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사용이 원거리 교정시력과 굴절 이상 변화에 미치는 영향
Aided Distance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Error Changes by Using Smartphone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7 no.3 = no.48, 2012년, pp.305 - 309  

김봉환 (춘해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한선희 (춘해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신용걸 (춘해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다영 (춘해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박진영 (춘해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신원철 (춘해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윤정호 (칼자이스 비전 코리아(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에서 근거리 주시거리에 따라 시력과 굴절이상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고, 스마트폰 사용 후 시력이나 굴절이상이 회복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안질환이 없고 교정시력이 0.8이상이고, 최대조절력과 조절용이성이 정상인 20명($20.6{\pm}0.9$세)이 본 연구에 참여 하였다. 피 실험자는 Group 1(15 cm 주시거리)인 10명과 Group 2(40 cm 주시거리) 10명으로 나누어서 원용 교정안경을 장용하고 30분 동안 동영상을 시청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동영상 시청전과 후의 원거리 교정시력과 타각적 구면 굴절력 값을 비교하였다. 타각적 측정은 auto-chart project(CP-1000, Dongyang, Korea), phoropter(VT-20, Dongyang, Korea), auto refractor-keratometer (MRK-3100, Huvitz, Korea)를 이용하였다. 그런 다음, 원용 교정안경을 착용하고 원방시를 하게 한 후 각각 5분 후, 10분 후, 그리고 15분 후에 원거리 타각적 구면 굴절력 값을 측정하였다. 결과: 스마트폰을 15 cm 거리에서 30분 동안 사용한 Group 1(15 cm 주시거리)은 스마트폰 사용 전과 사용 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원거리 교정시력 저하(p=0.030)와 근시의 증가(p=0.001)가 관찰 되었다. 이러한 근시의 증가는 스마트폰 사용 후 5분 후 이후 검사에는 더 이상 통계적으로 유의 하지 않았다($p{\geq}0.464$, paired-samples t test). 한편 30분 동안 스마트폰을 40 cm 거리에서 사용한 Group 2(40 cm 주시거리)은 스마트폰 사용 전과 사용 후에서 시력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p=0.163), 굴절력의 변화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77, paired-samples t test). 결론: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굴절이상과 원거리 교정시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려면 사용 거리를 40 cm를 유지 할 것을 권장 하며 만약 스마트폰을 권장 사용 거리 40 cm 보다 가까이에서 사용 할 경우 굴절이상과 원거리 교정시력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스마트폰을 최소한 30분사용 후 5분간 휴식을 가질 것을 권장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search any effect on aided distance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error changes by using smartphone at near for long term. Methods: 20($20.6{\pm}0.9$ years) young adults subjects with no ocular diseases, over 0.8 of aided distance visual acuity, norm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급속도로 보급률이 증가하는 스마트폰의 근거리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굴절이상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스마트폰 사용 후 굴절이상의 회복에 관한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Actual State of wireless Internet using in 2011, 2011. http://www.kisa.or.kr/ notice/pressView.jsp?modeview&p_No8&b_No8&d_No 716(05 June 2012). 

  2. Grosvenor T, Primary care optometry, 4th Ed. Woburn, MA: Butterworth Heinemann, 2001;16-26. 

  3. Goldschmidt E, On the etiology of myopia. An epidemiological study. Acta Ophthalmol(Copenh). 1968;98:1-172 

  4. Ong E, Ciuffreda KJ. Nearwork-induced transient myopia: a critical review. Doc Ophthalmol. 1995;91(1):57-85. 

  5. Ciuffreda KJ. Nearwork-induced transient myopia: basic and clinical aspects. J Optom Vis Dev. 1999;30:5-20. 

  6. Hung GK, Ciuffreda KJ. Incremental retinal-defocus theory of myopia development-schematic analysis and computer simulation. Comput Biol Med. 2007;37(7):930-946. 

  7. Goss DA. Nearwork and myopia. Lancet. 2000;356(9240): 1456-1457. 

  8. Chen JC, Schmid KL, Brown B. The autonomic control of accommodation and implications for human myopia development: a review. Ophthal Physiol Opt. 2003;23(5): 401-422. 

  9. Wallman J, Winawer J. Homeostasis of eye growth and the question of myopia. Neuron. 2004;43(4):447-468. 

  10. Ciuffreda KJ, Ordonez X. Abnormal transient myopia in symptomatic individuals after sustained nearwork. Optom Vis Sci. 1995;72(7):506-510. 

  11. Ciuffreda KJ, Ordonez X. Vision therapy to reduce abnormal nearwork-induced transient myopia. Optom Vis Sci. 1998;75(5):311-315. 

  12. Shin JA, Lee OJ.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symp toms with near work and binocular function. J Korean Oph Opt Soc. 2007;12(3):125-130. 

  13. Kwon KI, Woo JY, Park MJ, Kim SR. The change of accommodative function by the direction of eye movements during computer game. J Korean Oph Opt Soc. 2012;17(2):177-184. 

  14. Park KJ, Lee WJ, Lee NG, Lee JY. Changes in near phoria and near point of convergence after viewing smartphones. J Korean Oph Opt Soc. 2012;17(2): 171-176. 

  15. Choi SM. A study about N.P.C heterophoria and near convergence and divergence by amount of the refractive errors. J Korean Oph Opt Soc. 2009;14(4):53-57. 

  16. Kim JH, Ryu KH, Kim IS. The study on relation between asthenopia of lateral phoria and fusional reserve. J Korean Oph Opt Soc. 2006;11(4):329-335. 

  17. Owens DA, Wolf-Kelly K. Near work, visual fatigue, and variations of oculomotor tonus. Invest Ophthalmol Vis Sci. 1987;28(4):743-749. 

  18. Ehrlich DL. Near vision stress: vergence adaptation and accommodative fatigue. Ophthal Physiol Opt. 1987;7(4): 353-357. 

  19. Maddock RJ, Millodot M, Leat S, Johnson CA. Accommodation responses and refractive error. invest ophthalmol Vis Sci. 1981;20(3):387-391. 

  20. McBrien NA, Millodot M. Amplitude of accommodation and refractive error. invest ophthalmol Vis Sci. 1986;27:1187- 11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