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색 끈끈이트랩을 이용한 솔껍질깍지벌레(Homoptera: Margarodidae) 예찰
Monitoring of Black Pine Bast Scale, Matsucoccus thunbergianae (Homoptera: Margarodidae) Using Yellow Sticky Trap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57 no.3, 2018년, pp.143 - 149  

이창준 (임업진흥원) ,  김동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  정영학 ((주)에스엠바이오비전) ,  이상명 ((주)에스엠바이오비전) ,  이석준 (동방아그로) ,  이동운 (경북대학교 생태환경관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솔껍질깍지벌레(Matsucoccus thunbergianae)는 우리나라 곰솔(Pinus thunbergiane)림의 주요 해충중의 하나이다. 솔껍질깍지벌레는 단목(丹木)마다 밀도에 차이가 있고, 수관 내 가지별로도 밀도차이가 있어 예찰이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황색 끈끈이트랩을 이용하여 솔껍질깍지벌레의 분포나 발생을 예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곰솔림에서 끈끈이 트랩에 유인된 솔껍질깍지벌레 수컷 성충의 밀도와 가지 내 약충의 밀도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끈끈이트랩에 유인된 솔껍질깍지벌레 수컷성충의 밀도는 곰솔의 상층부가 하층부보다 높았으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곰솔 가지의 단위면적당 솔껍질깍지벌레 밀도는 흉고직경이 클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1~2.5 cm 사이의 굵기내에서는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곰솔 가지의 방향이 지면을 향하는 쪽이 반대 방향을 향하는 쪽에 비하여 솔껍질깍지벌레의 밀도가 높았다. 솔껍질깍지벌레의 예찰에 끈끈이 트랩의 사용을 제안하며, 가지에서의 밀도는 2~2.5 cm 굵기의 가지를 선택하여 지면쪽의 밀도 조사를 추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lack pine bast scale (BPBS), Matsucoccus thunbergianae (Homoptera: Margarodidae), is one of the most serious insect pests of Japanese black pine (Pinus thunbergiana) in Korea. The density of BPBS varies by tree, branch, and location, making it difficult to monitor them. This study investiga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솔껍질깍지벌레 밀도 조사 시 효율적인 조사 가지 선정을 위해 가지 굵기 별 밀도와 현미경 조사 시 현미 경으로 관찰하는 가지의 관찰면에 따른 밀도 차이를 조사하였다. 아울러 솔껍질깍지벌레의 임내 발생 밀도 비교나 지역적 밀도 비교와 같은 단목 단위가 아닌 임분 단위의 밀도 조사나 초기 정착 시기에 밀도가 낮아 수관 내에 서식하는 솔껍질깍지벌레의 직접 조사가 어려운 경우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끈끈이 트랩을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 솔껍질깍지 벌레는 충체의 크기가 작고, 주로 인편이나 수피 틈새에 서식하기 때문에 관찰이 곤란하여 조사부위를 한정하여 최소한의 면적에서 조사 하는 것이 용이한 방법이지만 현실적으로 솔껍질 깍지벌레 약충은 수관이나 가지 별로도 차이가 있고, 가지의 절간이나 마디의 연령, 같은 연령의 절간에서도 부위에 따라 밀도 차이를 보일 수 있어 표본추출법의 정립이 절실한 실정이다(Park, 1991; Kim and Oh, 1992).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표본조사의 시간을 줄이면서 합리적으로 밀도를 비교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 황색끈끈이 트랩을 이용한 솔껍질깍지벌레 밀도조사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관 내 분포하는 솔껍질깍지벌레 밀도와 끈끈이트랩에 유인된 솔껍질깍지벌레 수컷 수와의 상관관계를 2년 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솔껍질깍지벌레가 기주하는 식물은 무엇인가? , 2012). 일본으로부터 도입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솔껍질깍지벌레는 년 1회 발생하여 곰솔과 소나 무(Pinus densiflora)를 비롯한 7종의 Pinus속 소나무류를 기주로 하고 있는데 피해를 받은 소나무들은 수간에서 가지가 생존 하고 있는 하위부로부터 고사된다(Park and Park, 1985; Miller and Park, 1987; Kim and Oh, 1992). 곰솔에 대한 솔껍질깍지 벌레의 피해가 만연하고 피해지가 확산됨에 따라 산림당국에서는 매년 솔껍질깍지벌레에 대한 예찰 활동을 벌이고 있는데 피해도 조사를 통한 발생 상황 조사를 수행하고 있다(Korea Forest Service, 2008).
솔껍질깍지벌레의 발생지 확산을 예찰하는 데 페로몬트랩이 아닌 끈끈이트랩을 활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1994a, 1994b). 솔껍질깍지벌레는 수컷이 유시형이기 때문에 페로몬트랩을 이용한 예찰이 가능하지만 페로몬의 영향을 받는 유효거리가 10 m에 불과하고, 수관 울폐도에 따라 유인력에 차이를 보이며 수컷의 비행은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Park et al., 1994b, 2000). 따라서 자발적 비행에 의한 페로몬 트랩으로의 유인이 일반적인 나방류에 비하여 유인 반경이 제한적이고, 바람과 같은 기류에 의한 이동이 많기 때문에 끈끈이트랩과 같은 유인트랩의 활용도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어 끈끈이 트랩의 유용성을 검정하였다. 끈끈이트랩은 곤충 발생예찰에 사용되는 방법의 하나로 애매미충류나 애무늬고리 장님노린재(Apolygus spinolae)의 발생예찰에도 활용된 바 있다(Lee et al.
솔껍질깍지벌레의 단목간 밀도변이가 심한 이유는 무엇인가? 솔껍질깍지벌레는 비행능력을 가진 수컷 성충을 제외하고는 단목 간의 이동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단목간의 밀도변이가 심하고, 이로 인해 임분 내에서 솔껍질깍지벌레에 의한 곰솔의 피해도 점상으로 발생하고 있다(Kim and Oh, 1992; Park, 1994). 따라서 개체군동태학적 연구에서는 지상 단위면적당 충밀도보 다는 단목당 충밀도 조사가 바람직한데 단목 당 충밀도를 조사 하는 것도 매우 제한점이 많다(Park, 1991, 199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hung, Y.J., Bae, W.I., Park, Y.S., Choi, K.S., Lee, S.G., Shin, S.C., 2000a. Distribution of black pine bast scale, Matsucoccus thunbergianae (Homoptera: Margarodidae), infections in Korea. KFRI. J. Sci. 63, 85-89. 

  2. Chung, Y.J., Park, Y.S., Chon, T.S., Shin, S.C., Park, J.D., 2000b. Dispersal pattern of the black pine bast scale, Matsucoccus thunbergianae (Homoptera: Margarodidae), in Korea. J. Korean For. Soc. 89(3), 306-309. 

  3. Kim, K.C., Oh, K.I., 1992. Bionomics, host range and analysis of damage aspects on black pine bast scale, Matsucoccus thunbergianae (Homoptera: Cocoidea), in the coastal area of southwest Korea. Korean J. Appl. Entomol. 31, 386-395. 

  4. Korea Forest Service, 2008. Manual of occurrence survey and control practice and ecology of black pine bast scale. Korea Forest Service, 72 pp. 

  5. Lee, S.J., Lee, C.M., Song, J.S., Lim, T.H., Han, S.S., Lee, S.M., Kim, H.H., Cho, M.R., Lee, D.W., 2014a. Seasonal occurrence of Arboridia spp. in grapevine export complexes of Korea. J. Agric. Life Sci. 48(1), 79-88. 

  6. Lee, S.J., Lee, C.M., Song, J.S., Lim, T.H., Lyu, D., Han, S.S., Kim, H.H., Cho, M.R., Lee, D.W., 2014b. Damages of grapevines by Apolygus spinolae (Hemiptera: Miridae) depending on localities and managements types of grape orchard in grape export complexes of Korea. J. Agric. Life Sci. 48(3), 191-201. 

  7. Lim, E., Lee, S.M., Kim, D.S., Kim, J.B., Lee, S.H., Choi, K.S., Park, C.G., Lee, D.W., 2012. The spread of black pine bast scale, Matsucoccus thunbergianae (Hemiptera: Margarodidae) in Korea. Korean J. Appl. Entomol. 51(1), 59-65. 

  8. Miller, D.R., Park, S.C., 1987. A new species of Matsucoccus (Homoptera: Coccoidea: Margarodidae) from Korea. Korean J. Plant Prot. 26(2), 49-62. 

  9. Park, S.C., 1991. Geographical distribution, biology, and research for the control of Matsucoccus pine bast scales (Homoptera: Cocoidea: Margarodidae). J. Korean For. Soc. 80, 326-349. 

  10. Park, S.C., 1994. Within-tree distribution of Matsucoccus thunbergianae on Pinus thunbergiana. Korean J. Appl. Entomol. 33, 114-121. 

  11. Park, S.C., Park, N.C., 1985. Life history and summer diapauses of the black pine bast scale, Matsucoccus n. sp., in Korea. Res. Rep. For. Res. Inst. Korea 32, 11-16. 

  12. Park, S.C., Wi, A.J., Kim, H.S., 1994a. Response of Matsucoccus thunbergianae males to synthetic sex pheromone and its utilization for monitoring the spread of infection. J. Chem. Ecol. 20(9), 2185-2196. 

  13. Park, S.C., Wi, A.J., Kim, H.S., 2000. Flight of Matsucoccus thunbergianae males in response to synthetic pheromone placed at various heights above ground and the wind speed. J. Korean For. Soc. 89(1), 135-140. 

  14. Park, S.C., Wi, A.J., Mori, K., 1994b. Flight of Matsucoccus thunbergianae males and their response to the synthetic sex pheromone (Homoptera: Cocoidea: Margarodidae). Korean J. Appl. Entomol. 33(4), 250-256. 

  15. SAS Institute, 2011. SAS/STAT(R) 9.3 user's guide.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