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솔껍질깍지벌레는 우리나라 곰솔림의 주요한 해충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솔껍질깍지벌레의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7개도 3개 광역시, 91개 시군구, 686 읍면동의 해송림에서 2010년 밀도를 조사하였다. 5개도 2개 광역시에서 솔껍질깍지벌레가 서식하고 있었는데 시군구별로는 조사대상의 64.8%인 59개 시군구에서 서식이 확인되었다. 솔껍질깍지벌레의 분포는 남해안 전역과 동해안의 포항, 서해안의 충남 보령지역까지 분포하였다. 충북과 대전광역시 및 제주도에서는 솔껍질깍지벌레의 분포가 확인되지 않았다. 부산지역은 16곳의 모든 구에서 솔껍질깍지벌레가 분포하였고, 시군 단위에서는 전남 해남군의 솔껍질깍지벌레 평균밀도가 1.713마리/0.785 $cm^2$로 가장 높았으며 읍면동 단위에서는 해남군 송지면이 6.36마리/0.785 $cm^2$로 가장 높았다. 곰솔 가지 내의 솔껍질깍지벌레 밀도와 솔껍질깍지벌레가 서식하고 있는 빈도와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상관계수=0.89).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lack pine bast scale, $Masucoccus$ $thunbergianae$ (Hemiptera: Margarodidae), is a serious pest of the Japanese black pine, $Pinus$ $thunbergii$, in Korea. The distribution of the black pine bast scale was examined, looking overall at 686 towns (eu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솔껍질깍지벌레의 주 기주인 곰솔림이 분포하고 있는 피해선단지 주변을 중심으로 솔껍질깍지벌레의 피해분포를 조사하여 지역별 분포와 방제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 resinosae의 경우 차이를 보였다(McClure, 1976). 따라서 지역 간 밀도비교나 임분이나 임상별 밀도비교의 경우 표본추출의 방법과 크기, 횟수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데 본 연구에서는 분포에 주안점을 두었기 때문에 10그루의 나무에서 조사를 하였으며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주로 치수를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다. 특히 조사한 가지의 밀도와 빈도 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수관 내 특정 부위의 동일한 년령의 가지를 이용하여 발생빈도만 구하여도 상대적인 밀도값으로 대체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솔껍질깍지벌레은 언제, 어디서 처음 보고되었는가? 솔껍질깍지벌레(Masucoccus thunbergianae)는 Miler & Park (1987)이 전남 고흥의 곰솔(Pinus thunbergii)에서 1983년 채집 하여 최초로 보고되었는데 최초 피해는 전남 고흥군 도양읍 비봉산의 곰솔림에서 고사목이 발생하면서 시작되어 1980년대 초반까지는 전남 서남부 해안지역에 주로 피해를 주다가 1980년대 후반에는 전남 남해안 지역과 경남 하동, 남해, 삼천포 등지로 확산되어 2000년대 이후에는 경남 남해안 전역과 부산, 울산 지역으로 확산되어 해안가 곰솔림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Park, 1991; Kim and Oh, 1992).
솔껍질깍지벌레의 기주 식물로는 무엇이 있는가? 솔껍질깍지벌레는 곰솔을 비롯하여 소나무(P. densiflora), 스트로브잣나무(P. strobus), 테다소나무(P. taeda), 방크스소나무(P. banksiana), P. mssoniana, P. taiwannesis등이 기주식물로 알려져 있으나(Kim and Oh, 1992) 자연림에서는 주로 곰솔에서 피해가 나타나고 있다(Miller and Park, 1987). 솔껍질깍지벌레류에 의한 피해는 수관하부의 잎부터 갈변하여 피해가 심해지면 전체 수관이 갈변되고, 고사하는데 어린 경단부에 피해를 받은 곰솔은 가지가 쳐져 성장하게 되며 피해를 입은 가도관은 정상보다 더 길고, 방사조직의 단위면적 당 수와 높이, 구성요소율이 정상보다 많거나 높게 나타난다(Park and Park, 1985; Lim and Soh, 1994).
임내에서 어떠한 경우에 솔껍질깍지벌레의 피해가 더 심해지는가? , 1995). 임내에서는 혼효림에 비하여 단순림의 피해가 심하고, 7-20년생에서 피해율이 높으며 임목밀도가 높을수록 피해가 심해진다(Kim and Oh, 199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hung, Y. J., W. I. Bae, Y. S. Park, K. S. Choi, S. G. Lee and S. C. Shin. 2000a. Distribution of black pine bast scale, Matsucoccus thunbergianae (Homoptera: Margarodidae), infestations in Korea. KFRI J. For. Sci. 63: 85-89. 

  2. Chung, Y. J., Y. S. Park, T. S. Chon, S. C. Shin and J. D. Park. 2000b. Dispersal pattern of the black pine bast scale, Matsucoccus thunbergianae (Homoptera: Margarodidae), in Korea. J. Kor. For. Soc. 89: 306-309. 

  3. Kim, K. C., J. W. Kim and G. K. Lim. 1995. Biological and physiological structure change of black pine bast scale (Matsucoccus thunbergianae) in coast area of Korea. Kor. J. Appl. Entomol. 34: 174-180. 

  4. Kim, K. C. and K. I. Oh. 1992. Bionomics, host range & analysis of damage aspects on the black pine bast scale, Matsucoccus thunbergianae (Homoptera: Cocoidea), in the costal area of southwest Korea. Kor. J. Appl. Entomol. 31: 386-395. 

  5. Lim, D. O. and W. Y. Soh. 1994. Patho-historical aspects of secondary xylem in Korean Pinus thunbergii Parl. affected by Matsucoccus thunbergiana. Kor. J. Environ. Biol. 12: 1-12. 

  6. McClure, M. S. 1976. Colonization and establishment of the red pine scale, Matsucoccus resinosae (Homoptera; Margarodidae) in a Connecticut plantation. Environ. Entomol. 5: 943-947. 

  7. Miller, D. R. and S. C. Park. 1987. A new species of Matsucoccus (Homoptera: Coccoidea: Margarodidae) from Korea. Kor. J. Plant Prot. 26: 49-62. 

  8. Park, S. C. 1991. Geographical distribution, biology, and research for the control of Matsucoccus pine bast scales (Homoptera: Coccoidea: Margarodidae). J. Kor. For. Soc. 80: 326-349. 

  9. Park, S. C. 1994. Within-tree distribution of Matsucoccus thunbergianae on Pinus thunbergiana. Kor. J. Appl. Entomol. 33: 114-121. 

  10. Park, S. C., A. J. Wi and K. Mori. 1994. Flight of Matsucoccus thunbergianae males and their response to the synthetic sex pheromone (Homoptera: Coccoidea: Margarodidae). Kor. J. Appl. Entomol. 33: 250-256. 

  11. Park, S. C. and N. C. Park. 1985. Life history and summer diapause of the black pine bast scale, Matsucoccus n. sp., in Korea. Res. Rep. For. Res. Inst. Korea. 32: 11-16. 

  12. Stephens, G. R. and D. E. Aylor. 1978. Aerial dispersal of red pine scale, Matsucoccus resinosae (Homoptera; Margarodidae). Environ. Entomol. 7: 556-56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