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20대 성인의 조절기능 변화
Changes in Accommodative Function of Young Adults in their Twenties following Smartphone Use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9 no.2 = no.55, 2014년, pp.253 - 260  

박미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안영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수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유지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박경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소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스마트폰을 이용한 근거리 작업 시 조절 기능의 변화가 유도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대의 총 63명 (남성 26명, 여성 37명)을 대상으로 조절 기능과 교정 전 등가구면도수를 측정하여 대조군 값으로 하였다. 실내조명 아래에서 연구대상자들에게 30분 동안 책을 읽게 한 후 30분간의 휴식 시간을 가지게 하고 순차적으로 동일한 시간 동안 스마트폰으로 영화를 보게 하거나 작업순서에 따른 오차를 배제하기 위하여 반대의 순서로 영화보기와 책읽기를 하게 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조절기능은 1) 최대조절력, 2) 조절 용이성, 3) 양성 및 음성상대조절, 4) 조절 래그 및 교정하지 않은 등가구면도수를 각 작업 후에 다시 검사하고 대조군 값과 비교하였다. 결과: 단안 최대조절력은 독서 후와 비교하여 스마트폰 시청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단안 및 양안 조절용이성은 독서나 스마트폰 사용 후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으며, 양성상대조절값은 독서나 스마트폰 사용 후 모두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스마트폰 사용 후 음성상대조절 값은 독서 후와는 달리 거의 변화가 없었다. 스마트폰 사용 후 조절래그 값은 독서 후의 경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30분 동안의 스마트폰을 사용한 근거리 작업은 일부 조절기능의 변화를 유발하였으며, 그 변화는 동일한 작업 환경에서의 독서 시 보다 유의하게 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near work with smartphone could induce the change of accommodative function. Methods: Total 63 subjects(26 male and 37 female) in their 20s were firstly examined their visual functions related to accommodation and uncorrected spheric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Only the study related to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error after smartphone use were conducted by the other research groups.[15,16] Thu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smartphone use affects accommodation. Accordingly, changes in accommodative function after sustained smartphone work were compared with those induced by near work with reading a book for the same period.

가설 설정

  • 00 D was placed to suppress some possible over-accommodation in front of the subject’s eyes. The subject was asked to state which lines were darker or more distinct. The addition was then reduced binocularly in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Internet World Stats. Usage and Population Statistics. World Internet Users and Population Stats. Available at: http:// www.internetworldstats.com/stats.htm. Accessed May 9, 2013. 

  2.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The world in 2011. ICT Facts and Figures. Available at: http://www.itu.int/ITU-D/ict/facts/2011/index.html. Accessed May 12, 2013. 

  3. Internet World Stats. Usage and Population Statistics. Internet Usage Statistics for the Americas. Available at http://www.internetworldstats.com/america2.htm. Accessed May 12, 2013. 

  4. The eMarketer Daily Newsletter. Two in five Mobile Owners Use Internet on the Go. Available at http://www.emarketer.com/Article.aspx?R1008553. Accessed May, 2012. 

  5. Korea Internet and Security Agency. 2011 Survey on wireless internet usage. Available at http://isis.kisa.or.kr/board/index.jsp?pageId040100&bbsId7&itemId779&pageIndex1. Accessed June 17, 2013. 

  6. Korea Internet and Security Agency. Survey on smartphone usage in the second half of 2011. Available at http://isis.kisa.or.kr/board/?pageId060200&bbsId3&item Id795. Accessed August 7, 2013. 

  7. Bababekova Y, Rosenfield M, Hue JE, Huang RR. Font size and viewing distance of handheld smart phones. Optom Vis Sci. 2011;88(7):795-797. 

  8. Miller KH, Ziegler C, Greenberg R, Patel PD, Carter MB. Why physicians should share PDA/smartphone findings with their patients: A brief report. J Health Comm. 2012;17:54-61. 

  9. Svoboda E, Richards B, Leach L, Mertens V. PDA and smartphone use by individuals with moderate-to-severe memory impairment: Application of a theory-driven training program. Neuropsycho Rehab. 2012;22(3):408-427. 

  10. Takao H, Murayama Y, Ishibashi T, Karagiozov KL, Abe T. A new support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smartphone) for diagnostic image display and treatment of stroke. Stroke 2012;43(1):236-239. 

  11. Kwon KI, Woo JY, Park M, Kim SR. The change of accommodative function by the direction of eye movements during computer game. J Korean Oph Opt Soc. 2012;17(2):177-184. 

  12. Blehm C, Vishnu S, Khattak A, Mitra S, Yee RW. Computer vision syndrome: A review. Surv Ophthalmol. 2005;50(3):253-262. 

  13. Collier JD, Rosenfield M. Accommodation and convergence during sustained computer work. Optometry 2011;88(7):434-440. 

  14. Park KJ, Lee WJ, Lee NK, Lee JY, Son JS, Yu DS. Changes in near lateral phoria and near point of convergence after viewing smartphones. J Korean Oph Opt Soc. 2012;17(2):171-176. 

  15. Kim B-H, Han S-H, Kwon S-J, Kim M-S, Jeong H-S, Kim H-J. Change of refractive error after watching smartphone under low intensity of illumination.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4;19(1):105-109. 

  16. Kim B-H, Han S-H, Shin YG, Kim DY, Park JY, Shin WC, Yoon JH. Aided distance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error changes by using smartphone. J. Korean Oph Opt Soc. 2012;17(3):305-309. 

  17. Korea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Employment and Labor Policy in Korea (No. 2004-50); The management guideline for the VDT task workers. Available at http://www.moel.go.kr/view.jsp?cate4&sec4&modeview&bbs_cd116&stateA&seq8355. Accessed March 7, 2013. 

  18. American Optometric Association. Care of the patient with accommodative and vergence dysfunction. 2010. St. Louis (MO): American Optometric Association. Available at http://www.aoa.org/documents/CPG-18.pdf. Accessed March 7, 2013. 

  19. Shin J, Lee O.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symptoms with near work and binocular function. J Korean Oph Opt Soc. 2007;12:125-130. 

  20. Rah MJ, Mitchell GL, Bullimore MA, Mutti DO, Zadnik K. Prospective quantification of near work using the experience sampling method. Optom Vis Sci. 2001;78:496-502. 

  21. Bornkessel C. Assessment of exposure to mobile telecommunication electromagnetic fields. Wien Med Wochenschr. 2011;161(9-10):233-239. 

  22. Hedman LR, Briem V. Short term changes in eyestrain of VDU users as a function of age. Hum Factors 1984;26(3):357-370. 

  23. Hayes JR, Sheedy JE, Stelmack JA, Heaney CA. Computer use,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Optom Vis Sci. 2007;84(8):E738-755. 

  24. Nakazawa T, Okubo Y, Suwazono Y, Kobayashi E, Komine S, Kato N, Nogawa K. Association between duration of daily VDT use and subjective symptoms. Am J Ind Med. 2002;42(5):421-426. 

  25. Yoo JS, Yoon JW, Kim JH. Influence of VDT work on accommodative function. J Korean Ophthalmol Soc 1992;33(7):693-697. 

  26. Saito S, Sotoyama M, Saito S, Taptagaporn S. Physiological indices of visual fatigue due to VDT operation: pupillary reflexes and accommodative responses. Ind Health 1994;32(2):57-66. 

  27. Cho YA, Won JS, An GJ. The effect on the dryness of eye during VDT work. J Korean Ophthalmol Soc. 1996;37(12):1991-1995. 

  28. Seo YW & Choe YJ. Visual problems and refractive error at video display terminals. J Korean Oph Opt Soc. 1998;3(1):75-86.. 

  29. Tosha C, Borsting E, Ridder WH III, Chase C. Accommodation response and visual discomfort. Ophthalmic Physiol Opt. 2009;29(6):625-6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