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식습관,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건강행위가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ating habit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ealth behaviors on oral health related-quality of life in elderly person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9 no.2, 2012년, pp.179 - 189  

한정희 (혜전대학) ,  염영희 (중앙대학교 적십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ating habit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ealth behaviors on oral health related-quality of life in elders. Methods: The sample consisted of 246 people 65 years or older.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노인의 식습관, 일상생활수행능력과 건강행위가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과 관련된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노인의 식습관, 일상생활수행능력이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관련된 연구는 일부 이루어지고 있지만 노인의 건강행위와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찾아 볼 수 없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식습관, 일상 생활수행능력 및 건강행위가 노인의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의 식습관, 일상생활수행능력, 건강행위가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를 살펴본 후, 각 요인 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힘으로써 노인들의 구강건강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한 바는 아래와 같다.
  • 본 연구는 65세 이상의 농촌노인의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결과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상태, 현존 치아수, 건강행위로 파악되었다.
  • 본 연구는 노인과의 면담 시 너무 많은 시간이 소모되는 점을 감안하여 보건진료소의 각 진료소장에게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승낙을 얻은 후 자료 수집을 하였다. 본 설문지는 작성 전에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연구 참여 동의서를 받은 후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 본 연구는 노인의 식습관,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건강행위가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노인의 식습관, 일상생활수행능력, 건강행위 및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65세 이상의 농촌 노인의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본 연구의 결과는? 본 연구는 65세 이상의 농촌노인의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결과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상태, 현존 치아수, 건강행위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노인의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며, 현존 치아수를 유지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노인들이 지닌 다양한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대상자별, 특성별 건강프로그램 개발 및 그 효과를 높이기 위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수들을 고려하여 추후에 연구가 필요하고, 충남의 1개 군의 일부 노인을 대상으로 연구하였기 때문에 추후에 다른 농촌 지역과 비교 연구 또는 도시와 농촌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며 노인의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특성별 구강건강 프로그램 개발 및 그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Lee (2008)와 Woo 등(2010)의 연구에서 노인의 구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된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었는가? 외국의 경우 노인들의 구강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Burbank, Padula, & Nigg, 2000) 국내에서는 중요성에 비해 이에 관한 연구가 적게 수행되고 있다. 최근 Lee (2008)와 Woo, Seo와 Han (2010)가 노인의 구강관련 삶의 질을 조사하였는데, Lee (2008)의 연구에서는 구강상태가 건강할수록, 구강건강실천을 잘 할수록, 삶의 질이 높았으며 Woo 등(2010)의 연구에서는 구강상태가 건강할수록, 의치만족도가 높을수록,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이 높았다. 구강관련 삶의 질을 조사하지는 않았지만 Won (2003)의 연구 결과 노인의 구강상태, 식습관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이 구강건강과 관련이 있었다.
노인의 치아건강 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전 세계적으로 노인 인구의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Peterson & Yamamoto, 2005), 우리나라도 인구 고령화에 따라 치아건강 관리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특히 노인은 치아 상실이 많아 저작 능력이 저하됨으로써 음식의 선택 범위가 좁아지고 식사의 양과 질이 떨어져서 건강 유지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치아의 상실은 발음과 외모에 영향을 줌으로써 대인관계 및 원활한 사회생활에 제한을 주게 되어 사회적 소외감과 고립감을 촉진시킬 수 있다(Boretti, Bickel, & Geering, 1995; Park,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tchison, K. A., & Dolan, T. A. (1990). Development of the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Journal of Dental Education, 54, 680-687. 

  2. Bark, Y. J., Chung, H. K., Ahn, O. H., & Shin, H. W. (2004). The relationship of loneliness, health behavior and self-esteem in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6, 91-98. 

  3. Boretti, G., Bickel, M., & Geering, A. H. (1995). A review of masticatory ability and efficiency. Journal of Prosthetic Dentistry, 74, 400-403. 

  4. Burbank, P. M., Padula, C. A., & Nigg, C. R. (2000). Changing health behaviors of older adult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6(3), 26-33. 

  5. Choi, Y. H., & Kim, S. H. (1999).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health behavior practice of the aged.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19(1), 119-130. 

  6. Ekanayake, L., & Perera, I. (2004). The association between clinical oral health status and oral impacts experienced by older individuals in Sri Lanka. Journal of Oral Rehabilitation, 31, 831-836. 

  7. Hebling, E., & Pereira, A. C. (2007).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 critical appraisal of assessment tools used in elderly people. Gerontology, 24, 151-161. 

  8. Henshaw, M. M., & Calabrese, J. M. (2001). Oral health and nutrition in the elderly. Nutrition in Clinical Care. 4, 34-42. 

  9. Heydecke, G., Tedesco, L. A., Kowalski, C., & Inglehart, M. R. (2004). Complete denture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do coping styles matter?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32, 297-306. 

  10. Jang, B. J. (2003). A study of dental need and the utilization patterns in Korea of a rural a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1. Kim, N. H. (2003).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perceived oral health of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2.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1). 201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Retrieved September 24, 2011, from http://census.go.kr/hcensus/ui/html/data/data_020_010_Detail.jsp?p_bitmId60458&q_menu4&q_sub2&q_pageNo1&q_divALL 

  13. Lawton, M. P., Kleban, M. H., Rovine, M., Moss M., & Glicksman, A. (1989). Measuring caregiving appraisal. Journal of Gerontology, 44(3), 61-71. 

  14. Lee, E. K. (2011). OHIP-14 and EQ-5D of rural resi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5. Lee, K. R. (2009). Relationship between denture satisfaction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in rural a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gu Haany University, Gyeongbuk. 

  16. Lee, M. S., Kim, S. H., Yang, J. S., Oh, J. S., & Kim, D. K. (2005).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in elderly Korean 65+.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Dental Health, 29, 210-221. 

  17. Mahoney, F. I., & Barthel, D. W. (1965). Functional evaluation: The Barthel Index. Maryland State Medical Journal, 14, 61-65. 

  18. McDowell. I., & Newell, C. (1987). Measuring health: A guide to rating scale and questionnaire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 Nam, Y. O. (2010). A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oral health care status and QOL and IADL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Dental Health., 34, 362-371. 

  20. Noh, S. J. (2011). Study on the practice of oral health behavior according to oral health impact profi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gu Haany University, Gyeongbuk. 

  21. Nuttall, N. M., Steele, J. G., Pine, C. M., White, D., & Pitts, N. B. (2001). The impact of oral health on people in the UK in 1998. British Dental Journal, 190(3), 121-126. 

  22. Palmer, C. A. (2001). Important relationships between diet, nutrition, and oral health. Nutrition in Clinical Care, 4, 4-14. 

  23. Park, J. H., Jeong, S. H., Lee, G. R., & Song, K. B. (2008). Pubic Health Dentistry : The impact of tooth Loss on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in Seongju, Kore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Dental Health, 32, 62-74. 

  24. Park, M. S. (2010). Educational needs in the provision of oral care by nursing staff in long-term care facility for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2, 72-80. 

  25. Peterson, P. E., & Yamamoto, T. (2005). Improving the oral health of older people: the approach of the WHO global oral health programme.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33, 81-92. 

  26. Ryu, K. J. (2008). Relevance between level of oral health and oral health-related life quality among the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27. Slade, G. D., & Spencer, A. J. (1994).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al Health., 11, 3-11. 

  28. Song, M. S. (1991). Construction of a functional status prediction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9. Won, S. Y. (2003). Relationship of oral state and dietary habit to health condition among elderly peop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30. Woo, S. R., Seo, B. I., & Han, C. H. (2010). The impact of oral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on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The Journal of East-West Medicine, 35(2), 39-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