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근거리 작업 후 20대 폭주부족안의 폭주 기능 변화
The Change of Convergence Function of Convergence Insufficiency in Their Twenties after Doing Near Work Using a Smartphone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23 no.1, 2018년, pp.47 - 56  

김소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박시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여혜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대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정지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장효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신장철 (부산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박미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에서는 20대 폭주부족안이 스마트폰을 통한 근거리 작업을 하였을 때 폭주 기능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양안 교정시력 및 나안시력이 0.8 이상인 20대의 시기능을 검사하여 선별한 정상안 22명($27.60{\pm}2.20$세)과 폭주부족안 11명($26.53{\pm}2.54$세)을 시험대상으로 하였다. 스마트폰 사용 전과 30분 동안 스마트폰을 통한 영상시청 후에 폭주근점, 사위도, AC/A 비, 융합버전스 및 자각증상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스마트폰 사용 후 폭주근점은 정상안의 경우 멀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폭주부족안은 큰 변화가 없었다. 원거리 사위도는 정상안과 폭주부족안 모두 유의하게 정위방향으로 이동하였으며, 근거리 사위도는 폭주부족안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영상시청 후 AC/A 비는 정상안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근거리 양성 및 음성융합버전스는 정상안과 폭주부족 안에서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자각증상의 경우 폭주부족안은 안정피로와 관련된 자각증상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안구 피로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안구 피로감, 불편함, 졸림, 작열감 항목의 경우 정상안과 폭주부족안 모두 증가하였으며, 폭주부족안에서는 흐림, 집중력 저하 및 독서속도 저하가 정상안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 폭주 기능에 따라 일정 시간 스마트폰을 통한 근거리 작업 시 피로도 및 폭주 기능이 달라지며, 이는 흐림 및 집중력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폭주 기능에 따른 작업시간의 배분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this paper, the change of convergence function of convergence insufficiency in their twenties after doing near work using a smartphone was investigated. Methods: The subjects in their twenties with corrected or uncorrected binocular visual acuity of 0.8 or better were examined their visu...

주제어

참고문헌 (32)

  1. KISA(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7 Survey on the internet usage, 2018. https://isis.kisa.or.kr/board/?pageId070200&bbsId3&itemId892(9 February 2018). 

  2. Chosun Media. The smartphone has changed over the past decade, 2017.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9/23/2017092300766.html(29 December 2017). 

  3. KCC(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Survey on the smartphone usage, 2010. http://www.kcc.go.kr/user.do?modeview&pageA05030000&dcK00000001&boardId1113&boardSeq29333(10 February 2018). 

  4. MSIT(Ministry of Science and ICT, Korea). 2017 Result of research on dependence on smartphone, 2018. http://www.msit.go.kr/web/msipContents/contentsView.do?cateIdmssw311&artId1374954(9 February 2018). 

  5. Agarwal S, Goel D, Sharma A. Evaluation of the factors which contribute to the ocular complaints in computer users. J Clin Diagn Res. 2013;7(2):331-335. 

  6. Thomson WD. Eye problems and visual display terminals-the facts and the fallacies. Ophthalmic Physiol Opt. 1998;18(2):111-119. 

  7. Lodin C, Forsman M, Richter H. Eye- and neck/shoulderdiscomfort during visually demanding experimental near work. Work. 2012;41(Suppl 1):3388-3392. 

  8. Yaginuma Y, Yamada H, Nagai H.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crimation and blink in VDT work. Ergonomics. 1990;33(6):799-808. 

  9. Contact Lens Spectrum. Continuing education: keeping up with ocular fatigue in the digital era, 2016. http://www.clspectrum.com/articleviewer.aspx?articleID114400(7 February 2018). 

  10. Kundart J, Momeni-Moghadam H, Nguyen J, Hayes JR. Comparing binocular vision suppression on an e-reader versus a smartphone. J Behav Optom. 2012;23(5-6):152-155. 

  11. Park M, Ahn YJ, Kim SJ, You J, Park KE, Kim SR. Changes in accommodative function of young adults in their twenties following smartphone use.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4;19(2):253-260. 

  12. von Noorden GK, Campos EC. Binocular vision and ocular motility : theory and management of strabismus. 6th Ed. St. Louis: CV Mosby, 2002;500-507. 

  13. Park KJ, Lee WJ, Lee NG, Lee JY, Son SJ, Yu DS. Changes in near lateral phoria and near point of convergence after viewing smartphone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2;17(2):171-176. 

  14. Lee JE, Choi AS. A study of luminous environment for standard illuminance in residential areas. J Korean Inst Illum Electr Install Eng. 2005;19(3):1-9. 

  15. Marran LF, De Land PN, Nguyen AL. Accommodative insufficiency is the primary source of symptoms in children diagnosed with convergence insufficiency. Optom Vis Sci. 2006;83(5):281-289. 

  16. Scheiman M, Mitchell GL, Cotter S, Cooper J, Kulp M, Rouse M et al. A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treatments for convergence insufficiency in children. Arch Ophthalmol. 2005;123(1):14-24. 

  17. Scheiman M, Wick B. Clinical management of binocular vision: heterophoric, accommodative, and eye movement disorders, 4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3;43. 

  18. Benjamin WJ. Borish's clinical refraction, 2nd Ed. St. Louis: Butterworth-Heinemann, 2006;940-941. 

  19. Scheiman M, Wick B. Clinical management of binocular vision: heterophoric, accommodative, and eye movement disorders, 4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3;39-40. 

  20. Barnhardt C, Cotter S, Mitchell GL, Scheiman M, Kulp MT. Symptoms in children with convergence insufficiency: before and after treatment. Optom Vis Sci. 2012;89(10):1512-1520. 

  21. Um JH, Lee HJ, Kim JH, Kim HS, Park HJ, Sung DY et al. Function tests of binocular vision, 1st Ed. Seoul: Daihakseolim, 2011;162-165. 

  22. Scheiman M, Wick B. Clinical management of binocular vision: heterophoric, accommodative, and eye movement disorders, 4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3;58-59. 

  23. Kim SR, Park MO, Lee SY, Song JH, Lee JH, Choi HD et al. The change of accommodative function of vergence anomalies subjects in their twenties after near work with smartphone.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7;22(1): 71-80. 

  24. Kim S, Park M, Kim SR. Change of binocular vision induced by longitudinal chromatic aberration during near work.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5;20(2):219-228. 

  25. Kim J, Yang DJ, Choi DY, Kim SR, Park M. Changes in heterophoria and fusional vergence after near work with smartphone and paper book.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6;21(4):385-392. 

  26. Benjamin WJ. Borish's clinical refraction, 2nd Ed. St. Louis: Butterworth-Heinemann, 2006;103. 

  27. Sreenivasan V, Irving EL, Bobier WR. Effect of heterophoria type and myopia on accommodative and vergence responses during sustained near activity in children. Vision Res. 2012;57:9-17. 

  28. Paik HJ, Lim HT. Accommodation and convergence, anomalies of convergence. J Korean Ophthalmol Soc. 2012;53(12):1719-1726. 

  29. Benjamin WJ. Borish's clinical refraction, 2nd Ed. St. Louis: Butterworth-Heinemann, 2006;936-938. 

  30. Um JH, Lee HJ, Kim JH, Kim HS, Park HJ, Sung DY et al. Function tests of binocular vision, 1st Ed. Seoul: Daihakseolim, 2011;290-291. 

  31. Um JH, Lee HJ, Kim JH, Kim HS, Park HJ, Sung DY et al. Function tests of binocular vision, 1st Ed. Seoul: Daihakseolim, 2011;288-290. 

  32. Park JS, Choi MJ, Ma JE, Moon JH, Moon HJ. Influence of cellular phone videos and games on dry eye syndrome in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4;25(1):12-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