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시설의 화재안전 대책에 대한 고찰
A Consideration on the Fire Safety of Education Facilities 원문보기

敎育施設 : 韓國敎育施設學會誌 = Review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v.19 no.6, 2012년, pp.28 - 31  

이용재 (경민대 소방행정과)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사건을 계기로 많은 화재안전대책이 논의 되었으나 아직도 매년 300여건의 화재가 학교에서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글에서는 초․중․고․대학 및 기타학교의 화재발생 현황을 알아보고 그 대책을 모색해 보기로 한다.
  • 또한 평면계획에 있어 피난계획의 기본원칙인 “2방향피난”의 원칙에 충실해야만 한다. 또한 창문 등 개구부 계획, 내외장재의 불연화 등이 있으나 지면관계상 배치 및 평면계획과 방화구획에 대해서만 기술하기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재발생 원인은 무엇인가? 화재발생 원인을 분석해보면 학교별로 큰 차이 없이 “부주의”에 의한 화재가 42.9%에 달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전기적 요인이 30.2%에 달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이 가장 중요시되고 있다.
학교 화재가 인명피해 발생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이유는 무엇인가? 인명피해발생현황을 살펴보면 학교 이외의 건축물에서는 약 130건의 화재발생시 사망자 1명이(소방방재청 2010년, 2011년 통계자료) 발생한다는 측면에서 학교 화재의 경우 인명피해 발생빈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으로 분석된다. 그 이유는 상당 부분의 화재로 인한 사망자가 취침 중에 발생하다는 측면에서 학교에서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의 발생빈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 된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매년 300여건의 화재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언제든 다수의 인명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화재 위험성은 잠재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교육시설 화재발생현황은 어떻게 되는가? 최근 5년간 초․중․고․대학 및 기타학교의 화재발생현황을 살펴보면 매년 300여건의 화재가 발생하고 있으며, 대학교, 초등학교, 고등학교, 중학교 순으로 많은 화재가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초등학교의 화재발생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대학교의 화재발생건수는 특별한 변화추이를 나타내고 있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이용재, 건축물의 소방방재계획, 도서출판 대성, 2010 

  2. 이용재, 소방관계법규, 성안당, 2011 

  3. 日本建築センタ?, 新.建築防災計劃指針, 日本建築センタ?, 1985 

  4. 室崎益輝, 建築防災.安全, 鹿島出版會, 1993 

  5. 이용재, 우리나라 고층공동주택의 화재시 피난안전성능 제고를 위한 건축적 연구, 단국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00 

  6. 소방방재청, 화재통계자료, 2007, 2008, 2009, 2010,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