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각장애 아동의 우울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수화수준의 영향
Effects of Mothers' Nurturing Attitude and Mothers' Sign Language Level on the Depression of Hearing Impairment Children 원문보기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v.23 no.1, 2012년, pp.41 - 50  

최영희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  조문교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depression of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with relation to their mothers' nurturing attitude and sign language level. The subjects were 131 hearing impaired children aged from 9 to 16 years and their mothers, who had no hearing impairments. The child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건청인 어머니의 청각장애 아동의 우울을 예측하고자 하였으며, 연구 결과 아동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어머니가 청각장애 아동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수화를 배우는 것이 아동의 낮은 우울과 상관될 것이라는 예측은 검증되지 못하였다.
  • 본 연구는 장애가 없는 건청인 어머니의 청각장애 아동의 우울을 이해하고자 실시하였다. 서울과 경기 일대의 청각장애 학교를 다니고 있는 9세부터 16세까지의 아동 131 명과 그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아동의 우울이 아동의 성, 연령, 다니고 있는 학교 형태, 그리고 어머니의 수화수준, 자녀와의 의사소통 방법, 양육태도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 2002). 본 연구에서는 내면적 어려움인 우울에 대해서는 장애의 정도에 따라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연구결과의 제시에 앞 서 본 연구에서 조사된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대상 아동들이 어머니와 의사소통하는 방식과 어머니의 수화수준은 Table 1에, 아동의 우울과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Table 2에 제시하였다.
  • 이상과 같은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들을 제기하여 청각장애 아동의 우울성향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 한편 일반 아동의 경우 우울 성향은 여아가 남아보다 높고 초등학생보다 고등학생이 높아 나이가 들수록 우울성향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가(KYCI 1999)하면 성차와 학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보고(Cho & Lee 1990)도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 아동의 경우에 우울 성향에서 성차와 연령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청각장애 정도가 심하여 특수학교에 다니는 농학생이 그 정도가 덜하여 일반학교에 다니는 난청학생보다 신경증과 반항, 공격에서 행동문제가 심하다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Lee et al.
  • 또한 일반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문제행동 연구(Oh & Lee 1990)에서 우울 증상이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고, 아동기에 경험하게 되는 여러 정서 중에서 우울한 기분이 가장 보편적이며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증상(Choi & Lee 1998)이라는 점에서도 청각장애 아동의 우울성향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청각장애 아동의 우울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어떠한 관계를 가지며 어머니와 의사소통하는 방법과는 어떠한 상관이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청각장애 아동의 우울 성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을 찾을 수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1. 아동 관련 변인에 따라 청각장애 아동의 우울정도에 차이가 있는가?

  • 2. 어머니 관련 변인에 따라 청각장애 아동의 우울정도에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각장애(hearing impairment)란 무엇인가? 하지만 아이가 예상하지 못한 장애를 갖고 있거나 성장 과정 중에 질병이나 사고 등의 이유로 장애를 갖게 되면 부모는 매우 큰 충격과 좌절을 경험하게 된다. 청각장애(hearing impairment)란 청각기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손상을 입어 음성언어를 비롯하여 소리를 듣는 능력에 결함을 지니게 됨으로써 일상적인 의사소통 기능이 제한되는 것(Son 2003)으로 농과 난청으로 구분된다. 농은 보청기를 사용하든 그렇지 않든 간에 청각을 통한 언어적 정보의 성공적 절차가 불가능한 것이고, 난청은 일반적으로 청각을 통한 언어적 정보의 활용이 가능한 것이다(Won & Rhee 1991).
청각장애 아동의 가장 큰 특징은 무엇인가? 농은 보청기를 사용하든 그렇지 않든 간에 청각을 통한 언어적 정보의 성공적 절차가 불가능한 것이고, 난청은 일반적으로 청각을 통한 언어적 정보의 활용이 가능한 것이다(Won & Rhee 1991). 청각장애 아동의 가장 큰 특징은 청각능력의 결함으로 소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듣지 못하거나 지각하지 못하는 것이다. 의학적인 방법이나 특수훈련 등의 특별한 조치가 있지 않고서는 음성언어의 자연스러운 발달이 이루어지기 어렵고 이로 인해 사회, 정서적으로 적응하는데 여러 가지 어려움이 따른다.
건청 어머니가 청각장애 아동과의 의사소통에 가장 큰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배경은? 그러나 건청 부모는 청각장애 아동과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 것에 대해 무력감을 느끼고 의사소통 방법을 배우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Oh와 Whang(2008)은 청각장애 아동을 둔 건청 부모에게 자녀와 의사소통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요구도 조사를 한 결과 자녀와의 의사소통 방법과 언어교육을 배우고 싶어하는 정도가 45.8%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자녀와 상호작용하는 방법(27.7%)이라고 보고하였다. 이를 보면 건청 어머니는 청각장애 아동과의 의사소통에 가장 큰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ngold A, Rutter M(1992) Effects of age and pubertal stratus on depression in a large clinical sample.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Vol II. New York: John Wiley. 

  2. Bae DR(2001) A study of attitudes toward sign language in deaf students, teachers and deaf students' parent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of Busan University, Master's Thesis. 

  3. Beck AT(1967)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New York: Harper & Row. 

  4. Cho SC(1993) Depressive disorde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n J Psychopharmacol 4(2), 116-129. 

  5. Cho SC, Lee YS(1990) Development of Korean form of the Kovac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J Korean Neuropsychiatry Assoc 29 (4), 943-956. 

  6. Choi SK(1997) Psychology of hearing impairment children. Seoul: Special Education Books. 

  7. Choi WS, Lee KS(1998) A study on the parent-child bonding relationship and depression of the university students. Saemaul Community Development of Youngnam University 22(1). 67-83. 

  8. Kim JK, Kim JY, Kim NJ(2007) Anxiety, depression and school adapt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J Educ Special Children 9(4), 231-247. 

  9. Kim YS(1991) Comparison study of marital satisfaction and nurturing attitude between mothers of hearing impairment children and mothers of normal children. Sungshin Women's University, Master's Thesis. 

  10. Kovacs M(1983)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A self-rated depression scale for school-aged youngsters.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Pittsburgh. 

  11. Kwon OS(1981) A study of personality traits of hearing impairments. Chungang University, Master's Thesis. 

  12. KYCI(1999) Depression of adolescents. Report of Youth Counseling. 

  13. Lee ES, Yoo HJ, Seok DI(2005)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hearing impaired young adult and normals with CDI. J Special Educ: Theory & Pract 6(3), 213-227. 

  14. Lee JM, Ahn SW, Choi SB(2002) Comparative research on the behavioral features of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and hearing students. J Educ Special Children 4(2), 155-177. 

  15. Lee KS(1980) Parents' role of hearing impairment children. J Communication Disord 3(1), 1. 

  16. Levin E(1981) The ecology of early deafness: Guides to fashioning environments and psychological assessment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7. Lewinsohn PM, Clarke GN, Seeley JR, Rohde P (1994) Major depression in community adolescents: Age at onset, episode duration, and time to recurrence. Am J Academy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33, 809-818. 

  18. Lim SH(1988)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the children and children's self-concept and social adjustmen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Master's Thesis. 

  19. Meadow KP(1976)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 of deaf persons, J Rehabilitation Deaf 9, 1-12. 

  20. Moon BO(2000) The differences in hearing impaired students'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and socialemotional satisfaction by parental hearing status. Dankuk University, Master's Thesis. 

  21. Oh HJ, Whang DS(2008) A study on the contents of parents support-home based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 communication skills of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s. J Educ Special Children 10 (1), 1-21. 

  22. Oh KJ, Lee H(1990) Empirically derived syndromes of Korean shildren and adolescents I. Korean J Psychology 9(1), 33-55. 

  23. Oh SS, Lee JS(1982) Relationship between child's perception of parents' nurturing type and child's affective trait. Seoul: Korean Institute of Behavior Science. 

  24. Park JR(2003) A study on the effect of sign language used level to mental health of Korean deaf adolescents. The Graduate School of Rehabilitation Services, Korea Nazarene University, Master's Thesis. 

  25. Shim HK(2005)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depression and acknowledged friend relationship, caring attitude of teacher and parent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Master's Thesis. 

  26. Sim HO(1997) Factors influencing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 behaviors in late elementary school children : Depression and Antisocial Behavior. J Child Develop 18(1), 39-52. 

  27. Son HJ(2003) A study on the factors that affect on th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the hearing handicapped student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Master's Thesis. 

  28. Won YJ, Rhee KT(1991) A theoretical study on language acquisition possibility of the deaf children. J Communication Disord 14(1), 11-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