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조직에서의 임파워먼트가 소진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powerment on the Burnout and Career Commitment of Social Worker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2 no.5, 2012년, pp.213 - 226  

강종수 (강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진은 사회복지사의 전문성과 그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심각한 문제이고, 임파워먼트와 경력몰입은 사회복지조직의 성과 제고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이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 종사자인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임파워먼트가 소진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재직기간 1년 이상의 민간부문 사회복지사 26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에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임파워먼트와 경력몰입은 중간값 이상, 소진은 중간값 이하의 수준을 보여주고 있으며, 임파워먼트는 소진과 부(-)의, 경력몰입과는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파워먼트의 의미성과 자기결정성은 소진과는 부(-)의, 그리고 경력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소진을 예방하고 경력몰입을 높이기 위한 조직 및 개인차원의 전략과 함의를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bsence of empowerment has been offered as one explanation for the growing burnout of social worker. Numerous studies have linked empowerment to employee's behaviors and attitud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powerment on the burnout and career commitment of social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기존의 임파워먼트 연구들은 자아존중감, 개인의 지각된 통제 소재, 직위 등의 개인특성 변수[11-13], 기능 다양성, 과업중요성, 역할모호, 역할갈등, 역할과중 등의 직무특성 변수[14][15], 그리고 의사결정의 참여, 직원 개발, 보상, 리더십 등의 조직특성 변수[12][14][16][17] 등을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고, 그러나 정작 임파워먼트가 소진을 얼마나 감소시키고 경력몰입 향상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 지 등의 효과에 관해서는 연구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에 따라 사회복지조직에서의 임파워먼트가 사회복지사의 소진과 사회복지전문직에 대한 경력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소진을 줄이거나 예방하기 위한 조직차원과 사회복지사 개인차원의 전략과 아울러 계속하여 보다 더 사회복지전문직에 대해 경력몰입 할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탐구하고자 한다.
  • 소진은 사회복지사의 전문성과 그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심각한 문제이고, 임파워먼트와 경력몰입은 사회복지조직의 성과 제고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이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 종사자인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임파워먼트가 소진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재직기간 1년 이상의 사회복지사 26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에 자료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에서의 임파워먼트가 사회복지사의 소진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따라서 연구모형은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Spreitzer[12] 및 Thomas and Velthouse[13]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기초한 의미성, 수행능력, 자기결정성, 영향력으로 구성된 사회복지조직에서의 임파워먼트가 구성원의 소진과 경력몰입에 영향을 미친다는 [그림 1]과 같이 설정하였다.
  • 즉 조직구성원이 조직 내에서 의사결정과정에 어떻게 참여하고, 조직 내의 권력관계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가와 관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19][20]. 본 연구는 후자의 관점에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 사회복지조직에서의 임파워먼트 수준 및 사회복지사 들의 소진과 경력몰입의 정도를 알아보고자 이들 이들 변인의 기술통계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임파워먼트 수준은 대체로 5점 리커트 척도의 중간값 보다 높은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진이란 무엇인가? 한편 사회복지사를 포함한 휴먼서비스 종사자의 전문성과 그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효과성 및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심각한 문제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 바로 소진(burnout)이다. 소진은 직업상 스트레스에 대한 장기적이고 복합적 반응이자 결과를 지칭하는 용어로서, 특히 사회복지사뿐만 아니라 간호사, 임상심리사 등 사람을 대상으로 돌봄을 제공하는 다양한 휴먼서비스 전문직에서 발생하는 업무관련 증후군을 지칭한다. 소진은 단순한 업무 과다 혹은 업무 스트레스를 넘어 업무와 관련하여 다양한 스트레스에 노출되고 이러한 스트레스를 배출할 수 없는 상태에서 이를 극복하지 못하였을 때 마지막에 도달하는 단계로 파악된다[7][8].
소진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정서적 고갈만으로는 부족한 이유는 무엇인가? 정서적 고갈은 스트레스반응으로 가장 명확하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러나 정서적 고갈만으로 소진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충분하지 않는데 정서적 고갈은 스트레스 차원은 잘 반영하지만 사람들의 일과 관련된 중요한 부분을 놓치게 되기 때문이다. 정서적 고갈은 사람으로 하여금 과다한 업무에 대처하는 기제로 일로부터 정서적으로나 인지적으로 거리를 두게 한다.
사회복지조직에게 임파워먼트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1999년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으로 시행된 시설평가부터 최근의 노인장기요양보험 및 바우처제도의 도입으로 사회복지기관 간의 경쟁은 물론 영리기업까지 가세한 급격한 시장화의 추세 속에서 사회복지조직에게 임파워먼트는 더욱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조직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할 수 있으려면 관리자 혹은 슈퍼바이저의 조언이나 허락 없이도 능동적으로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지닌 사회복지사가 필요하며, 임파워먼트는 이러한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데 기여하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즉 사람들의 문제해결 및 문제처리 능력을 향상시키고 그들의 환경에 대한 그들 스스로의 통제권을 갖게 하기 위해 개입활동을 전개하는 조직인 사회복지기관을 대상으로 해서 그 구성원인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를 연구하는 것은 클라이언트 임파워먼트 고양의 측면[3]과 기관 서비스의 효과성 제고 측면[4][5]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Y. Hasenfeld, Human Service Organization,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Hall, 1983. 

  2. 강철희, 윤민화,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41권, pp.7-42, 2000. 

  3. L. Guiterrez, L. GlenMaye, and K. DeLois, "Organizational Context of Empowerment Practice: Implications of Social Worker Administration," Social Work, Vol.40, No.2, pp.83-97, 1995. 

  4. N. B. Guterman and D. Bargal, "Social Worker's Perceptions of Their Power and Service Outcomes,"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Vol.40, No.2, pp.1-20, 1996. 

  5. W. Shera and J. Page, "Creating more effective human service organizations through strategies of empowerment,"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Vol.19, No.4, pp.1-15, 1995. 

  6. 황성철, "임파워먼트(Empowerment)모델과 사회 복지조직 관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6권, pp.65-90, 2002. 

  7. M. Burish, "In Search of Theory: Some Ruminations on the Nature and Burnout," 75-93. in Professional Burnout: Recent Developments in theory and Research, edited by W. B. Schaufeli, C. Maslach, and T. Marek, Washing, D. C.: Taylor and Francis, 1993. 

  8. M. P. Leither and K. A. Meechan, "Role Structure and Burnout in the Field of Human Services," The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Vol.22, No.1, pp.47-52, 1996. 

  9. 이종국, 공지현, 이기원, 장화순, 이봉원, "정신보건에 종사하는 인력들의 소진(Burnout)의 현황과 대책", 용인정신의학보, 제8권, 제1호, pp.25-43, 2001. 

  10.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정책조사팀, 한국사회복지 근로환경백서, 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07. 

  11. J. Broncker, Self-Esteem at Work: Research, Theory and Practice, Lexington, MA: Lexington Books, 1988. 

  12. G. M. Spreitzer, "Ph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8, No.5, pp.1442-1465, 1995. 

  13. K. W. Thomas and B. A. Velthouse, "Congitive Elements of Empowerment: An Interpretive model of Intrinsic task Motiv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5, No.4, pp.666-681, 1990. 

  14. P. Block, The Empowerment Manager, San Francisco: Jossey-Bass, 1987. 

  15. J. A. Conger and R. N. Kanungo, "The Empowerment Process: Intergrating Theory and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3, pp.471-482, 1988. 

  16. D. Clutterbuck, The Power of Empowerment, Kogan Page, 1994. 

  17. J. F. Vogt and K. L. Murrell, Empowerment in Organization: How to Spark Exceptional Performance, Pteitter company, 1990. 

  18. 황성철, "임파워먼트(Empowerment)모델과 사회복지조직 관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6호, pp.65-90, 2002. 

  19. 강영걸, "사회복지조직과 임파워먼트", 인력개발연구, 제5권, 제2호, pp.100-116, 2003. 

  20. 박시종, "사회복지실천에서 권력주체화 이론의 방법론적 통합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49집, pp.34-61, 2001. 

  21. 임창희, 김영천, "임파워먼트와 절차공정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상사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적자원개발연구, 제5권, 제1호, pp.25-53, 2003. 

  22. R. Boren, "Don't delegate-empower," Supervisory Management, Vol.39, No.10, pp.234-251, 1994. 

  23. O. Harari, "Stop empowering your people," Small Business Reports, Vol.19, pp.53-55, 1994. 

  24. L. R. Rothstein, "The empowerment effort that came undone," Havard Business Review, Vol.73, pp.20-31, 1995. 

  25. M. Zimmerman, "Toward a Theory of Learned Hopefulness: a Structural Model Analysis of Participation and Empowerment,"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Vol.24, No.1, pp.71-86, 1990. 

  26. 장막숙, 장효강, 정용모, "물리치료사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몰입,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9호, pp.293-301, 2010. 

  27. C. Maslach, "Burnout"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pp.19-32 in Professional Burnout: Recent Developments in Theory and Research, edited by Schaufeli et al., Washington, D.C.: Taylor and Francis, 1993. 

  28. 이명신, "사회복지사의 소진과정(Burnout Process) 모델; 직업관련 스트레스 요인, 직무스트레스와 전문직효능성에 대한 소진 경로분석", 한국사회복지학, 제56권, 제4호, pp.5-34, 2004. 

  29. 남택영, 김헌영, "호텔종사원의 소진현상이 서비스 제공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0호, pp.368-377, 2009. 

  30. C. Maslach and S. E. Jackson, "Burnout in Health Professions: a Social Psychological Analysis," pp.227-251. in Social Psychological of Health and Illness, edited by Sander, G. S., Suls, J.,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1982. 

  31. 최명민, 현진희, 전혜성, "의료사회복지사를 소진으로부터 보호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한국사회복지학, 제57권, 제4호, pp.343-370, 2005. 

  32. L. Flynn, C. Thomas-Hawkins, and S. P. Clarke, "Organizational traits, care processes, and burnout among chronic hemodialysis nurse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Vol.31, No.5, pp.569-582, 2009. 

  33. C. Klersy, A. Callegar, V. Martinelli, V. Vizzardi, C. Navino, and F. Malerti, "Burnout in health care providers of dialysis service in Northern Italy-.A multicentre study," Nephrology Dialysis and Transplantation, Vol.22, pp.2283-2290, 2009. 

  34. L. Poghosyan, Cross-national exploration of nurse burnout: Predictors and consequences in eight countrie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08. 

  35. H. K. Laschinger, M. Leiter, A. Day, and P. Gilin, "Workplace empowerment, incivility, and burnout: Impact on staff nurse recruitment and retention outcome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Vol.17, pp.302-311, 2009. 

  36. D. T. Hall, "A Theoretical Model of Career Subidentity Development in Organizational Setting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Vol.6, pp.50-76, 1971. 

  37. G. J. Blau, "The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Career Commitment,"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Vol.58, No.4, pp.277-288, 1985. 

  38. S. M. Colarelli and R. C. Bishop, "Career Commitment : Functions, Correlates, and Management," Group & Organizational Studies, Vol.15, pp.158-176, 1990. 

  39. K. D. Carson and A. G. Bedeian., "Career Commitment: Construction of a Measurement and Examination of its Psychometric Properti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44, pp.237-262, 1994. 

  40. 이기은, 최순재, 박경규, "경력몰입의 결정요인과 효과에 관한 연구", 인사.조직연구, 제9권, 제2집, pp.177-214, 2001. 

  41. J. C. McEloy, P. C. Morrow, M. L. Power, and Z. Iqbal, "Commitment and Insurance Agents' Job Perceptions, Attitudes, and Performance," Journal of Risk and Insurance, Vol.60, No.3, pp.363-384, 1993. 

  42. 류기형, 강종수, "사회복지사의 경력몰입 결정요인 및 직무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회복지학, 제32집, pp.185-206, 2007. 

  43. 장재윤, 연구개발 전문가의 조직적응: 조직몰입 및 전문분야몰입,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44. S. Aryee and K. Tan, "Antecedents and Outcomes of Career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40, pp.288-305, 1992. 

  45. 강종수, "사회복지사의 근로몰입 유형 상호관계와 이탈의도에 미치는 효과 비교", 사회복지연구, 제37호, pp.267-294, 2008. 

  46. 김소정, "일선종사자의 전문직 자율성, 자기효능감, 집권화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제34호, pp.157-179, 2007. 

  47. 황선영, 박경숙,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개인적 특성, 직무환경특성, 전문성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30집, pp.339-369, 2007. 

  48. 최희경, "노인 돌봄 종사자의 소진 결정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제28권, 제1호, pp.157-176, 2008. 

  49. 이영미, 성규탁, "우리나라 사회사업가들의 소진(burnout)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18집, pp.25-60,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