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치도뇨관 감염예방 가이드라인에 관한 체계적 문헌검색 사례 - Part I: PubMed 검색데이터베이스 이용
An Example of Systematic Searching for Guidelines to Prevent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 Part I: Using the PubMed Database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0 no.1, 2014년, pp.128 - 143  

김윤희 (동신대학교 간호학과) ,  장금성 (전남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정경희 (남부대학교 간호학과) ,  최자윤 (전남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류세앙 (국립목포대학교 간호학과) ,  박현영 (호남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Effective literature searching is essential to support evidence-based nursi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our recent systematic search experience to identify guidelines in PubMed for prevention of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Methods: Five approaches to the lite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근거기반실무를 지원하기 위한 최선의 연구문헌이나 근거를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확인하도록 하기 위하여 유치도뇨 감염예방 가이드라인 검색 사례를 통해 간호 분야에서의 이용 가능한 정보출처와 체계적 문헌검색 방법을 제시하는 사례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근거중심실무를 지원하기 위한 체계적 문헌검색 방법에 따라 검색수행능력을 증진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1차적으로 검색데이터베이스를 PubMed로 선택하여 유치도뇨관 감염예방 가이드라인을 검색사례로 하는 5가지 검색방법을 시도하고 그에 따른 검색결과의 민감도와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Coneway와 Larson (2012)이 문헌검색을 통해 제시한 8개의 유치도뇨관 감염예방 가이드라인을 연구도구로 삼아 본 연구에서 수행한 유치도뇨관 감염예방 가이드라인 검색결과에 대해 민감도와 정확도를 산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MeSH 용어와 제한(Limits) 기능을 병합하는 검색을 실시하였다. 먼저 PubMed에서 제공되는 MeSH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연구의 주요 검색어인 urinary catheterization과 urinary tract infection과 관련하여 예상할 수 있는 MeSH 용어들을 확인하고, 이를 OR 혹은 AND로 조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PubMed의 Clinical Queries를 통해 유치도뇨관 감염예방 가이드라인을 확인하였다. PubMed Tools 중 Clinical Queries를 선택한 후 Query Box에 검색어 ‘catheter 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prevention'을 입력하여 결과를 확인하고 검색범위는 영어(English), 인간(humans), 1980~2010년의 출판문헌으로 제한하였다(Figure 2).
  •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문헌검색의 검색수행 사례를 보고하고자 검색절차를 소개하고 1차적으로 PubMed를 활용하여 5가지 검색방법별 검색의 민감도와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5가지 방법 중 PubMed Clinical Queries 활용 검색법은 가이드라인 문헌을 검색하는 데에는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생각 되며, MeSH 용어만을 검색하는 방법보다는 MeSH 용어에 textword를 병합하는 방법이 검색의 민감도를 높이는 방법이라 여겨진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근거기반간호 실행을 촉진하고자 유치도 뇨관 감염예방 가이드라인을 대상으로 한 PubMed에서의 체계적 문헌검색 수행 사례를 제시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 중 PubMed는 미국국립의학도서관(National Library of Medicine [NLM])이 운영하는 생의학 및 생명과학 데이터베이스로 연구결과들이 매일 색인되고 원문보기 링크를 제공하고 있으며(Linsey & Olin, 2013) EMBASE와는 달리 인터넷을 통해 무료로 제공이 되고 있어 문헌을 검색하는 간호사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Kim et al., 2011) 본 연구에서는 PubMed를 중심으로 체계적 문헌검색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근거기반실무를 지원하기 위해 PubMed에서의 체계적 검색과정을 소개하고자 하며, 국내 중환자실 병원감염 발생률 중 요로감염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Lee et al., 2008) 우리나라 임상간호실무 현장에서 임상 질문으로서 제기되는 빈도가 높은 주제 중 하나가 도뇨관 간호(Gu et al., 2011)라는 점을 감안하여 유치도뇨관 감염예방 가이드라인 검색과정을 문헌검색 사례로서 제시하기로 하였다. 특히 가이드라인은 전문가들의 합의에 의한 최선의 근거이므로(Ehrlich-Jones, O’Dwyer, Stevens, & Deutsch, 2008) 관심주제에 대한 다수의 개별 연구를 확인하는 것보다 합리적이며 이러한 이유로 문헌검색 시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 특히 가이드라인은 전문가들의 합의에 의한 최선의 근거이므로(Ehrlich-Jones, O’Dwyer, Stevens, & Deutsch, 2008) 관심주제에 대한 다수의 개별 연구를 확인하는 것보다 합리적이며 이러한 이유로 문헌검색 시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팀은 PubMed를 통해 수행한 유치도뇨관 감염예방 가이드라인의 체계적 문헌검색 결과를 Coneway와 Larson (2012)의 연구에서 확인된 1980년부터 2010년까지의 유치도뇨관 감염예방 가이드라인 검색 결과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Coneway와 Larson (2012)은 요로감염 예방에 관한 미국의 병원 내 근거기반실무 정책 마련을 위해 유치도뇨관 감염예방 가이드라인을 검색 및 비교분석하는 연구과정에서 OVID와 National Guideline Clearinghouse(NGC), 수기 검색(hand search)을 통한 포괄적 문헌검색을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학 분야의 체계적 문헌검색과정에서 활용 가능한 국외 검색데이터베이스에는 무엇이 있는가? 간호학 분야의 체계적 문헌검색과정에서 활용 가능한 국외 검색데이터베이스에는 PubMed (http://www.ncbi.nlm. nih. gov/pubmed), Ovid MEDLINE (http://ovidsp.tx. ovid.com/), EMBASE (http://www.EMBASE.com), The Cochrane library (http://www.thecochranelibrary.com), CINAHL (http://www.ebscost.com/cinahl), CRD database (http://www.york.ac.uk/inst/crd), Google Scholar (scholar. google.com) 등이 있다(Kim et al., 2011).
근거기반실무는 무엇인가? 근거기반실무는 개별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관점과 요구를 고려하여 간호사가 가지고 있는 경험과 최선의 연구결과에서 나온 임상지식, 그리고 활용 가능한 자원을 통합하여 의사결정을 내리고 적용하는 것이다(Park, 2006). 이를 실행에 옮기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임상질문을 형성하고 최선의 근거를 검색하고 근거에 대해 비평적 평가를 시행한 후 근거를 실무에 통합하고 성과를 평가하는 단계가 필요하다(Winters & Echeverri, 2012).
근거기반실무를 실행에 옮기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근거기반실무는 개별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관점과 요구를 고려하여 간호사가 가지고 있는 경험과 최선의 연구결과에서 나온 임상지식, 그리고 활용 가능한 자원을 통합하여 의사결정을 내리고 적용하는 것이다(Park, 2006). 이를 실행에 옮기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임상질문을 형성하고 최선의 근거를 검색하고 근거에 대해 비평적 평가를 시행한 후 근거를 실무에 통합하고 성과를 평가하는 단계가 필요하다(Winters & Echeverri, 2012). 이 중 최신의 타당한 근거를 검색하는 것은 근거기반실무의 실행을 지원하는 데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artels, E. M. (2013). How to perform a systematic search.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Rheumatology, 28, 295-306. http://dx.doi.org/10.1016/j.berh.2013.02.001 

  2. Coneway, L. J., & Larson, E. L. (2012). Guidelines to prevent catheter- 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1980 to 2010. Heart & Lung, 41, 271-283. http://dx.doi.org/10.1016/j.hrtlng.2011.08.001 

  3. Diog, G. S., & Simpson, F. (2003). Efficient literature searching: A core skill for the practice of evidence-based medicine. Intensive Care Medicine, 29, 2119-2127. http://dx.doi.org/10.1007/s00134-003-1942-5 

  4. Ehrlich-Jones, L., O'Dwyer, L., Stevens, K., & Deutch, A. (2008). Searching the literature for evidence. Rehabilitation Nursing, 33, 163-169. http://dx.doi.org/10.1002/j.2048-7940.2008.tb00222.x 

  5. Frase, C., Murray, A., & Burr, J. (2006). Identifying observational studies of surgical interventions in MEDLINE and EMBASE. BMC Medical Research Methodology, 6, 41. http://dx.doi. org/10.1186/1471-2288-6-41 

  6. Gould, C. V., Umscheid, C. A., Agarwal, R. K., Kuntz, G., & Pegues, D. A. (2010).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Guideline for prevention of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2009.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31, 319-326. 

  7. Gu, M. O., Eun, Y., Kim, S. M., Chung, J. S., Park, M. H., Park, M. S., et al. (2013). Evidence-based practice in nursing & healthcare. Seoul: Fornursebook. 

  8. Gu, E. O., Cho, M. S., Cho, Y. A., Jeong, J. S., Jeong, I. S., Park, J. S., et al. (2011). Topics for evidence-based clinical nursing practice guidelin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7, 307-318. 

  9. Haig, A., & Dozier, M. (2003). BEME Guide No. 3: Systematic searching for evidence in medical education-Part 2: Constructing searches. Medical Teacher, 25, 463-484. http://dx. doi.or/10.1080/01421590310001608667 

  10. Hooton, T. M., Bradley, S. F., Cardenas, D. D., Colgan, R., Geerlings, S. E., Rice, J. C., et al. (2010). Diagnosis,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in adults: 2009 internation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rom the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50, 625-663. 

  11. Kim, S. Y., Park, J. E., Seo, H. J., Lee, Y. J., Jang, B. H., Son, H. J., et al. (2011). NECA's guidance for understand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Seoul: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12. Lee, S. O., Kim, E. S., Kim, H. Y., Park, E. S., Jin, H. Y., Ki, H. K., et al. (2008). Korean nosocomial infections surveillance system, intensive care unit module report: Data summary from July 2007 through June 2008.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13, 69-82. 

  13. Linsey, W. T., & Olin, B. R. (2013). PubMed searches: Overview and strategies for clinicians. Nutrition in Clinical Practice, 28, 165-176. http://dx.doi.org/10.1177/0884533613475821 

  14. Lo, E., Nicolle, L., Classen, D., Arias, K. M., Podgorny, K., Anderson, D. J., et al. (2008). Strategies to prevent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in acute care hospitals.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29 (Suppl. 1), S41-S50. 

  15. Motschall, E., & Falck-Ytter, Y. (2005). Searching the MEDLINE literature database through PubMed: A short guide. Onkologie, 28, 517-522. http://dx.doi.org/10.1159/000087186 

  16. Murphy, S. A. (2002). Applying methodological search filters to CAB Abstracts to identify research for evidence-based veterinary medicine. Journal of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90, 406-410. 

  17. Park, M. H. (2006).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evidence based nursing. Seoul: Goonja. 

  18. Parker, D., Callan, L., Harwood, J., Thompson, D. L., Wilde, M., & Gray, M. (2009). Nursing interventions to reduce the risk of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Part 1: Catheter selection. Journal of Wound, Ostomy, and Continence Nursing, 36, 23-34. 

  19. Parker, D., Callan, L., Harwood, J., Thompson, D., Webb, M.-L., Wilde, M., et al. (2009).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fact sheet. Journal of Wound, Ostomy, and Continence Nursing, 36, 156-159. 

  20. Pratt, R .J., Pellowe, C., Loveday, H. P., Robinson, N., Smith, G. W., Barrett, S., et al. (2001). The EPIC Project: Developing national evidence-based guidelines for preventing healthcare associated infections. Phase I: Guidelines for preventing hospital-acquired infections. Department of Health (England). The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47 (Suppl.), S3-S82. 

  21. Pratt, R. J., Pellowe, C. M., Wilson, J. A., Loveday, H. P., Harper, P. J., Jones, S. R. L. J., et al. (2007). EPIC 2: National evidence- based guidelines for preventing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in NHS hospitals in England. The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65 (Suppl. 1), S1-S64. 

  22. Richter, R. R., & Austin, T. M(2012). Using MeSH (medical subject headings) to enhance PubMed search strategies evidencebased practice in physical therapy. Physical Therapy, 92, 124-132. http://dx.doi.org/10.2522/?ptj.20100178 

  23. Sampson, M., & McGowan, J. (2006). Errors in search strategies were identified by type and frequency.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59, 1057-1063. http://dx.doi.org/10.1016/j. jclinepi.2006.01.007 

  24. Sampson, M., McGowan, J., Lefebvre, C., Moher, D., & Grimshaw, J. (2008). PRESS: Peer review of electronic search strategies. Ottawa: Canadian Agency for Drugs and Technologies in Health. 

  25. Schaafsma, F., Hulshof, C., Verbeek, J., Bos, J., Dyserinck, H., & Dijk, F. V. (2006). Developing search strategies in Medline on the occupational origin of diseases.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49, 127-137. http://dx.doi.org/10.1002/ ajim.20235 

  26.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2013). Search filters. Retrieved November 16, 2013, from http://www.sign.ac. uk/methodology/filters.html 

  27. Sladek, R. M., Tieman, J., & Currow, D. C. (2007). Improving search filter development: A study of palliative care literature. BMC Medical Informatics and Decision Making, 7, 1-7. http://dx.doi.org/10.1186/1472-6947-7-18 

  28. Sladek, R., Tieman, J., Fazekas, B. S., Abernethy, A. P., & Currow, D. C. (2006). Development of a subject search filter to find information relevant to palliative care in the general medical literature. Journal of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94 , 394-401. 

  29. Son, Y. J., Kim, S. H., Park, Y. S., Lee, S. K., & Lee, Y. M. (2012).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retrieval skill on evidence based practice competency in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4, 635-646. http://dx.doi.org/10. 7475/kjan.2012.24.6.635 

  30. Stillwell, S. B., Fineout-Overholt, E., Melnyk, B. M., & Williams, K. (2010). Evidence-based practice, step by step: Searching for the evidenc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10 (5), 41-47. http://dx.doi.org/10.1097/01.NAJ.0000372071.24134.7e 

  31. Tenke, P., Kovacs, B., Bjerklund Johansen, T. E., Matsumoto, T., Tambyah, P. A., & Naber, K. G. (2008). European and Asian guidelines on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Antimicrobial Agents, 31 (Suppl. 1), S68-S78. 

  32. University of Texas School of Public Health. (2010). Search filters for various databases. Retrieved November 16, 2013, from http://libguides.sph.uth.tmc.edu/pubmed_filters 

  33. Willson, M., Wilde, M., Webb, M.-L., Thompson, D., Parker, D., Harwood, J., et al. (2009). Nursing interventions to reduce the risk of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Part 2: Staff education, monitoring, and care techniques. Journal of Wound, Ostomy, and Continence Nursing, 36, 137-154. 

  34. Winters, C. A., & Echeverri, R. (2012). Teaching strategies to support evidence-based practice. Critical Care Nurse, 32 (3), 49-54. http://dx.doi.org/10.4037/ccn2012159 

  35. Wong, E. S. (1983). Guideline for prevention of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11, 28-3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