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핵의학과 전용화장실에서 측정된 표면오염도 및 공간선량율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urface Contamination Level and Spatial Dose Rate Measured from NM Patients-Only Bathroom 원문보기

핵의학기술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technology, v.16 no.1, 2012년, pp.38 - 43  

문재승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핵의학과) ,  정희일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핵의학과) ,  정해성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핵의학과) ,  신민용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핵의학과) ,  김수근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핵의학과) ,  박대성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핵의학과) ,  김현기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핵의학과) ,  김화산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핵의학과) ,  이형남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핵의학과) ,  안병필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핵의학과) ,  이동호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핵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18}F$-FDG 방사성핵종이 투여된 환자가 사용하는 전용화장실의 표면오염도 및 공간선량율을 측정하여 같은 구역 내에 근무하고 있는 작업종사자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1년 1월부터 2011년 6월까지 $^{18}F$-FDG 370 MBq (10 mCi) 방사성핵종이 투여된 후 전용화장실을 1회 사용한 대상 환자는 본원이 60case(그룹1), 부천성모병원은 일평균 환자 수에 따라 50case(그룹2)와 10case(그룹3)으로 분류하였다. 방사선 측정기를 이용한 측정시간은 08:00, 10:00, 13:00, 15:00, 17:00이었으며 측정부위는 좌변기 4부위, 세면대, 휴지통이었다. 병원별 전용화장실의 3개월간 피폭누적량을 측정하였으며 PET/CT를 운영하는 병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전용화장실 유무 및 종사자들의 이용현황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결과 : 그룹1, 그룹2, 그룹3에 대한 일평균 환자 수는 $12.18{\pm}1.33$명, $6.62{\pm}2.21$명, $10.5{\pm}1.58$명이었다. 그룹1, 그룹2, 그룹3에 대한 좌변기의 평균 표면오염도($Bq/cm^2$)는 $8.38{\pm}4.56$, $2.64{\pm}3.90$, $4.59{\pm}4.38$로 그룹1에서의 표면오염도가 그룹2, 그룹3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1 m 높이에서의 표면오염도 및 공간선량율에서는 그룹3, 그룹2, 그룹1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그룹1에서의 세면대 및 휴지통의 표면오염도($Bq/cm^2$)는 $0.12{\pm}0.12$, $25.26{\pm}22.55$이었다. 표면오염도 수준을 단계별로 구분하여 제시하여 보았을 때 측정시간별 표면오염도 차이는 그룹1이 그룹2, 그룹3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개인피폭선량계를 이용하여 측정된 피폭누적량은 본원이 0.78 mSv/3개월, 부천성가병원이 0.37 mSv/3개월이었다. 전용화장실의 공동사용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조사대상 31개 병원 중에 16.12%인 5개병원에서 환자와 함께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일평균 환자수가 많을수록 전용화장실의 표면오염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휴지통의 표면오염도는 원자력법에서 고시하고 있는 기준값인 $4Bq/cm^2$를 훨씬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화장실 전체공간에 대한 피폭누적량은 작게 나타났다. 설문조사 결과를 참조해 볼 때 환자들과 같이 사용하는 기관들이 있었음으로 전용화장실 이용에 대한 특별한 주의와 적절한 제염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Patients injected with FDG use the bathroom that Measured surface contamination level and spatial dose rate. This study about the effect that result affects workers in same part. Materials and Methods: Group1 is St. Vincent' s hospital's 60case. Group 2 is Bucheon St. Mary's hospital's 50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또한 PET/CT를 운영하는 병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전용화장실 유무 및 종사자들의 이용현황에 따른 작업종사자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 목적 : 18F-FDG 방사성핵종이 투여된 환자가 사용하는 전용화장실의 표면오염도 및 공간선량율을 측정하여 같은 구역 내에 근무하고 있는 작업종사자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1년 1월부터 2011년 6월까지 18F-FDG 370 M㏃ (10 mCi) 방사성핵종이 투여된 후 전용화장실을 1회 사용한 대상 환자는 본원이 60case(그룹1), 부천성모병원은 일평균 환자 수에 따라 50case(그룹2)와 10case(그룹3)으로 분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직접측정법 및 개인피폭선량계를 이용하여 전용화장실의 표면오염도 및 공간 선량율을 측정하였으며 원자력법령과 교육과학기술부고시에서 제시하고 있는 규정인 α선을 방출하지 아니하는 방사성물질에 대하여 40 kBq/m2 4)이하를 만족하는지를 알아보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전용화장실 사용유무 현황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착성 표면오염은 어떻게 정의할 수 있는가? 표면오염은 비고착성 표면오염과 고착성 표면오염으로 구성된다. 고착성 오염은 제거성, 또는 유리성 오염이라고도 하고 제거성 표면오염이란 보통의 작업조건에서 제거할 수 있거나 전이될 수 있는 오염,3) 적절한 압력을 주어 문지르는 스메어법에 의해 표면의 방사성 물질이 전달될 수 있는 오염, 또는 평범한 접촉, 닦아냄, 솔질, 세척 등의 방법에 의해 방사성물질이 표면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오염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오염의 형태 가운데 표면오염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오염의 대상과 분포형태에 따라 공기오염, 수질오염, 표면오염, 인체오염 등으로 분류된다.1) 오염의 형태 가운데 표면오염(Radioactive Surface Contamination)이란 구조물, 공간, 물체 또는 인체 등의 표면에 원하지 않는 방사성 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오염의 크기와 범위에 따라 규제의 대상이 될 수 있다.2) 그러므로 작업장소의 바닥이나 물건 또는 관리구역 밖으로 반출하는 물품에 대하여 방사성 물질에 의한 표면의 오염상황을 정확히 파악하여 방사선 안전관리에 반영시키는 일은 아주 중요하다.
표면오염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표면오염은 비고착성 표면오염과 고착성 표면오염으로 구성된다. 고착성 오염은 제거성, 또는 유리성 오염이라고도 하고 제거성 표면오염이란 보통의 작업조건에서 제거할 수 있거나 전이될 수 있는 오염,3) 적절한 압력을 주어 문지르는 스메어법에 의해 표면의 방사성 물질이 전달될 수 있는 오염, 또는 평범한 접촉, 닦아냄, 솔질, 세척 등의 방법에 의해 방사성물질이 표면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오염으로 정의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