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실내 광조건이 조록나무, 구골나무 및 호자나무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door Light Intensity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Distylium$ $racemosum$, $Osmanthus$ $heterophyllus$ and $Damnacanthus$ $indicus$ 원문보기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v.21 no.1, 2012년, pp.66 - 73  

송은영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  김성철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  전승종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  임찬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  김미선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  김천환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  노나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조록나무, 구골나무, 호자나무의 실내 광도차에 따른 생육특성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광도처리조합을 3처리구를 만들어 환경 조절 생육상에서 조사하였다. 사용된 광원은 형광등이고, 광 처리를 각각 100lux, 1,000lux, 2,500lux로 달리하여 6개월간 생육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1. 조록나무는 저광도 100lux에서 처리 2개월 후 생존율이 약 30%로 식물체 대부분이 고사하였고, 1,000lux 이상부터는 양호한 생육 및 생장을 보였는데 처리 6개월까지도 생존율이 100%로 높게 유지되었다. 초장, 엽수, 분지수, 엽장, 엽폭은 광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고광도인 2,500lux에서 가장 우세한 생육 및 생장을 보였다. 2. 구골나무는 저광도인 100lux에서는 처리 2개월 이후 생존이 불가능하였고, 1,000lux와 2,500lux에서는 처리 6개월까지도 생존율이 100%로 높게 생존하였다. 하지만 1,000lux에서는 초장의 신장이 거의 정지되었고 엽수의 증가도 거의 중단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고광도인 2,500lux에서는 초장의 신장 및 엽수의 증가가 월등히 많아 가장 원활한 생육 및 생장을 보였다. 3. 호자나무는 저광도인 100lux에서는 낙엽현상이 심해 식물 전체가 고사하는 현상을 보였으나 1,000lux이상부터는 원활한 생육 및 생장을 보였다. 1,000lux에서 엽록소 함량이 약간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고, 엽장과 엽폭이 약간 넓어지는 경향은 보였다. 호자나무는 1,000lux의 낮은 광도에서도 생육이 양호하고 관상가치가 유지되어 실내식물로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e new indoor plant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ght intensity on the growth of $Distylium$ $racemosum$, $Osmanthus$ $heterophyllus$ and $Damnacanthus$ $indicus$ under 100 lux, 1,000 lux and 2...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7월에 흰색의 꽃이 잎겨드랑이에 1~2송이씩 달리고 열매는 9월경에 붉은 색으로 익으며 다음해 2월까지 남아 있어(Kim, 1994; Lee, 2006) 실내식물로서 개발가치가 높은 식물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내 광조건에 따른 조록나무, 구골나무 및 호자나무 3종의 생육 변화를 조사함으로서 실내도입을 위한 최소 및 최적의 광조건을 제시함은 물론 실내식물로써 활용성을 높이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자나무가 실내식물로서 개발자치가 높은 이유는? 호자나무(Damnacanthus indicus)는 일본, 중국에 분포하고 있으며 제주도 및 홍도 등 산지 나무 그늘에 자라는 상록관목으로 잎은 넓은 난형으로 광택이 나고 끝에 짧은 돌기가 있다. 5~7월에 흰색의 꽃이 잎겨드랑이에 1~2송이씩 달리고 열매는 9월경에 붉은 색으로 익으며 다음해 2월까지 남아 있어(Kim, 1994; Lee, 2006) 실내식물로서 개발가치가 높은 식물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내 광조건에 따른 조록나무, 구골나무 및 호자나무 3종의 생육 변화를 조사함으로서 실내도입을 위한 최소 및 최적의 광조건을 제시함은 물론 실내식물로써 활용성을 높이고자 수행하였다.
자생 조록나무란 무엇인가? 대부분의 식물에 대한 광 관련 실험 중 차광시험이 많은 편이나 실내식물로 활용함에 있어서 특히 우선적으로 한계 광도를 구명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자생 조록나무(Distylium racemosum)는 산기슭의 낮은 지대에 자라는 상록성 교목으로 잎은 난형, 타원형으로 어린 줄기와 어린 잎에는 별모양의 털이 있고, 4~5월경에 붉은색으로 꽃이 피며 일본, 대만에 분포하고 있고 제주도 및 남부 해안지방에 자라며 정원수로 이용되고 있다. 물푸레나무과의 구골나무(Osmanthus heterophyllus)는 일본, 타이완, 제주도 및 남부 해안 지대에 자라는 상록관목으로 잎은 난형, 타원형으로 두꺼우며 잎 앞면은 짙은 녹색이고 광택이 나며, 뒷면은 연한 녹색 또는 노란빛을 띤 녹색으로 가장자리는 밋밋하지만 어린 나무와 어린 순의 잎은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가시가 있는 치아상의 돌기가 있으며 10~11월에 흰색 꽃이 피며 자흑색 열매가 맺히는 식물로 사계절 관상가치가 우수한 식물이다.
분화 수명에 미치는 실내 환경 요인은? , 2003). 분화 수명에 미치는 실내 환경 요인으로는 광, 온도, 수분, 에틸렌 등이 있다(Evensen and Olson, 1992; Fjeld, 1991; Serek, 1991; Serek and Reid, 1993, 2000; Nell, 1986). 그 중에서 출하 후 실내의 광과 온도는 식물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실내 관상기간 동안 온도보다는 광이 품질에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S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n, S.E., K.J. Bang, and J.H. Sul. 1995. A Study on Korean Native Plants for Indoor Landscape Use-With Special Reference to Native Woody Plant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3(1):113-121(in Korean). 

  2. Bang, K.J. and J.S. Lee. 1995. Studies on Adaptability of Native Plants for Indoor Garden-Growth Behaviors under Different Light Conditions. Sangmyung Women's University 3:79-90(in Korean). 

  3. Bang, K.J. and J.H. Ju. 2004. Effects of Light Intensity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Net Photosynthesis of Piper kadzura Native to Korea for Indoor Plant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2(4):1-6(in Korean). 

  4. Berry, J.A. 1975. Adaption of Photosynthetic Processes to Stress. Science 188:644-650. 

  5. Boardman, N.K. 1977. Comparative photosynthesis of sun and shade plants. Ann. Rev. Plant Physiol. 28:355-377. 

  6. Choi, K.O. and S.W. Lee. 2005. Growth Responses and Introduction Plan of Interior Landscape Plants Under Light Intensity of Fluorescent Light and Sunligh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3(4):119-128(in Korean). 

  7. Cooper, C.S. and M. Qualls. 1967. Morphology and Chlorophyll Content of Shade and Sun Leaves of Two Lengumes. Crop Sci. 7:672-673. 

  8. Evensen, K.B. and K.M. Olson. 1992. Forcing Temperature Affects Postproduction Quality, Dark Respiration, and Ethylene Responsiveness of Pelargonium ${\times}$ domesticum. J. Amer. Soc. Hort. Sci. 117:596-599. 

  9. Falls, B.S., A.J. Lewis, and J.A. Barden. 1982. Light Acclimatization Potential of Ficus banjamina. J. Amer. Soc. Hort. Sci. 107(5):762-766. 

  10. Fjeld, T. 1991. Effects of silver thiosulfate, ethephon, temperature, and irradiance level on keeping quality of christmas begonia (Begonia ${\times}$ cheimantha Everett). Gartenbauwissenschaft. 56:66-70. 

  11. Kwack, B.H. and J.S. Lee. 1977. Growth Ecology of Certain Evergreen Garden Plants for Landscaping Under Different Light Condition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16-21(in Korean). 

  12. Kim, Y.J. and S.J. Lee. 1978. Studies on the Exploitation of Shade Tolerant Ground-cover Plants(1). Jour. Kor. Soc. Hort. Sci. 19:167-171(in Korean). 

  13. Kim, C.S., J.G. Joh, M.O. Moon, G.P. Song, S.Y. Kim, J. Kim, D.S. Kim, J.H. Tho, and K.M. Song. 2008. Rare plants of Jeju Island. pp. 16.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in Korean). 

  14. Kim, T.W. 1994. The Woody Plants of Korea. Kyohak Printing & Publishing. Co. Ltd.(in Korean). 

  15. Lee, C.Y., Y. Tsuno, J. Nakano, and T. Yamaguchi. 1995. Ecophysiological Responces to Weak Light Condition in Soybean. I Effects of Shading Condition Treatment at Different Growth Stage on Characteristics of Plant and Photosynthesis. Japan Rep. Chugoku Br. Crop Sci. 36:41-49. 

  16. Lee, J.S. 1989. Living-horticulture. University of Seoul. pp. 148-190(in Korean). 

  17. Lee, J.S. and B.H. Kwack. 1974. Growth Ecology of Certain Deciduous and Herbaceous Garden Plants for Landscaping under Different Light Condition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13(in Korean). 

  18.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Kyohak Printing & Publishing. Co. Ltd.(in Korean). 

  19. Nell, T.A. 1986. Production Light Level Effects on Light Compensation Point, Carbon Exchange Rate, and Post-production Longevity of poinsettias. Acta Hort. 181:257-262. 

  20. Serek, M. 1991. Effects of Pre-harvest Supplementary Irradiance on Decorative Value and Ethylene Evolution of Campanula carpatica 'Karl Foerster' Flowers. Sci. Hort. 48:341-347. 

  21. Serek, M. and M.S. Reid. 1993. Anti-ethylene Treatments for Potted Christmas Cactus-efficacy of Inhibitors of Ethylene Action and Biosynthesis. HortScience 28:1180-1181. 

  22. Serek, M. and M.S. Reid. 2000. Ethylene and Postharvest Performance of Potted Kalanchoe. Postharvest Biol. Technol. 18:43-48. 

  23. Simpson, D.J. and T.H. Lee. 1975. Plastoglobules of Leaf Chloroplasts of Two Cultivars of Capsicum annuum. Cytobios 15:139-147. 

  24. Son, K.V., Y.J. Kwon, and S.Y. Park. 2003. Effects of Indoor Light and Temperature on Postproduction Quality of Potted Flowering Plant. Begonia ${\times}$ hiemalis 'Barkos'. J. Kor. Soc. Hort. Sci. 44:729-733(in Korean). 

  25. Suh, J.T., W.B. Kim, S.Y. Ryu, K.S. Choi, and B.H. Han. 1994. Growth and Yield of Pimpinella brachycarpa by Various Shading Net Treatment Under Rainshielding Conditions in Alpine Area. Rda J. Agri. Sci. 36:434-439(in Korean). 

  26. Suh, Y.N., J.S. Lee, C.K. Sang, and I.Z. Chi. 1991. Studies on the Status of Cultivation and Utility in Foliage Plant. J. Kor. Soc. Hort. Sci. 32(4):533-544(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