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상자갈 비산에 의한 경량 대차프레임 적용 유리/에폭시 적층 복합재의 충격손상 및 충격 후 잔류압축강도 평가
Evaluation of Impact Damage and Residual Compression Strength after Impact of Glass/Epoxy Laminate Composites for Lightweight Bogie Frame induced by Ballast-Flying Phenomena 원문보기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15 no.2 = no.69, 2012년, pp.109 - 115  

구준성 (한밭대학교 기계설계공학과) ,  신광복 (한밭대학교 기계공학과) ,  김정석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신교통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허본 논문에서는 도상자갈 비산에 의한 GFRP 복합재 대차프레임의 구조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대차프레임의 스킨부를 구성하는 유리섬유/에폭시 적층 복합재충격시험과 충격 후 잔류압축시험을 수행하였다. 충격시험은 충격시험장비를 사용하여 5J, 10J, 그리고 20J의 충격에너지에 대해 수행하였고, 선로상의 도상자갈 비산을 모사하기 위해 구형, 육면체형, 그리고 원뿔형의 충격체를 설계하여 충격시험을 수행하였다. 충격손상을 갖는 적층 복합재의 잔류압축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충격 후 압축시험을 수행하여 충격에 의한 재료의 물성저하 여부를 판단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충격에너지가 증가함에 따라 적층 복합재의 충격손상영역과 압축강도저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원뿔형 형상의 도상자갈이 다른 형상에 비해 재료의 손상을 가중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structural degradation of a GFRP composite bogie frame due to ballast-flying phenomena, the impact test and residual compression test after impact was conducted for glass fiber/epoxy 4-harness satin woven laminate composites applied to skin part of a bogie frame.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상자갈 비산에 의한 복합재 적용 대차프레임 스킨부의 충격손상이 구조적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설계의 타당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실제 선로상에서 발생하는 도상자갈의 다양한 형상을 모사하기 위해 구형, 육면체형, 그리고 원뿔형의 충격체 형상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충격체에 의한 시편단위 충격시험을 통해 적층 복합재의 충격특성을 평가하였다[7].
  • 실제 선로상에서 발생하는 도상자갈의 다양한 형상을 모사하기 위해 구형, 육면체형, 그리고 원뿔형의 충격체 형상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충격체에 의한 시편단위 충격시험을 통해 적층 복합재의 충격특성을 평가하였다[7]. 또한, 충격 후 압축시험을 통해 충격손상을 갖는 적층 복합재의 잔류압축강도를 평가하여 대차프레임의 구조적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 데이터로 활용하고자 한다[8-10].
  • 본 연구에서는 경량 대차프레임의 스킨부를 구성하는 적층 복합재에 대한 충격 특성 및 충격손상을 갖는 적층 복합재의 잔류압축강도를 평가하였다. 다양한 형상을 갖는 도 상자갈에 의한 충격특성을 모사하기 위해 구형, 육면체형, 그리고 원뿔형의 충격체에 대한 충격시험 및 충격 후 압축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량 대차프레임은 무엇으로 구성되어있는가? 경량 대차프레임은 유리섬유/에폭시 4-매 주자직 적층 복합재(glass/epoxy 4-harness satin woven laminate composite) 와 PVC 폼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내부와 외부 면재에 적용된 유리섬유/에폭시 4-매 주자직 적층 복합재는 일방향 복합재에 비해 여러 방향에 대해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충격저항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운송수단의 경량화 및 연비향상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 됨에 따라 생겨난 변화는 무엇인가? 최근 국제유가의 상승 및 지구온난화 현상으로 인해 운송수단의 경량화 및 연비향상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사회적 비용과 이산화탄소 배출이 높은 자동차 위주의 도로교통시스템에서 높은 친환경성을 갖는 열차시스템으로 운송수단이 변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철도차량은 높은 수송 능력과 에너지 효율의 이점을 갖는 운송수단으로써 이러한 이점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설계단계부터 차량의 경량화가 필수사항으로 요구되고 있다[1].
적층 복합재의 장점은? 이때, 내부와 외부 면재에 적용된 유리섬유/에폭시 4-매 주자직 적층 복합재는 일방향 복합재에 비해 여러 방향에 대해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충격저항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적층 복합재는 설계조건에 따라 적층 방향을 변경하여 구조물에서 요구되는 강성 및 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일체 성형기법의 적용으로 기존 금속재 대차프레임이 갖는 용접부의 물성 저하를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11]. 복합재 적용 대차프레임은 사이드 빔(side beam)과 크로스 빔(cross beam) 으로 구분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N.Y. Jung, S.B. Lee (1997) Light Weight by Application of Aluminum Honeycomb Sandwich Panels in End Door of Rolling Stock, Autumn Conference, Korean Society of Machine Tool Engineers, pp. 284-291. 

  2. K.W. Jeon, K.B. Shin, J.S. Kim (2011) An Evaluation of Fatigue Life and Strength of Lightweight Bogie Frame Made of Laminate Composites, The Korean Society Mechanical Engineers, 35(8), pp. 913-920. 

  3. H.Y. Ko, K.B. Shin, J.S. Kim (2010) A Study on Improving the Fatigue Life for a Woven Glass Fabric/Epoxy Laminate Composite Applied to Railway Vehicles, The Korean Society Mechanical Engineers, 34(2), pp. 203-209. 

  4. L. Maurin, J. Boussoir, S. Rougeault, M. Bugaud, P. Ferdinand, et al. (2002) FBG-based Smart Composite Bogie for Railway Applications, IEEE Conference, pp. 91-94. 

  5. J.S. Kim, S.H. Lee, H. J. Yoon, J.Y. Hwang, et al. (2011) Durability Evaluation of a Composite Bogie Frame, Spring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Mechanical Engineers, pp. 3-425. 

  6. H.B. Kwon, C.S. Park, H.M. Kang, D.H. Lee, et al. (2003) Wind tunnel experiment of ballast dispersion in railroad, Autumn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pp. 19-731. 

  7. J.H. Lee, D.S. Lee, J.S. Kim, K.Y. Yeom, et al. (2005) A Study on the Impact Characteristics of woven Carbon/Epoxy Laminates for the Hybrid Composite train Bodyshell, Autumn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Mechanical Engineers, pp. 1- 2728. 

  8. Mandar D. Kulkarni, Rahul Goel, N.K. Naik (2011) Effect of back pressure on impact and compression-after-impact characteristics of composites, Composite Structure, 93(2), pp. 944- 951. 

  9. Sandrine Petit, Christophe Bouvet, Alain Bergerot, Jean- Jacques Barrau (2007) Impact and compression after impact experimental study of a composite laminate with a cork thermal shield, Composites Science and Technology, 67, pp. 3286- 3299. 

  10. F. Aymerich, P. Priolo (2008) Characterization of fracture modes in stitched and unstitched cross-ply laminates subjected to low-velocity impact and compression after impact loading, International Journal of Impact Engineering, 35(7), pp. 591- 608. 

  11. K.W. Jeon, K.B. Shin, J.S. Kim (2010)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Fatigue Life and Strength of Lightweight Bogie Frame made of Glass Fiber/Epoxy 4-Harness Satin Woven Laminate Composite, Autumn Confer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pp. 388-388. 

  12. ASTM D7136 (2005) Standard Test Method for Measuring the Damage Resistance of a Fiber-Reinforced Polymer Matrix Composite to a Drop-Weight Impact. 

  13. J.H. Rho, Y.C. Ku, S.H. Yun, H.I. Park, H.B. Kwon, et al. (2009) Ballast Flying Probability Analysis for Ballast Types and Underbody Flow Condi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12(6), pp. 829-834. 

  14. Y.U. Suh, M.H. Jang, I.H. Choi, K.S. Woo, et al. (2009) Progressive Damage Behavior of Laminated Composites under Low Velocity Impact, Spring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Mechanical Engineers, pp. 9-600. 

  15. ASTM D7137 (2005) Standard Test Method for Compressive Residual Strength Properties of Damaged Polymer Matrix Composite Plates. 

  16. S.J. Lee, Y.K. Kim, I.W. Lee, J.S. Lee, et al. (2010) Building of Large Triaxial Testing Apparatus and Static Triaxial Testing for Railway Ballas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13(1), pp. 84-9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