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합비타민의 랫드에서 반복투여독성 시험과 대식세포 기능 활성 평가
Evaluation of Macrophage Activity and Repeated Oral Dose Toxicity in Sprague-Dawley Rats on Multivitamin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28 no.4, 2013년, pp.360 - 366  

김혜리 (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장혜연 (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이해님 (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박영석 (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박병권 (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김병수 (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김상기 (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조성대 (전북대학교 구강병리학교실) ,  남정석 (가천의과학대학교 이길여암당뇨연구원) ,  최창순 (중앙대학교 식품공학부) ,  장순혁 (주식회사 우리가제약) ,  정지윤 (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Spragye-Dawely 계통의 암컷 랫드에서 종합비타민의 반복경구투여 독성평가와 대식세포 Raw 264.7 세포NO 및 TNF-${\alpha}$ assay를 통한 면역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종합비타민을 대식세포의 활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Raw 264.7 세포에서 NO와 TNF-${\alpha}$의 생성을 측정하였다. 종합비타민을 대식세포에 24시간 처리한 결과 대조군과 비교 시 NO와 TNF-${\alpha}$가 유의적으로 상승하였다. 이 결과 종합비타민이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랫드에서 종합비타민의 독성평가를 위하여 랫드에 종합비타민을 0.24 g/kg, 1 g/kg 그리고 2 g/kg을 4주 동안 경구투여를 하였다. 종합비타민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관찰 및 검사를 하였다. 검사항목으로는 체중과 사료 섭취량, 임상증상, 혈청생화학적 검사를 관찰한 결과 대조군과 투여군을 비교 시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종합비타민은 생리대사에 무해하며 면역증강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ltivitamin on macrophage activity in Raw 264.7 cell and repeated oral dose toxicity in Sprague-Dawely rat of multivitamin. Raw 264.7 cells were treated with 50 and $100{\mu}g/mL$ multivitamin for 24 h. To measure the activity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Fig. 2에서는 시험물질에 의한 대식세포의 TNF-α의 분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보았다.
  • 본 연구는 Spragye-Dawely 계통의 암컷 랫드에서 종합비타민의 반복경구투여 독성평가와 대식세포 Raw 264.7세포의 NO 및 TNF-α assay를 통한 면역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시험물질에 의한 대식세포의 활성을 평가 하기 위하여 NO 및 TNF-α assay를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실험에서는 종합비타민을 사용하여 랫드의 여러 장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종합비타민을 각각 투여한 랫드의 몸무게, 사료섭취량, 혈청생화학적 검사 및 조직학적 검사를 통해 종합비타민의 독성유무를 판단하였고 macrophage를 이용한 nitric oxide (NO) 및 TNF-α assay를 통한 결과를 바탕으로 면역증강 효능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용성 비타민은 무엇이 있는가? 수용성과 지용성으로 나뉘는 비타민은 용해성에 따라 나눌 수 있는데 지용성 비타민은 구조적으로 긴 탄소사실을 가지고 있어 물에 녹지 않으며 수용성 비타민은 극성 작용기를 가져 물에 잘 녹는다. 대표적으로 비타민 A, D, E, K를 지용성 비타민으로 구분하고, 비타민 B, C를 수용성 비타민이라고 하는데 비타민 E는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물에 가용성으로 만들지만 일단 소장에서 흡수된 후 지용성으로 변환되어 작용하기 때문에 지용성 비타민으로 분류한다. 지용성 비타민은 소장에서 chylomicrom이라는 단백질에 의하여 흡수된 후 림프관을 거쳐 혈액으로 들어가 간을 통과해 전신을 순환한다.
지용성 비타민의 특징은 무엇인가? 대표적으로 비타민 A, D, E, K를 지용성 비타민으로 구분하고, 비타민 B, C를 수용성 비타민이라고 하는데 비타민 E는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물에 가용성으로 만들지만 일단 소장에서 흡수된 후 지용성으로 변환되어 작용하기 때문에 지용성 비타민으로 분류한다. 지용성 비타민은 소장에서 chylomicrom이라는 단백질에 의하여 흡수된 후 림프관을 거쳐 혈액으로 들어가 간을 통과해 전신을 순환한다. 지용성 비타민은 지방이 들어있는 음식과 함께 섭취하게 되면 흡수율이 더욱 좋으며, 지방의 배설과 유사하게 답즙을 통하여 대부분 대변으로 배설된다.
비타민 D의 주요 기능은 무엇인가? 또한 비타민 D는 식이를 통해 비타민 D2와 비타민 D3의 형태로 섭취가 된다. 비타민 D는 체내에서 세포증식과 분화의 조절작용, 면역기능조절작용, 항암작용을 보이지만5,6) 주요기능은 칼슘염과 인삼염의 흡수를 촉진하여 골격형성에 도움을 준다. 비타민 B1 (Thiamin)은 신경계 질환인 각기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며 비타민 B2 (Riboflavin)는 비타민 G라고도 하며 각종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조효소 구성 성분으로 세포가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는 물질대사에 참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Lee IJ, Kim SY, An JS, Son KM, Lee SH, Han CR and Kang HR : Allergic reactions to a multivitamin. 대한내과학회지, 77, S1347-S1351 (2009). 

  2. Seo JS, Yang KM and Joung YA : Effects of dietary coenzymd Q10 and vitamn E on lipid peroxidation in adriamycintreated rat. J Korean Soc Food Nutr, 20, 320-328 (1991). 

  3. Pascoe GA and Reed DJ : Vitamin E protection against chemical-induced cell injury. II. Evidence for a threshold effect of cellular alpha-tocopherol in prevention of adriamycin toxicity. Arch Biochem Biophys, 256, 159-66 (1987). 

  4. Kharasch ED and Novak RF : Inhibitory effects of anthracenedione antineoplastic agents on hepatic and cardiac lipid peroxidation. J Pharmacol Exp Ther, 226, 500-506 (1983). 

  5. Lemire JM : Immunomodulatory actions of 1,25-dihydroxyvitamin D3. J Steroid Biochem Mol Biol, 53, 599-602 (1995). 

  6. Walters MR : Newly identified actions of the vitamin D endocrine system. Endocr Rev, 13, 719-764. (1992). 

  7. Kim YJ : The protect the living organ from free radicals and the failure of protection: age-related disease. Bull Food Technol, 10, 4-26 (1997). 

  8. Song Y, Xu Q, Park Y, Hollenbeck A, Schatzkin A and Chen H : Multivitamins, individual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s, and risk of diabetes among older U.S. adults. Diabetes Care, 34, 108-114 (2011). 

  9. Radimer K, Bindewald B, Hughes J, Ervin B, Swanson C and Picciano MF. : 9. Dietary supplement use by US adults: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9-2000. Am J Epidemiol, 15, 339-349 (2004). 

  10. Guwatudde D, Ezeamama AE, Bagenda D, Kyeyune R, Wabwire-Mangen F, Wamani H, Mugusi F, Spiegelman D, Wang M, Manabe YC and Fawzi WW : Multivitamin supplementation in HIV infected adults initiating antiretroviral therapy in Uganda: the protocol for a randomized double blinded placebo controlled efficacy trial. BMC Infect Dis, 15, 304 (2012). 

  11. Blot WJ, Li JY, Taylor PR, Guo W, Dawsey S, Wang GQ, Yang CS, Zheng SF, Gail M, Li GY, et al. : Nutrition intervention trials in Linxian, China: supplementation with specific vitamin/mineral combinations, cancer incidence, and disease-specific mortality in the general population. J Natl Cancer Inst, 15, 1483-1492 (1993). 

  12. Mark SD, Wang W, Fraumeni JF Jr, Li JY, Taylor PR, Wang GQ, Dawsey SM, Li B and Blot WJ : Do nutritional supplements lower the risk of stroke or hypertension? Epidemiology, 9, 9-15 (1998). 

  13. Cole NA, Hutcheson DP : Influence of dietary protein concentrations on performance and nitrogen repletion in stressed calves. J Anim Sci, 68, 3488-3497 (1990). 

  14. Lee JH, Cho SM, Song KS, Han SB, Kim HM, Hong ND and Yoo ID : Immunostimulating activity and characterization of polysaccharides from mycelium of Phelliuns linteus. J Microbiol Biotechnol, 6, 213-218 (1996). 

  15. Neta R, Sayers T and Oppenheim : In tumor necrosis factor. (Vilccek et al eds) Marcel Dekker, New York, pp 499 (19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