국가 측지 기준계 확립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국토지리정보원의 GPS 상시관측소와 우리나라 주변국의 IGS 상시관측소 데이터를 이용한 지진 발생 전·후의 정밀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고 다양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지진 발생 전·후 수집된 GPS 관측데이터를 이용하여 한반도 지각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외 GPS 상시관측소 네트워크의 대표적인 예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또한, GPS기술을 이용하면 수 밀리미터의 정밀도로 지각 및 단층 등의 위치 및 변위 측정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현재 세계 각 국에서 지각변동 및 지진에 의한 영향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GPS 상시관측소를 이용한 감시 체계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미국의 SCIGN(Southern California Integrated GPS Network), PANGA(Pacific Northwest Geodetic Array), 일본의 GEONET(GPS Earth Observation Network), 독일의 SAPOS(Satellite Positioning Service of the German National Survey) 등이 GPS 상시관측소 네트워크의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박관동, 2007).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2011년 12월 현재 국토지리정보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국토해양부 위성항법중항사무소, 국립해양조사원의 5개 기관에서 전국에 약 100개의 GPS 상시관측소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각종 측량, 지각이동 및 지진감지등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일본열도가 위치한 지각판은 무엇이며 이 판들의 움직임은? 일본열도는 유라시아, 태평양, 필리핀, 및 북아메리카판이 서로 접해있는 판의 경계부에 위치하며, 이 4개의 판들은 각각 매년 수 cm 정도의 속도로 절대·상대적 움직임을 보인다. 이러한 지각의 이동으로 인해 일본은 크고 작은 지진이 끊임없이 계속되고 있다(지헌철, 2008; Komaki, 1993).
Saastamoinen 모델과 Niell 매핑함수 각각의 특징은 무엇인가? GPS 데이터처리를 위해 사용한 옵션은 아래표2와 같으며, 이중 대류권에 의한 GPS 관측값 지연은 Saastamoinen 모델과 Niell 매핑함수를 적용하였다. Saastamoinen 모델은 기체법칙(gas law)을 통해서 유도된 굴절지수를 이용하며, Niell 매핑함수는 입력 값으로 관측소의 위치와 연중시간 (time of year)만 필요로 하고 지상 기상학에 독립적이고 정확하여 지상 기상학에 널리 사용된다(전재한 등, 2008; Hofmann-Wellenhof et al, 2001). 이 외에 유럽의 CODE에서 제공하는 전지구 전리층 모델, 위성과 수신기의 코드 바이어스 오차에 해당하는 DCB(Differential Code Bias)를 사용하였으며, IGS에서 제공하는 GPS 위성의 궤도력 및 위성의 시계정보, 지구 자전축의 움직임과 관련된 모델을 사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박관동 등 (2007), 한반도 지각변동 연구, 건설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pp. 20-32. 

  2. 박준규, 윤희천 (2011), 자연재난 관리를 위한 GPS 기반의 지진재해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9권, 제 3호, pp. 311-318. 

  3. 이원춘 (2006), GPS를 이용한 한반도 지역의 지각변동 벡터 추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4. 전재한, 권재현, 이지선 (2008), 시뮬레이션을 통한 GPS 오차의 영향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6권, 제 4호, pp. 397-405. 

  5. 지헌철 (2008), 한반도 주변 지진발생 원인과 대책, 도시문제, 제 43권, 제 478호, 대한지방행정공제회, pp. 26-36. 

  6. 한국천문연구원 (2011), 일본 대지진에 의한 한반도 움직임 포착, http://www.kasi.re.kr. 

  7. 황진상, 윤홍식, 이동하, 정태준, 서용철 (2011), 일본 Tohoku-Oki 대지진으로 인한 한국 및 아시아 지역 상시 관측소의 위치변동량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 14권, 제 4호, pp. 137-149. 

  8. Freymueller, J. (2011), Predicted displacements for Japan earthquake, IGS(International GNSS Service), IGSMAIL-6359, http://igscb.jpl.nasa.gov/pipermail/igsmail/2011/006351.html. 

  9. Hofmann-Wellenhof, B., Lichtenegger, H. and Collines, J. (2001), Global Positioning System: Theory and Practice, Springer-Verlag Wien, New York, pp. 113-115. 

  10. Komaki, K. (1993), Horizontal Crustal Movement by Geodetic Measurements, Journal of the Geodetic Society of Japan, Vol. 39, No. 4, pp. 387-4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