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시청 후 나타난 근거리 사위 및 폭주근점의 변화
Changes in Near Lateral Phoria and Near Point of Convergence After Viewing Smartphones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7 no.2 = no.47, 2012년, pp.171 - 176  

박경주 (선린대학교 안경광학과) ,  이욱진 (선린대학교 안경광학과) ,  이나금 (선린대학교 안경광학과) ,  이정영 (대구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손정식 (경운대학교 안경광학과) ,  유동식 (경운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스마트폰과 모니터 영상을 짧은 기간 동안 시청한 이후 근거리 사위와 폭주근점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방법: 20~30대(평균나이 $21.84{\pm}5.14$세)의 안질환이 없고 건강한 눈을 가진 50명을 실험 대상자로 하였다. 시청 시간은 5~20분으로, 회복 시간은 10분으로 구성하였다. 근거리 사위와 폭주근점은 스마트폰과 모니터의 시청 전후로 검사하였고, 시각적 피로도에 의한 자각증상은 영상 시청 전후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결과: 스마트폰 영상시청에서 나타난 외사위 경향은 모니터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외사위의 변화는 10분 후 회복하였다. 스마트폰 시청 이후 나타난 폭주근점은 모니터에서보다 멀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스마트폰은 모니터보다 더 많은 시각적 피로를 유발하였다. 결론: 지속적인 스마트폰의 작업은 사위 및 폭주근점의 변화를 초래하였고, 이러한 유형의 스트레스로 시각적 피로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적절한 휴식은 시각적 피로의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compare changes in near lateral phoria and near point of convergence after viewing smartphones and monitors during short periods. Methods: 50 subjects with healthy eyes from 20s to 30s (mean age, $21.84{\pm}5.13$ years) were examined. Viewing time was set at 5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직 다뤄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안정피로의한 원인으로 생각되는 사위도와 폭주근점에 국한하여 비교하였 匸"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owell Kim 근거리 사위 측정법, Push-up을 이용한 폭주근점 측정, 선택형 자각적 증상에 의한 설문조사 등을 이용하여, 모니터와 스마트폰에서 나타난 피로감의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의 사용이 근거리 사위도 및 폭주근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모니터 사용 환경과 비교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Oh JE, Kim KO. Contemporary consumers' product consumption experiences: a comparison between the two leading brands of smart phone.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012;50(1):141-154. 

  2.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Statistical data: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roduction value in Korea, 2012. http://www.kcc.go.kr (March 2012). 

  3.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Survey reveals changing patterns of smartphone use in Korea, 2011. http://www.kcc.go.kr(21 July 2011). 

  4. International Scientific Conference on Work with Display Units, Berlinguet L, Berthelette D. Work with display units 89, 1st Ed. Amsterdam: North-Holland, 1990;21-27. 

  5. International Scientific Conference on Work With Display Units, Knave B, Widebck PG. Work with display units 86, 1st Ed. Amsterdam: North-Holland, 1987;249-262. 

  6. Bergqvist UO, Knave BG. Eye discomfort and work with visual display terminals.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94;20(1):27-33. 

  7. Franzn O, Lennerstrand G, Richter H. Brain potential correlates of supraliminal contrast functions and defocus. Int Journal Human Computer Interaction. 1994;6(2):155-176. 

  8. Best PS, Littleton MH, Gramopadhye AK, Tyrrell RA. Relations between individual differences in oculomotor resting states and visual inspection performance. Ergonomics. 1996;39(1):35-40. 

  9. Butzon SP, Eagels SR. Prescribing for the moderate-toadvanced ametropic presbyopic VDT user. A comparison of the technical progressive and Datalite CRT trifocal. J Am Optom Assoc. 1997;68(8):495-502. 

  10. Campbell FW, Durden K. The visual display terminal issue: a consideration of its physiological, psychological and clinical background. Ophthalmic Physiol Opt. 1983;3(2):175-192. 

  11. Gratton I, Piccoli B, Zaniboni A, Meroni M, Grieco A. Change in visual function and viewing distance during work with VDTs. Ergonomics. 1990;33(12):1433-1441. 

  12. Lee MY, Lee CW.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mobile phones and hearing thresholds in some white-collar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2;14(1):47-56. 

  13. Kim JS, Ryu CY, Kim SC, Oh HT, Yuk JR, Kim DW. The effects of electromagnetic field emitted by cellular phone on cognitive function in human.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2003;14(6):606-615. 

  14. Franzn O, Lennerstrand G, Richter H. Brain potential correlates of supraliminal contrast functions and defocus. Int Journal Human Computer Interaction. 1994;6(2):155-176. 

  15. Choi SM. A study about N.P.C, heterophoria and near convergence and divergence by amount of the refractive errors. J Korean Oph Opt Soc. 2009;14(4):53-57. 

  16. Kim JH, Ryu KH, Kim IS. The study on relation between asthenopia of lateral phoria and fusional reserve. J Korean Oph Opt Soc. 2006;11(4):329-335. 

  17. Kim HD, Lee DH. A study on the distance and near horizontal phoria of the young people in Korea. J Korean Oph Opt Soc. 2004;9(2):251-255. 

  18. Choi KS. Research about students' horizontal heterophoria in near distance with Maddox Rod. J Korean Oph Opt Soc. 2009;14(3):59-63. 

  19. Kang HY, Park C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martphone addiction scal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1;205. 

  20. Lim SE, Park HK. On a comparison between smartphone and feature phone users in mobile phone addiction and the third person effect.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1; 25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