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본간호학 교과서의 근거기반 도뇨관련 요로감염 예방 실무지침에 대한 반영 현황
Reflected Status of Evidence-Based Guideline on Fundamental Nursing Textbooks for Prevention of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7, 2017년, pp.344 - 357  

김윤희 (국립목포대학교 간호학과) ,  장금성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  정경희 (남부대학교 간호학과) ,  최자윤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  양진주 (광주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박순주 (을지대학교 간호학과) ,  박현영 (호남대학교 간호학과) ,  류세앙 (국립목포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근거기반 실무지침에 대한 간호학 교과서의 반영 현황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2012년 3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출간된 기본간호학 교과서 14개로써 이론서 7개와 실습서 7개로 구성되었고, 근거기반 실무지침은 5개의 도뇨관련 요로감염예방 실무지침으로부터 포괄적으로 수렴하여 91개 권고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근거기반 실무지침에 대한 기본간호학 이론서와 실습서의 총 반영률은 각각 23.0%와 15.2%이었다. 이론서에 반영률이 가장 높은 영역은 도뇨관 유지 영역이었고 실습서는 도뇨관 삽입 영역이었다. 반영률이 50%이상인 개별 권고문항은 총 91개 중 16개이었고 이중 도뇨관 유지에 관한 권고문항이 8개(50.0%)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교과서에 반영은 되었지만 상반되게 기술된 개별 권고문항은 총 9개 이었고, 요실금 관리를 위한 도뇨, 도뇨관의 정기적 교환, 도뇨관 제거 전 방광훈련과 회음부 간호의 순이었다. 향후 기본간호학 교과서를 개정할 때 오류내용이 우선 교정되어야 하고 근거기반 실무지침 권고내용에 대한 반영을 확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flected status of evidence-based guideline on nursing textbook for prevention of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CAUTIs). The subjects were 14 fundamental nursing textbooks consisting of 7 theoretical and 7 practical books published from March...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DB에서 검색어를 ‘기본간호*’로 하여 검색을 수행한 결과 선정 기준에 부합한 총 24개 교과서가 검색되었으며, 이 중 제외 기준에 해당된 6개를 제외하여 최종 18개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DB 검색에서 누락되는 문헌은 없는지 점검하기 위한 목적으로 국내 출판사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검색결과를 비교하여 누락된 교과서가 없음을 재확인하였다. 기본간호학 교과서 18개와 실무지침을 비교하여 분석하던 중 연구대상교과서가 연차적으로 개정되고 실무지침의 일부가 개정되었음이 확인되어, 새로운 근거기반 실무지침이 교과서에 반영되는 데에도 일정 시간이 걸린다고 판단하여[19] 연구대상 범위를 변경하였다.
  • 본 연구는 근거기반 CAUTI 예방 실무지침에 대한 국내 기본간호학 교과서의 반영 현황을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학 교과서에 기술된 내용들이 최상의 근거들을 얼마나 잘 반영하고 있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고, 이러한 문제의식을 주제로 분석한 국외의 연구결과들을 소수 확인할 수 있었지만[19-22], 국내의 연구결과는 아직까지 찾을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CAUTI가 국내 중환자실 감염 발생의 주요원인이고 우리나라의 임상현장에서 제기되는 임상질문의 빈도가 높은 주제임을 감안하여[23], 국내의 기본간호학교과서에서 도뇨와 관련해 다루고 있는 내용이 CAUTI예방을 위한 근거기반 실무지침에서 권고하는 내용과 어느정도 일치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추후 교과서 개정 작업 시 반영이 되어야하는 부분에 관한 내용파악을 하는 선행적 절차로서 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이를 통해 근거기반 실무지침과 실제 행하고 있는 실무 간에 존재하는 차이를 좁히기 위한 학부교육과정에서의 개선 전략으로서 교과서의 개선을 제안하고자 한다.
  • 간호사가 간호실무지침에 따라 실무를 이행하는 것은 학부 교육과정에서 습득한 지식과 실습 경험으로부터 형성되기 시작하므로[18][19], 학부과정에서 처음 접하는 교과서가 최신의 그리고 최상의 근거를 반영한 내용이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임상현장에서 제기되는 임상질문의 빈도가 높은 CAUTI 예방[23]에 관한 근거기반 실무지침을 국내 기본간호학 교과서에서 반영하고 있는 현황을 조사하였다.
  • 근거기반 실무지침에 대한 간호사의 이행은 학부교육 동안의 습득한 지식과 경험에 큰 영향을 받으므로, 학부과정에서 사용하는 교과서가 최신의 그리고 최상의 근거를 반영하는 것에 대한 토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체계적 검색과 선정과정을 거쳐 근거기반 CAUTI 예방 실무지침을 수렴하여 기본간호학 교과서에서 얼마나 어떻게 반영하는지 조사하였다. 기본간호학 교과서에 근거기반 CAUTI 예방 실무지침이 반영된 정도는 이론서에 2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AUTI 예방에 관한 근거기반 실무지침의 제외기준은 무엇인가? 실무지침의 선정 기준은 2012년까지 발표된 19세 이상 성인 대상의 CAUTI 예방에 관한 근거기반 실무지침으로 하였다. 제외 기준은 실무지침 개발절차가 명시되지 않은 경우, 요로감염 예방과 관련하여 도뇨관 삽입 및 유지에 관한 권고안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은 경우, 영어와 한국어 이외의 언어가 사용된 경우, 소아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경우, 병원 이외의 장소를 중점으로 한 경우로 하였다.
도뇨는 무엇인가? 도뇨는 침습적인 절차로 인해 요로감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간호수행이다. 도뇨관련 요로감염(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이하 CAUTI)은 병원감염의 주요 원인이고, 재원기간의 연장과 의료비용의 증가의 요인이 되며, 패혈성 쇼크 등에 의한 회복의 지연이나 생명의 위태로움을 초래할 수 있다[1].
도뇨관련 요로감염은 어떤 문제를 발생하는가? 도뇨는 침습적인 절차로 인해 요로감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간호수행이다. 도뇨관련 요로감염(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이하 CAUTI)은 병원감염의 주요 원인이고, 재원기간의 연장과 의료비용의 증가의 요인이 되며, 패혈성 쇼크 등에 의한 회복의 지연이나 생명의 위태로움을 초래할 수 있다[1]. 간호사는 도뇨관련 간호실무를 수행할 때 도뇨로 인한 감염과 이로 인한 잠재적 문제를 최소화해야할 책임이 있으며[2] 그동안 CAUTI 예방을 위한 전략을 제시한 실무지침들이 제시되어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R. Fink, H. Gilmartin, A. Richard, E. Capezuti, M. Boltz, and H. Wald, "Indwelling urinary catheter management and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prevention practices in nurses improving care for health system elders hospitals," American J. of Infection Control, Vol.40, No.8, pp.715-720, 2012. 

  2. K. S. Oman, M. B. F. Makic, R. Fink, N. Schraeder, T. Hulett, and T. Keech, "Nurse-directed interventions to reduce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American J. of Infection Control, Vol.40, No.6, pp.548-553, 2012. 

  3. C. V. Gould, C. A. Umscheid, R. K. Agarwal, G. Kuntz, and D. A. Pegues, "Guideline for prevention of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2009,"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Vol.31, No.4, pp.319-326, 2010. 

  4. T. M. Hooton, S. F. Bradley, D. D. Cardenas, R. Colgan, S. E. Geerlings, and J. C. Rice, "Diagnosis,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in adults: 2009 internation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rom the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Clinical Infectious Disease, Vol.50, No.5, pp.625-663, 2010. 

  5. M. Willson, M. Wilde, M. L. Webb, D. Thompson, D. Parker, and J. Harwood, "Nursing interventions to reduce the risk of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part 2: staff education, monitoring, and care techniques," J. of Wound Ostomy Continence Nursing, Vol.36, No.2, pp.137-154, 2009. 

  6. D. Parker, L. Callan, J. Harwood, D. L. Thompson, M. Wilde, and M. Gray, "Nursing intervention to reduce the risk of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part 1: catheter selection," J. of Wound Ostomy Continence Nursing, Vol.36, No.1, pp.23-34, 2009. 

  7. R, Gokula, J. Hickner, and M. Smith, "Inappropriate use of urinary catheters in elderly patients at a midwestern community teaching hospital," American J. of Infection Control, Vol.32, pp.196-199, 2004. 

  8. Y. Kwak, J. Choi, H. Yoo, S. Lee, H. Kim, and S. Han, "Korean National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Surveillance System, Intensive Care Unit Module Report: Summary of Data from July 2014 through June 2015," Korean J.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Vol.21, No.2, pp.37-49, 2016. 

  9. L. Thomas, N. Cullum, E. McColl, N. Rousseau, J. Soutter, and N. Steen, "Guidelines in professions allied to medicine," Cochrane Database Systematic Review, Vol.2000, No.2, p.CD000349, 2000. 

  10. M. Lugtenberg, J. S. Burgers, C. F. Besters, D. Han, and G. P. Westert, "Perceived barriers to guideline adherence: A survey among general practitioners," BMC Family Practice, Vol.12, pp.98-106, 2011. 

  11. T. Van Achterberg, L. Schoonhoven, and R. Grol, "Nursing implementation science: how evidence-based nursing requires evidence-based implementation," J. of Nursing Scholarship, Vol.40, No.4, pp.302-310, 2008. 

  12. R. Grol and J. Grimshaw, "From best evidence to best practic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change in patients' care," Lancet, Vol.362, No.9391, pp.1225-1230, 2003. 

  13. H. R. Voogdt-Pruis, J. W. Van Ree, A. P. M. Gorgels, and G. H. M. I. Beusmans, "Adherence to a guideline on cardiovascular prevention: A comparison between general practitioners and practice nurses," International J. of Nursing Studies, Vol.48, No.7, pp.798-807, 2011. 

  14. F. J. Penning-van Beest, F. Termorshuizen, W. G. Goettsch, O. H. Klungel, J. J. Kastelein, and R. M. Herings, "Adherence to evidence-based statin guidelines reduces the risk of hospitalizations fo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by 40%: a cohort study," European Heart Journal, Vol.28, No.2, pp.154-159, 2007. 

  15. I. Jeong, J. Jeong, H. Seo, E. Lim, E. Hong, and K. Park, "Development of Indwelling Urinary Catheterization Guideline by Adaptation Process," J.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21, No.1, pp.31-42, 2015. 

  16. M. Laurant, M. Harmsen, H. Wollersheim, R. Grol, M. Faber, and B. Sibbald, "The impact of nonphysician clinicians: do they improve the quality and cost-effectiveness of health care services?," Medical Care Research and Review, Vol.66, No.6(Suppl), pp.36S-89S, 2009. 

  17. M. Jansson, T. Ala-Kokko, P. Ylipalosaari, H. Syrjala, and H. Kyngas, "Critical care nurses' knowledge of, adherence to and barriers towards evidence-based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a survey study,"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Vol.29, No.4, pp.216-227, 2013. 

  18. D. Ciliska, "Educating for evidence-based practice," J. of Professional Nursing, Vol.21, No.6, pp.345-350, 2005. 

  19. D. Wilborn, R. J. Halfens, and T. Dassen, "Evidence-based education and nursing pressure ulcer prevention textbooks: does it match?," World 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Vol.6, No.3, pp.167-172, 2008. 

  20. L. C. Cassata and T. M. Cox, "Evaluation tool for clinical nursing textbooks: bridging content analysis with evidence," J. of Nursing Education, Vol.48, No.6, pp.301-309, 2009. 

  21. R. A. Jablonski, "Oral health and hygiene content in nursing fundamentals textbooks," Nursing Research and Practice, Vol.2012, pp.1-7, 2012. 

  22. R. Jeffery, T. Navarro, C. Lokker, R. B. Haynes, N. L. Wilczynski, and G. Farjou, "How current are leading evidence-based medical textbooks? an analytic survey of four online textbooks," J.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Vol.14, No.6, p.e175, 2012. 

  23. E. O. Gu, M. S. Cho, Y. A. Cho, J. S. Jeong, I. S. Jeong, and J. S. Park, "Topics for evidence-based clinical nursing practice guidelines in Korea," J.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17, pp.307-318, 2011. 

  24. Y. H. Kim, K. S. Jang, K. H. Chung, J. Y. Choi, S. Ryu, and H. Y. Park, "An example of systematic searching for guidelines to prevent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part 1: using the PubMed database," J.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0, No.1, pp.128-143, 2014. 

  25. L. J. Conway and E. J. Larson, "Guidelines to prevent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1980 to 2010," Heart & Lung, Vol.41, No.3, pp.271-283, 2012. 

  26. M. F. Parry, B. Grant, and M. Sestovic, "Successful reduction in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focus on nurse-directed catheter removal," American J. of Infection Control, Vol.41, No.12, pp.1178-1181, 2013. 

  27. The Joanna Briggs Institute, "Management of short-term indwelling urethral catheters to prevent urinary tract infections," Best Practice: Evidence-Based Information Sheets for Health Professionals, Vol.14, No.12, pp.1-4, 2010. 

  28. L. H. Wang, M. F. Tsai, C. S. Han, Y. C. Huang, and H. E. Liu, "Is bladder training by clamping before removal necessary for short-term indwelling urinary catheter inpatien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sian Nursing Research, Vol.10, No.3, pp.173-181, 2016. 

  29. K. M. Young, "Where's the evidenc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Vol.103, No.10, p.11, 2003. 

  30. A. DiCenso, L. Bayley, and R. B. Haynes, "Accessing preappraised evidence: fine-tuning the 5S model into a 6S model," Annals of Internal Medicine, Vol.151, No.6, p.JC3-2-3, 2009. 

  31. H. P. Lovedaya, J. A. Wilsona, R. J. Pratta, M. Golsorkhia, A. Tinglea, and A. Baka, "epic3: National Evidence-Based Guidelines for Preventing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in NHS Hospitals in England," J. of Hospital Infection, Vol.86S1, pp.S1-S70, 2014. 

  32. E. Lo, L. E. Nicolle, S. E. Coffin, C. Gould, L. L. Maragakis, and J. Meddings, "Strategies to Prevent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in Acute Care Hospitals: 2014 Update,"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Vol.35, No.5 pp.464-479,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