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AF1의 흰쥐에 대한 반복투여독성
Repeated-Dose Oral Toxicity Study of Lactobacillus Plantarum AF1 Isolated from Kimchi in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5, 2012년, pp.612 - 620  

이재준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아라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해춘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명렬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항진균 및 항세균 활성이 있는 김치 유래 유산균인 $Lb.$ $plantarum$ AF1을 가지고 천연항균제로서 사용 적합성 및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Lb.$ $plantarum$ AF1을 SD 계통의 흰쥐에게 4주간 반복 경구투여를 통하여 장기투여에 의한 안전성을 확인하고자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의약품 등의 독성시험기준에 따라 실시하였다. SD 계열의 암수 흰쥐에 시험물질을 0, 500, 1,000 및 2,000 mg/kg/day의 용량으로 4주간 반복 경구투여한 후 사망률, 일반증상, 체중변화, 사료 섭취량, 수분섭취량, 혈액학적 및 혈액생화학적 변화, 부검 소견 및 장기무게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모든 시험군에서 시험기간 시험물질로 인한 일반증상 및 사망동뮬이 관찰되지 않았다. 전 시험기간 동안 $Lb.$ $plantarum$ AF1의 4주간의 경구투여 결과 체중이 지속적으로 증가되었지만 대조군과 유의성 있는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혈액학적, 혈액생화학적 검사, 장기의 육안적 관찰, 장기 중량변화 및 조직 병리학적 소견에서도 모든 시험물질 투여군이 대조군과 유의성이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모두 정상 범위를 벗어나지 않아 시험물질에 기인하는 이상 소견을 발견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4주 반복투여 독성시험 결과 항진균 및 항세균 활성을 지닌 유산균인 $Lb.$ $plantarum$ AF1은 저독성 물질로 판정되었으며, 안전성 확인을 통하여 천연항균제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4-week repeated-dose toxic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AF1 ($Lb.$ $plantarum$ AF1), a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in male and female rats. Sprague-Dawley male and female rats were divided i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lantarum AF1을 가지고 천연항균제로서 사용 적합성 및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Lb. plantarum AF1을 SD 계통의 흰쥐에게 4주간 반복 경구투여를 통하여 장기투여에 의한 안전성을 확인하고자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의약품 등의 독성시험기준에 따라 실시하였다. SD 계열의 암수 흰쥐에 시험물질을 0, 500, 1,000 및 2,000 mg/kg/day의 용량으로 4주간 반복 경구투여한 후 사망률, 일반증상, 체중변화, 사료 섭취량, 수분섭취량, 혈액학적 및 혈액생화학적 변화, 부검 소견 및 장기무게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산균의 장점은 무엇인가? 식품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 중 유산균은 기능성 probiotic 미생물로서 주목을 받고 있는 유익한 생균으로 항균 활성, 항종양 활성, 대장암 예방효과, 면역활성 증진효과, 혈청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및 정장작용 등 다양한 생리기능을 나타낸다고 보고(1-3)되었다. 유산균은 또한 발효식품의 풍미증가와 더불어 식품 보존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유산균이 식품보존 기능은 유산균이 생산하는 유기산에 의한 pH 저하, H2O2, CO2, diacetyl, bacteriocin 등의 항균물질들을 생산하여 유해 미생물의 생육을 저해한다고 한다 (4,5).
유산균이 식품보존 기능역할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식품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 중 유산균은 기능성 probiotic 미생물로서 주목을 받고 있는 유익한 생균으로 항균 활성, 항종양 활성, 대장암 예방효과, 면역활성 증진효과, 혈청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및 정장작용 등 다양한 생리기능을 나타낸다고 보고(1-3)되었다. 유산균은 또한 발효식품의 풍미증가와 더불어 식품 보존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유산균이 식품보존 기능은 유산균이 생산하는 유기산에 의한 pH 저하, H2O2, CO2, diacetyl, bacteriocin 등의 항균물질들을 생산하여 유해 미생물의 생육을 저해한다고 한다 (4,5).
유산균의 항세균 활성과 항세균 물질(bacteriocin), 항진균 활성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 전통발효식품인 김치는 숙성과정 중에 다양한 김치 유산균이 증식하여 발효에 관여하므로 유용 유산균의 훌륭한 보고이며, 김치 유래 주요 유산균은 Lactobacillus, Leuconostoc, Weissella 및 Pediococcus 속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7). 최근에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이 조류독감 바이러스(AI virus)의 감염 억제효과가 있다고 알려지면서 식품과 사료업계에서 김치 유래 유산균이 주목을 받고 있다(8). 따라서 유산균의 항세균 활성과 항세균 물질(bacteriocin), 항진균 활성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8-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Chang JH, Shim YY, Cha SK, Chee KM. 2010. Probiotics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J Appl Microbiol 109: 220-230. 

  2. Ha CG, Cho JK, Lee CH, Chai YG, Ha YA, Shin SH. 2006. Cholesterol lowering effect of Lactobacillus plantarum from human feces. J Microbiol Biotechnol 16: 1201-1209. 

  3. Wang Y, Xu N, Xi A, Ahmed Z, Zhang B, Bai X. 2009. Effects of Lactobacillus plantarum MA2 isolated from Tibet kefir on lipid metabolism and intestinal microflora of rats on high-cholesterol diet. Appl Microbiol Biotechnol 84: 341-347. 

  4. Klaenhammer TR. 1988. Bacteriocin of lactic acid bacteria. Biochim 70: 337-349. 

  5. Stiles ME 1996. Biopreservation by lactic acid bacteria. Antonie van Leewenhoek 70: 331-345. 

  6. Lee HJ, Baek JH, Yang HU, Ko YD, Kim HJ. 1993.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l community during kimchi fermentation by temperature downshift. Kor J Microbiol 31: 346-353. 

  7. Shim ST, Kyung KH, Yoo YJ. 1990.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fermented kimchi and their fermentation of Chinese cabbage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373-379. 

  8. Cho JK, Li GH, Cho SJ, Yoon YC, Hwang SG, Heo KC, Choe IS. 2007. The identification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of Lactobacillus plantarum JK-01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7: 363-370. 

  9. Kim EA, Baik SC, Chung WH. 2002. A study on growth inhibition of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typhimurium by lactic acid bacteria. J Anim Sci Technol (Kor) 44: 491-498. 

  10. Lee SG, Lee YJ, Kim MK, Han KS, Jeong SG, Oh MH, Jang A, Kim DH, Bae IH, Ham JS. 2010. A study on the yogurt manufacture suitabil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LHB55 isolated from Kimchi. J Anim Sci Technol (Kor) 52: 141-148. 

  11. Chung JH, Bae YS, Kim YJ, Lee JH. 2010. Characteristics of bacteriocin produced by a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 isolated from Kimchi. Kor J Microbiol Biotechnol 38: 481-485. 

  12. Yang EJ, Chang HC. 2008. Antifungal activ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AF1 isolated from Kimchi. Kor J Microbiol Biotechnol 36: 275-284. 

  13. Yang EJ, Chang HC. 2010. Purification of a new antifungial compound produc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AF1 isolated from kimchi. Int J Food Microbiol 139: 56-63. 

  14. Lim SM, Im DS. 2009. Screening and characterization of probiotic lactic acid isolated from Korean fermented foods. J Microbiol Biotechnol 19: 178-186. 

  15. Muller DM, Carrasen MS, Tonarelli GG, Simonetta AC. 2009. Chracterization and purification of a new bacteriocin with a board inhibitory spectrum produc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lp31 strain isolated from dry-fermented sausage. J Appl Microbiol 106: 2031-2040. 

  16. Donohue DC, Deighton M, Ahokas JT, Salminen S. 1993. Toxicity of lactic acid bacteria. In Lactic Acid Bacteria. Salminen S, von Wright A, eds. Marcel Dekker, New York, NY, USA p. 307-313. 

  17. Shu Q, Zhou JS, Ruterfurd KJ, Birtles MJ, Prasad J, Gopal PK, Gill HS. 1999.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acidophilus HN017, Lactobacillus rhamnosus HN001 and Bifidobacterium lactis HN019) have no adverse effects on the health of mice. Int Dairy J 9: 831-836. 

  18. Lee JJ, Lee YM, Chang HC, Lee MY. 2007. Acute toxicity of Leuconostoc kimchii GJ2, an exopolysaccharide-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in mice. Korean J Life Sci 17: 561-657. 

  19. Lee JJ, Chang HC, Lee MY. 2007. Acute toxicity of Leuconostoc citrum GJ7 isolated from Kimchi in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534-539. 

  20. Son JY. 2007.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kimchi lactic acid bacteria harboring anti-Helicobacter pyroli activity. M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21. Lee JJ, Lee YM, Chang HC, Lee MY 2007. Repeated-dose toxicity study of Pediococcus pentosaceus MD1, an anti-Helicobacter pyroli activity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975-982. 

  22. Wolford ST, Schroer RA, Gohs FX, Gallo PP, Brodes M, Falk HB, Ruhren FR. 1986. Reference range data for serum chemistry and hematology values in laboratory animals. J Toxicol Env Health 18: 161-188. 

  23. Kwon HS, Kim DH, Shin HK, Yu CY, Kim MJ, Lim JD, Park JK. 2007. Fourteen-day repeated-dose oral toxicity of the ethanol extracts isolated from Oplopanax elatus in Sprague-Dawley rat.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470-475. 

  24. Jin JY, Yang HK, Kim JM, Ko MS, Hong HJ, Jin YG, Kim DG, Kim SC, Lim I, Kang SC, Kim JH, Lee YJ. 2006. Four-week repeated oral toxicity study of the extract of Aralia elata in rats. J Toxicol Pub Health 22: 445-452. 

  25. Hayes AW. 1984. Hayes Toxicology. Raven press, New York, NY, USA. p 17-19. 

  26. Lee K, Paek K, Lee HY, Park JH, Lee Y. 2007. Antiobesity effect of trans-10,cis-12-conjugated linoleic acid-producing Lactobacillus plantarum PL62 on diet-induced obese mice. J Appl Microbiol 103: 1140-1146. 

  27. Xie N, Cui Y, Yin YN, Zhao X, Yang JW, Wang ZG, Fu N, Tang Y, Wang XH, Liu XW, Wang CL, Lu FG. 2011. Effects of two Lactobacillus strains on lipid metabolism and intestinal microflora in rats fed a high-cholesterol diet. BMC Complement Altern Med 11: 1-11. 

  28. Hong CO, Seo MY, Koo YC, Nam MH, Lee HA, Kim JH, Wang Z, Yang SY, Lee SH, No SH, Lee KW. 2009. Single and 14-day repeated oral toxicity studies of 70% ethanol extract of Lindera obtusiloba blume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324-1330. 

  29. Lim DW, Kim DH, You DY. 1999. Effects of Kamiguibitang (KGT) on immunological control function. J Orient Gynecol 12: 253-280. 

  30. Kang BH, Kim YB, Lee HS, Kim YH, Im WJ, Ha CS. 2004. Background data on hematology, blood biochemistry and organ weights for 2 weeks and 4 weeks repreated-dose toxicity studies using Sprague-Dawley (SD) rats. Korean J Lab Ani Sci 20: 134-140. 

  31. Lee H, Yoon H, Ji Y, Kim H, Park H, Lee J, Shin H, Holzapfel W. 2011. Functional properties of Lactobacillus strains isolated form kimchi. Int J Food Microbiol 145: 155-161. 

  32. Cha SD, Kim TW, Lee DH. 2010.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CIB 001 with bile salt deconjugation activity from Kimchi. Kor J Microbiol Biotechnol 38: 222-226. 

  33. Ha CG, Cho JK, Lee CH, Chai TG, Ha YA, Shin SH. 2006. Cholesterol lowering effect of Lactobacillus plantarum isolated from human feces. J Microbiol Biotechnol 16: 1201-1209. 

  34. Kim DW, Yang DH, Kim SY, Kim KS, Chung MG, Kang SM. 2009.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lyophillized, heatkilled Lactobacillus rhamnosu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Kor J Microbiol Biotechnol 37: 69-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