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FMEA 기법을 활용한 공동주택 골조공사의 건설실패 핵심관리요인 분석
An Analysis of Critical Management Factors for Construction Failure on the Apartment Structural Framework using FMEA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3 no.3, 2012년, pp.78 - 88  

오치돈 (중앙대학교 건축학과) ,  박찬식 (중앙대학교 건축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의 건설실패 관련 연구는 체계화된 실패정보 분류체계 및 실패정보의 활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건설현장의 한정된 관리자가 건설실패를 유발하는 다양한 원인에 대한 예방대책을 수립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건설실패 예방활동이 이루지기 위해서는 많은 실패원인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통해 우선순위를 정하여 효율적인 예방대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정량적인 평가를 통해 실패를 유발하는 핵심관리요인을 도출 할 수 있도록 FMEA(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기법을 활용한 건설실패 핵심관리요인 선정방법을 제시하고, 공동주택 골조공사를 대상으로 핵심관리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FMEA 기법의 위험도를 실패 위험성과 예방성으로 구분하여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핵심관리요인 평가방법은 건설실패의 사전예방대책을 효율적으로 수립하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유사한 연구를 통해 프로젝트 수행 단계별 혹은 다양한 시설 및 공종에 대한 핵심관리요인을 도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evious construction failure researches were focused on the utilization plan based on failure information and development of failure classification. However, it has limitation to set up the plan for prevention of construction failure due to the lack of the number of on-site staffs. In order to pre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FMEA 기법은 현장 엔지니어들의 직접적인 경험을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기법은 주로 제조공정에서 고객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데 걸림돌이 될 수 있는 고장(불량)의 형태를 모두 명시하여 영향도를 평가하고, 특정한 원인에 대한 위험요소를 추정하여 고장 발생의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관리방법이다.
  • 국내에서 수행된 기존 건설실패 관련 연구와 정량적 평가 관련 연구의 고찰을 통해 기존연구에서 제시 및 활용된 건설실패 발생의 원인과 정량적 평가기법에 대해 파악한다.
  • 발생도는 실패의 발생빈도를 의미하며, 심각도는 실패가 발생했을 경우의 영향(치명)정도를, 그리고 검출도는 발생된 결함을 발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의미한다. 그러나, 건설실패를 유발하는 핵심관리 요인의 선정 목적이 발생된 실패의 발견 가능성을 파악하기보다, 빈도와 영향도를 고려한다는 측면에서 검출도를 평가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어 이를 제외하고자 한다.
  • 기존연구 고찰을 통해 선정한 정량적 평가기법인 FMEA 기법에 대해 서술하고, 건설실패 핵심관리요인 선정방법에 대해 제시한다. 또한, 정량적 평가를 위해 본 연구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용어에 대해 설명하고, 정량적 수치의 산출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림 2와 같이, 위험성을‘실패발생 가능성(발생빈도)’과‘실패강도(영향도)’로 평가하고, 이와 상충되는 의미의 실패 예방성을‘실패예방 용이성’과‘실패예방 효과’로 구분하여 정량적 평가를 실시하고자 한다.
  • 기존연구 고찰을 통해 선정한 정량적 평가기법인 FMEA 기법에 대해 서술하고, 건설실패 핵심관리요인 선정방법에 대해 제시한다. 또한, 정량적 평가를 위해 본 연구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용어에 대해 설명하고, 정량적 수치의 산출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 설문내용은 실패요인에 대해 본사 근무자와 현장 관리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위험성과 예방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현재 국내 건설현장에 근로하는 관리자가 건설실패에 대한 인식이 다소 부족하다고 판단되어 건설실패에 대한 개념과 다양한 실패원인에 내포되어 있는 의미를 설명하여 골조공사에서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실패원인에 대해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위험성과 예방성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커트(Likert) 7점 척도를 활용하였다.
  • 반면, FMEA 기법은 시스템의 구성요소인 프로세스 각각의 요소에서 실패(Failure)가 발생했을 경우 전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또는 심각성을 평가하는 기법이다(Stamatis, 1997). 본 연구는 건설실패를 유발하는 각각의 요인이 계층적인 관계보다 실패가 발생했을 경우 전체 프로젝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하여 FMEA 기법을 활용한 핵심관리요인 선정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식 1)과 (식 2)의 산출식을 활용하여 실패 위험성 및 예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우선, 건설현장의 현장관리자를 대상으로 실패발생 가능성(Fd)과 실패강도(Fi)를 평가하도록한 후, 두 요인을 조합한 실패 위험성(CFR)을 산출한다.
  • 따라서, 효율적인 건설실패 예방활동이 이루지기 위해서는 많은 실패원인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통해 우선순위를 정하여 효율적인 예방대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건설실패를 유발하는 다양한 요인들의 정량적 평가를 통해 핵심관리요인을 선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활용한 공동주택 골조공사의 핵심관리요인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연구에서 이용한 정량적 평가기법 중 FMEA 기법을 활용한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김진대(2005)의 연구에서 건설현장에서의 실패발생 원인으로 제시한 조직적 원인, 현장원인, 기술적 원인에 포함된 세부요인을 보완하여 평가에 활용하고자 한다.2) 특히, 본 연구는 정량적 평가방법을 제시하고, 공동주택 골조공사를 대상으로 핵심관리요인을 분석하는 것으로 연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각각의 원인에 대한 구체적인 예방대책을 제시하는 것은 본 연구의 범위에서 제외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실패를 유발하는 다양한 원인에 대한 효율적 예방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량적 평가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활용한 공동주택 골조공사의 건설실패 핵심관리 요인을 분석하는 것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량적인 평가를 통해 실패를 유발하는 핵심관리요인을 도출하기 위한 기법은? 따라서, 효율적인 건설실패 예방활동이 이루지기 위해서는 많은 실패원인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통해 우선순위를 정하여 효율적인 예방대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정량적인 평가를 통해 실패를 유발하는 핵심관리요인을 도출 할 수 있도록 FMEA(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기법을 활용한 건설실패 핵심관리요인 선정방법을 제시하고, 공동주택 골조공사를 대상으로 핵심관리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FMEA 기법의 위험도를 실패 위험성과 예방성으로 구분하여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유형의 건설실패에 대한 모든 원인을 파악하는 것에 한계가 있는 이유는? 건설실패를 유발하는 많은 요인 중, 핵심적으로 관리가 필요한 요인을 선정하기 위해서는 과거 발생한 실패사례의 지속적인 축적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국내 건설기업은 기업의 이미지 손상 등 건설실패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어 실패정보공개를 기피하고 있다. 이로 인해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유형의 건설실패에 대한 모든 원인을 파악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건설실패의 90%는 어떤 과정에서 실패가 발생하는가? 건설실패는 단순히 하나의 기술적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원인에 의해 복합적으로 나타는 것이 일반적이다(전용석 2005). 특히, 건설실패의 90%는 기술적인 측면에서 발생하기보다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실패가 발생한다(FitzSimons 1985). 이는 새로운 공법과 기술, 시방서 등의 문제로 인한 것뿐만 아니라 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주체들 간의 역할과 설계 및 사용자재의 변경, 발주자의 요구사항 변경, 내∙외적으로 발생되는 정보에 대한 공유 미흡 등 조직적, 관리적 요인에 의해서도 기인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강인석.김창학.곽중민 (2001). "건설공사단계별 리스크 인자 중요도에 관한 현황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7권 제8 호, pp.103-110 

  2. 고성석.송혁.이한민 (2005)." 재해사례와 위험도 지수를 활용한 건축공사 안전정보 시스템 개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1권 제6호, pp.113-120 

  3. 김윤성(2002)." 건설업에서의 시공FMEA 적용 방안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정기학술발표대회논문집, pp.271-274 

  4. 김진대 (2005). 실패 매커니즘 분석을 활용한 건설실패 조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김호기 (2011). "U-City 사업 계획단계에서의 핵심 리스크 요인 도출."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2권 제4호, pp.139-148 

  6. 박용성.오치돈.전용석.박찬식(2008)." 사례기반추론을 이용한 웹 기반 건설실패사례 정보시스템."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9권 제6호, pp.257-267 

  7. 박찬식.전용석.신영환.장내천(2003)." 건설실패정보 분류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4권 제1 호, pp.97-105 

  8. 박창욱 (2007). 구조체 공사의 실패사례 분석을 통한 지속적인 시공 프로세스 개선방안,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유정호.송지원.김창덕 (2008). "FMEA를 활용한 중점안전관리 항목 도출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9권 제6호, pp.185-193 

  10. 신규호.김재준 (2002). "국내개발사업 사전기획단계에서의 효율적 리스크 관리를 위한 리스크 인자 중요도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3권 제2호, pp.75-86 

  11. 이현철.신석배.홍주현.고성석 (2009)." VE기반 공동주택 개발사업 리스크 평가에 관한 연구."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0권 제4호, pp.14-25 

  12. 이현철.이건.여상구.고성석 (2009). "위험도 기반 건설경영 리스크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0 권 제3호, pp.82-91 

  13. 장내천(2002). 건설실패 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전용석.김진대.박찬식 (2005). "건설실패의 발생원인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5권 제1 호, pp.507-510 

  15. 전용석.박찬식 (2005)." 건설실패정보를 활용한 프로세스의 지속적 개선모델의 개념적 틀에 관한 연구."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제6권 제1호, pp.195-204 

  16. 정지덕 (2011), FMEA 기법을 이용한 병원프로젝트 설계변경 주요 요인 위험도 분석,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홍영탁(2004)," FMEA를 이용한 초고층건축시공의 공기영향요인 평가",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0권 제10호, pp.183-192 

  18. Bell, Glenn R (1985). "Failure Information Needs in Civil Engineering." Reducing Failures of Engineered Facilities, ASCE, pp.44-65 

  19. Carper, Kenneth L (1987). "Structural Failures during Construction."Journal of Performance of Construction Facilities, ASCE, 1(3), pp.132-144 

  20. FitzSimon, Neal (1985). "Notes on Statistics of Failures of Constructed Works." Reducing Failures of Engineered Facilities, ASCE, pp.11-13, 1985 

  21. FitzSimon, Neal (1986). "Facing Failures: Alleged or Actual." Management Lessons from Engineering Failures, ASCE, pp.1-5 

  22. Hadpriono, Fabin (1985). "Analysis of Events in Recent Structural Failures."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ASCE, 111(7), pp.1468-1481 

  23. Kaminetzky, D (1991). Design and Construction Failures- Lessons from Forensic Investigations, McGraw-Hill 

  24. Stamatis, D. H. (1997). TQM Engineering Handbook, McGraw-Hill, pp.590-600 

  25. Thornton, C, H (1985). "Failures Statistics Categorized by Cause and Generic Class." Reducing Failures of Engineered Facilities, ASCE, pp. 14-23 

  26. The Technical Council on Forensic Engineering of ASCE (1989). Guidelines for Failure Investigation, ASCE 

  27. Wardhana, Fabin (2003)." Study of Recent Building Failures in the Unite States."Joural of Performance of Constructed Facilites, ASCE, 17(3), pp.151-158 

  28. 중앙대학교 건설실패연구회(http://www.contil.org)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